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7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b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연구소/제자훈련 & 강의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7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b

개혁신학어벤져스 2025. 1. 24. 12:29

https://youtu.be/ZSDJJ295YOU


주요 주제
-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
- 삼위일체론에 근거한 기도와 설교의 중요성
- 교부들의 연구를 통한 한국 교회 개혁의 필요성


다음 할 일
-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한 교정
- 삼위일체론에 대한 강의를 예배 해설로 전환
- 삼위일체 교리를 예배에서 사용
-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개선 방안 마련


->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
00:01 ~ 02:54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및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
- 삼위일체론을 가르칠 때 신학생들이 머리를 아파하는 이유는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강의가 우리의 예배에 대한 해설이 된다면 친숙하면서도 실제적으로 와닿겠지만 초기 교회 성도들과 다르게 우리는 그런 예배를 경험해 볼 기회가 잘 없기 때문임
- 전제 군주적 일신론에 굉장히 치우쳐 있는 겉으로만 삼위일체론을 자꾸 다루고 공부하고 실생활에서 특히나 예배에서는 쓰지 않음

04:27 ~ 05:47
개신교회 예배 언어의 한계
-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경우는 잘 없음
- 설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이 구원을 베푸시는 것을 기념하고 기억하기 위함임
- 한국 개신교회는 기도 언어와 첫 번째 줄 예배 언어가 전제 군주적 일신론에 경도된 측면이 있음

06:53 ~ 08:15
삼위일체론적 언어
- 삼위일체론에 근거해서 식사를 할 때에도 반드시 그런 기도를 함
- 삼위일체론적 언어로 기도하는 조카(로마가톨릭교회)의 언어가 삼위일체론적 언어였음

09:33 ~ 15:07
삼위일체 교리의 정립
- 삼위일체 교리는 초기 교회 예배 속에서 정당한 신학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음
- 삼위일체 교리는 예배라는 어머니로부터 태어난 딸임
- 삼위일체 교리가 예배 안에서 형성된 것임을 깨닫는 순간부터 조직 신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지평이 열림
- 모든 교리가 그러한 방식으로 정립이 되었음
- 가장 처음 부분이 우리의 구원을 이루신 예수께서 오신 성육신을 하신 때를 기준으로 모든 논의가 시발점이 됨

16:22 ~ 17:29
한국 교회 개혁의 필요성
- 한국 교회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는 연구 교부들의 연구를 하면 웬만한 건 다 해결이 됨
- 대부분 성령을 중심으로 개혁교회는 모든 조직 신학의 핵심에 삼위일체를 향한 송영이 있어야 되는데 송영이 없이 현실에서 그냥 해 저렇게 해라고 마구잡이식으로 땜빵식으로 문제를 처리하다 보니 교부들의 말을 듣지 않다 보니 문제가 생기고 이제는 안타깝게도 우리 한국에는 개신교의 명맥이 거의 끊겨버린 상황이 되었음

 

naver band 페이스북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