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제자훈련 & 강의' 카테고리의 글 목록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연구소/제자훈련 & 강의 48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8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c

https://youtu.be/WXFq1QWY7pM 주요 주제- 예배에서 신학의 정립과 예전의 중요성- 교리와 예전의 관계와 실천의 중요성- 신학의 중요성과 분리된 삶과 신학 교육의 문제점다음 할 일- 신학을 바탕으로 예배 정형화- 예전에 대한 해설 작성- 예배에서 삼위일체 하나님 중심 찬양 준비- 성도부터 목회자까지 예배 분리 생활 개선->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1:22예배의 정형화- 모든 교리는 예배에서 나옴- 예배를 드리는 과정에서 지식적인 부분을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예전이 생겨나면서 정립이 되고 신학이 적립됨- 신학을 바탕으로 다시 예배가 정형화를 갖게 되는 점을 이야기해 보도록 함02:43 ~ 04:15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 예배를 드리는 과정에 의식을 왜 해야 되는지에..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7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b

https://youtu.be/ZSDJJ295YOU주요 주제-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 삼위일체론에 근거한 기도와 설교의 중요성- 교부들의 연구를 통한 한국 교회 개혁의 필요성다음 할 일-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한 교정- 삼위일체론에 대한 강의를 예배 해설로 전환- 삼위일체 교리를 예배에서 사용- 예배 언어와 기도 언어의 개선 방안 마련->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2:54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한국 교회의 예배 언어 및 기도 언어의 전제 군주적 일신론 경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 삼위일체론을 가르칠 때 신학생들이 머리를 아파하는 이유는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강의가 우리의 예배에 대한 해설이 된다면 친숙하면서도 실제적으로 와닿겠지만 초기 ..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6강, 신학이란 무엇인가(4)a

https://youtu.be/ogKSiNv1JGA?si=0hxzmWUfyIm62omH주요 주제- 신학의 궁극적 목적과 그 중요성- 예전과 그 중요성- 초기 교회의 구원 경험과 삼위일체 교리의 뿌리다음 할 일- 신학의 목적과 신학 함의 파악- 예전에 대한 학습 계획 수립- 신학의 모태인 예전에 대해 연구- 신학의 궁극적 목적인 하나님 찬양에 대해 묵상->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2 ~ 03:01신학의 목적- 신학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 찬양임- 신학을 공부하기 전에 신학이나 신학 함의 궁극적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함- 개혁 교회의 근본 가치는 성령임04:23 ~ 05:54신학의 모태- 목적을 상실한 채 배우는 데만 골몰하다 보면 교만하고 독선적인 인간이 되기 십상임- 신학의 모태는 예전임- ..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5강, 신학이란 무엇인가(3)c

https://youtu.be/U8I3lbiU7gA?si=pj2W8E5UzYa-_ojF주요 주제- 신학의 주체와 대상의 동일성- 신학의 이론과 실천의 관계- 신학의 목적과 성령의 역할다음 할 일- 신학의 전제 파악- 신학의 목적 파악- 신학의 주체와 대상 구분- 신학의 이론과 실천 구분->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0 ~ 00:25신학의 주체와 대상- 신학은 다른 학문과 달리 주체와 대상이 같음- 신학 외의 학문은 주체와 대상이 명백하게 구분됨02:04 ~ 07:59신학의 전제- 신학은 이론이자 실천임을 강조하기 위해 신학을 하기 위한 전제가 있음- 신학은 이론이자 실천일 수 있음- 신학은 주체와 대상이 동일함- 신학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임09:43 ~ 12:37어거스틴의 신학- 어거스틴은..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4강, 신학이란 무엇인가(3)b

https://youtu.be/a8GMBm4ABeA?si=HDXFT_zoCi6Fhmpa 주요 주제- 신학의 궁극적 목적과 이론과 실천의 관계- 보수와 진보의 신앙 고백과 정론 이론, 정행 이론의 차이와 비판- 성령의 영역에서 이론과 실천의 관계와 정립의 중요성다음 할 일- 신학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논의 준비- 신학 강좌 다음 주제 선정- 신학의 궁극적 목적에 대한 연구 계획- 신학 레시피 다음 회차 준비->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2 ~ 01:24서방교회의 이성 중심적 역사- 신학 강좌 신학 레시피 오늘도 진행해 보도록 하겠음- 서방교회의 역사를 쭉 이야기하면서 동방교회와는 좀 결이 다르게 이성을 중요시하게 되는 역사적 배경이 있었고 또 그쪽으로 많이 발전을 했다라는 이야기를 함- 슐라이..

[연구소] 2025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3강, 신학이란 무엇인가(3)a

https://youtu.be/WmyxcagOjvk?si=SVlxN3UAqdRTW60y주요 주제- 서방교회의 신학 전통과 동방교회의 신학 전통의 차이- 신학의 목적과 그에 따른 실천의 중요성다음 할 일- 동방교회의 신학적 전통에 대해 연구- 칼빈의 신학적 목적에 대해 연구- 신학의 목적과 찬양에 대해 학습- 신학의 목적과 찬양을 삶으로 표현->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3:16초대 동방교회의 신학적 전통- 초대 동방교회의 신학적 전통은 성령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드리는 일이었음- 초대 서방교회의 전통은 신학을 학문으로 봄- 개혁 교회의 대전제는 항상 교회는 개혁되어야 한다는 것임- 칼빈 때에 이것이 강조가 많이 됨04:40 ~ 06:16서방교회 신학의 특징- 서방교회 신학은 첫 번째 ..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2강, 신학이란 무엇인가(2)b

