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과 광고 자세히보기

전체보기 1169

[연구소] 주일예배 250629 회개 기도를 드려요!, 시편 32편 5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09:55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그리스도인은 ‘회개(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바른 길로 돌아감)’를 통해, 하나님을 거역하려는 모습을 돌아봐요. 특히, 하나님은 예배를 드리기 전, 반드시, 회개하라고 하셨어요. 하나님은 정하신, ‘예배드리는(=하나님을 만나는) 룰’로 회개하지 않으면, 인간의 예배를 받지(=인간을 대면하지) 않아요. 즉, 예배는 예수님의 희생을 통한 ‘죄사함의 확신과 기쁨’을 느끼는 시간이에요. 예배를 드리기 위해, ‘죄사함의 확신과 기쁨’을 느끼기 위해, 반드시 ‘회개 시간[기도])’를 가져야 해요. 예배에 들어가기 전, 예수님 덕분에 죄값(죽음)으로부터 구원받음을 기억하며, 진심으로 죄를 고백해야 하나님을 만날 수 있어요! 기도 구원을 베푸시는..

[사경회] 250626 제자들을 준비시키는 그리스도6 – 수난 예고와 가르침e, 마 17장 22-27절

https://youtu.be/hzu5HzeaXJY 도입 or 요약 마태복음은 16:13~18:35까지 예수님을 ‘12제자의 훈련에 집중하는 분’으로 그립니다. 곧, 해당 본문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을 장차 맞이할 상황(=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 이후의 상황)에 준비시킵니다. 그중, 마태복음은 16:21-17:27까지 예수께서 행하신 사역 방향을 전환(치유&말씀 사역->십자가 사역)하며, ‘그리스도에 관한 제자들의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는 사건을 기록합니다. 그중 17장 22-23절은 ‘수난을 그저 두려워하는(=부활예고를 기억 못하는) 제자들’을 다루고, 24-27절은 ‘(유대교인들의 질문에) 성급하게 답변하는 베드로와 이 상황을 그리스도의 표적으로 사용하는 예수님’을 다룹니다. 기도 구원을 베푸시..

연구소/사경회 2025.06.26

[사경회] 250625 제자들을 준비시키는 그리스도5 – 수난 예고와 가르침d, 마 17장 14-21절)

https://youtu.be/gN30bgqJwbs?si=sGhSpJvNClIW5M-- 도입 or 요약 마태복음은 16:13~18:35까지 예수님을 ‘12제자의 훈련에 집중하는 분’으로 그립니다. 곧, 해당 본문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을 장차 맞이할 상황(=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과 승천 이후의 상황)에 준비시킵니다. 그중, 마태복음은 16:21-17:27까지 예수께서 행하신 사역 방향을 전환(치유&말씀 사역->십자가 사역)하며, ‘그리스도에 관한 제자들의 잘못된 이해를 교정’하는 사건을 기록합니다. 그중 17장 14-21절은 ‘변화산 사건 이후’의 이야기로서, 크게 2부분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1번째 부분은 간질병에 걸린 아들을 고친 이야기이며,(14-18절), 2번째 부분은 제자들의 믿음에 대한 대화입..

연구소/사경회 2025.06.25

「헤르마스의 목자」 가 주는 정경학적 문헌학적 의의 - from. Dan Batovici

1. 논문 요약1.1 연구 목적과 배경Dan Batovici의 논문 「권위, 단편화, 희석: 후기 고대에서 묵시록적 텍스트 경험하기」는 초기 기독교 문헌인 '헤르마스의 목자'가 후기 고대 기독교인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경험되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1]. 이 논문은 '헤르마스의 목자'의 수용사를 통해 초기 기독교 문헌이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해석되었는지를 보여준다[1].1.2 '헤르마스의 목자'의 특성과 중요성'헤르마스의 목자'는 2세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묵시록적 문헌으로, 5개의 환상, 12개의 명령, 10개의 비유로 구성되어 있다[2]. 이 문헌은 초기 기독교에서 상당한 권위를 인정받았으며, 이레네우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오리게네스와 같은 교부들은 이를 성경으로 받아들이기도 했..

