주요 주제
-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
- 삼위일체론에 근거한 기도와 설교의 중요성
- 교부들의 연구를 통한 한국 교회 개혁의 필요성
다음 할 일
-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한 교정
- 삼위일체론에 대한 강의를 예배 해설로 전환
- 삼위일체 교리를 예배에서 사용
-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개선 방안 마련
->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
00:01 ~ 02:54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및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
- 삼위일체론을 가르칠 때 신학생들이 머리를 아파하는 이유는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강의가 우리의 예배에 대한 해설이 된다면 친숙하면서도 실제적으로 와닿겠지만 초기 교회 성도들과 다르게 우리는 그런 예배를 경험해 볼 기회가 잘 없기 때문임
- 전제 군주적 일신론에 굉장히 치우쳐 있는 겉으로만 삼위일체론을 자꾸 다루고 공부하고 실생활에서 특히나 예배에서는 쓰지 않음
04:27 ~ 05:47
개신교회 예배 언어의 한계
-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경우는 잘 없음
- 설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이 구원을 베푸시는 것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함임
- 한국 개신교회는 기도 언어와 첫 번째 줄 예배 언어가 전제 군주적 일신론에 경도된 측면이 있음
06:53 ~ 08:15
삼위일체론적 언어
- 삼위일체론에 근거해서 식사를 할 때에도 반드시 그런 기도를 함
- 삼위일체론적 언어로 기도하는 조카(로마가톨릭교회)의 언어가 삼위일체론적 언어였음
09:33 ~ 15:07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
- 삼위일체 교리는 초기 교회 예배 속에서 정당한 신학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음
- 삼위일체 교리는 예배라는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딸임
- 삼위일체 교리가 예배 안에서 형성된 것임을 깨닫는 순간부터 조직 신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지평이 열림
- 모든 교리가 그러한 방식으로 정립이 되었음
- 가장 처음 부분이 우리의 구원을 이루신 예수께서 오신 성육신을 하신 때를 기준으로 모든 논의가 시발점이 됨
16:22 ~ 17:29
한국 교회 개혁의 필요성
- 한국 교회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는 연구 교부들의 연구를 하면 웬만한 건 다 해결이 됨
- 대부분 성령을 중심으로 개혁교회는 모든 조직 신학의 핵심에 삼위일체를 향한 송영이 있어야 되는데 송영이 없이 현실에서 그냥 해 저렇게 해라고 마구잡이식으로 땜빵식으로 문제를 처리하다 보니 교부들의 말을 듣지 않다 보니 문제가 생기고 이제는 안타깝게도 우리 한국에는 개신교의 명맥이 거의 끊겨버린 상황이 되었음
'연구소 > 제자훈련 &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8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c (0) | 2025.01.24 |
---|---|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6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a (0) | 2025.01.19 |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5강, 신학이란 무엇인가(3)c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