헤르만 바빙크의 자연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평과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

서론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1921)는 네덜란드 개혁신학의 거장으로서, 그의 자연신학 이해는 현대 개혁신학계에서 중요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1]. 이 논문 "Another Calvinist on Natural Theology: The Case of Herman Bavinck"은 바빙크의 자연신학 이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그가 칼빈의 전통을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줍니다[1]. 개혁신학적 비평 1. 바빙크의 자연신학 정의와 그 특징바빙크는 자연신학을 "모든 인간이 창조된 존재로서 유한에서 무한으로, 구체에서 보편으로 나아가는 자연적 성향이나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합니다[1]. 이러한 정의는 칼빈의 sensus divinitatis(신..

B. B. 워필드의 자연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적 비평과 한국교회에 주는 의미

개혁신학적 관점에서의 논문 비평 1. 자연신학의 적극적 수용에 대한 비판적 관점 B. B. 워필드는 자연신학(자연과 인간의 이성, 양심 등을 통해 하나님을 인식하는 신학)을 기독교 신학의 필수적이고 정당한 부분으로 본다. 그는 자연신학(또는 변증신학)이 모든 신학의 전제조건 역할을 하며, 하나님의 존재와 본질, 인간의 종교적 본성, 계시의 가능성 등 근본적 신학적 전제를 확립한다고 주장한다[1]. 워필드는 자연신학을 통해 얻은 지식이 성경 신학, 역사신학, 조직신학 등 모든 신학적 작업의 토대가 된다고 본다. 그러나 전통적인 개혁신학(칼빈주의)에서는 자연신학에 대해 훨씬 더 비판적이거나 제한적인 입장을 취한다. 대표적으로 존 칼빈은 자연신학이 인간의 타락 이후로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

[경건회B] 2월 4일

다음의 책을 사용합니다.A Year with the Church Fathers: Meditations for Each Day of the Church Year by Scott Murray성경 본문Psalmody: Psalm 127Additional Psalm: Psalm 128Old Testament Reading: Job 1:1-22New Testament Reading: John 1:1-18 오늘의 기도: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나님,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주님, 주의 백성의 기도를 자비롭게 들으시고, 저희 모든 날 동안 주의 평화를 허락하여 주옵소서. 성부와 성령과 함께 한 분 하나님으로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는 주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옵나이다.(L14) 묵상 ..

[경건회B] 2월 3일

다음의 책을 사용합니다.A Year with the Church Fathers: Meditations for Each Day of the Church Year by Scott Murray성경 본문Psalmody: Psalm 47Additional Psalm: Psalm 135Old Testament Reading: Zechariah 14:1-21New Testament Reading: Titus 2:7-3:15 오늘의 기도: 주님, 저희가 항상 모든 선한 일에 헌신할 수 있도록, 주의 은혜가 늘 저희 앞서가고 뒤따르게 해주시기를 기도합니다. 성부와 성령과 함께 한 분 하나님으로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는 주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옵나이다.(H76) 묵상 어떤 건물은 철거를 간청하듯..

[경건회B] 2월 2일

다음의 책을 사용합니다.A Year with the Church Fathers: Meditations for Each Day of the Church Year by Scott Murray The Purification of Mary and the Presentation of Our Lord성경 본문Psalmody: Psalm 75Additional Psalm: Psalm 104Old Testament Reading: Zechariah 12:1-13:9New Testament Reading: Titus 1:1-2:6 오늘의 기도: 전능하시고 영원히 살아계신 하나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늘 저희와 같은 육신을 입고 성전에 바쳐졌사오니, 저희도 깨끗하고 순결한 마음으로 주님께 바쳐지게 하옵소서. 성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