https://youtu.be/u7qd_xIPvxY?si=bCWecv62qlZWQIKz주요 주제- 동방교회의 신학 분류 방법과 그 의미다음 할 일- 동방교회의 신학 방법론에 대한 연구- 동방교회의 오이코노미아에 대한 학습- 서방교회의 신학 분류 방법에 대한 연구->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2:55동방교회 삼위일체론- 동방교회에서는 삼위일체론만 신학이라면 3위일체론 외에 다른 분야인 그리스도론도 있고 인간론도 있고 구원론도 있고 교회론도 있고 종말론도 있는데 이것은 신학이 아닌 건가라고 질문을 하게 됨- 동방교회는 삼위일체론 외에 나머지 분야는 오이코노미아라고 함- 동방교회는 삼위일체론을 신학으로 하고 나머지 분야는 경륜학으로 함04:15 ~ 05:44동방교회의 신학- 동방교회에서는..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1강, 신학이란 무엇인가(2)a

https://youtu.be/2cCejeq925E 주요 주제- 동방교회의 신학에 대한 이해와 사용 방식다음 할 일- 동방교회의 신학 이해 방식과 특징 파악- 신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해석 방식 파악- 신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찾기- 신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 해소 방안 모색->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2:56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신학- 신학이란 용어는 그리스도인이 세례를 줘서 우리 교회식으로 쉽게 말하면 새로이 의미를 부여한 것임- 고대 동방 교부들은 신학을 신화로 요약함- 동방교회는 서방교회와 달리 신학이라는 용어를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한 이례로 줄곧 즐겨 사용함- 동방교회 안에서 신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교부는 순교자 유스티누스임04:09 ~ 09:35동방교..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10강, 신학이란 무엇인가(1)b

https://youtu.be/lz4CymI3p-A?si=8xXss2kLfNYRITnO 주요 주제- 신학의 기원과 개념- 신화와 신학의 관계와 의미- 신학의 변화와 현재 사용되는 용어의 의미다음 할 일- 신학 사상 비판 및 분석- 신학 용어 변화 과정 연구- 신학의 기원에 대한 연구- 신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 파악->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1 ~ 02:57신학의 기원- 신학은 워낙 방대하고 여러 가지 신학 사상이 있으면 그것들을 비판하고 분석한 후에 다른 것들과 또 비교해서 총체적으로 묶어나가고 또 잘못된 철학이 들어오더라도 견고하게 흔들리지 않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늘 겸손하게 됨- 신학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했던 용어인 테올로기아 즉 신학은 원래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9강, 신학이란 무엇인가?(1)a

https://youtu.be/vX0b_KY2rNw 주요 주제- 신학 공부의 중요성과 방법론다음 할 일- 신학 서론의 본론 시작- 반복 학습 방법 교육- 신학 개념 마스터 계획 수립- 시대적, 환경적 객관화 비판 방법 모색->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2 ~ 01:36신학 서론의 본론- 신학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전반적인 이야기를 했다면 이제부터는 신학 서론의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음- 페이지 59페이지를 보면 공부할 때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음03:07 ~ 04:20신학의 암기- 신학은 거대한 담론을 만들어가야 되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수밖에는 방법이 없음- 기계적인 암기는 박사 과정 이상, 특별히 교수가 되려고 아니면 연구에 매진하기 위한 진로로 갈 때에 사용되고..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8강,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b

https://youtu.be/R18qAahB2Ec?si=5DQ5ibhZ0fKHSU6C주요 주제- 개혁신학의 특성과 가치-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의 구분- 겸손함과 신학의 관계다음 할 일- 개혁 신학에 대한 체계적인 학습 계획 수립- 신학 전통과 신학 사상에 대한 바른 이해- 바빙크의 신학 겸손함에 대한 이해- 원형의 신학에 대한 연구 계획 수립->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2 ~ 02:58개혁신학의 특징- 개혁신학은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기 위한 탁월한 방편으로서의 개혁 신학임- 개혁신학은 어떠한 신학 전통이나 신학 사상과 마주치더라도 그것에 무조건적 권위를 부여하지 않음- 신학의 진위와 가치는 오직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인 성경에 부합하느냐로 판단됨04:19 ~ 05:41하나님의 자..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7강,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a

https://youtu.be/OhYsNXzfWg4?si=0lQ599ZjM6PfJ-jN주요 주제-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의 구분- 하나님에 대한 지식 추구의 한계와 겸손함의 필요성- 성경을 통한 하나님 인식과 성경의 유일성에 대한 강조다음 할 일- 하나님에 대한 인식에 대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의 입장 검토- 성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한 노력 필요성 인식->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2 ~ 01:46하나님의 도움으로 하나님을 제한적으로 알 수 있음-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을 구분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감- 하나님에 대해 인간이 알 수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이 있다라고 대답함- 하나님의 도움으로 하나님을 제한적으로 알 수 있다라고 개혁신학은 대답함..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6강, 신학의 방법과 원리

https://youtu.be/aC_FsUQwLNo주요 주제- 신학의 근본 원리와 객관적 원리, 주관적 원리-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개인의 세계관 정립의 관계- 삼위일체론과 신학의 일관된 근본 원리다음 할 일- 신학의 방법과 원리 구체적 논의- 신학의 근본 원리인 삼위 하나님에 대한 이해 증진- 이성을 하나님을 아는 원리로 대하는 것에 대한 신중한 검토- 예배의 대상이신 하나님에 대한 교리 확립->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0 ~ 01:28신학의 방법과 원리- 신학의 방법과 원리라고 되어 있는데 우리 지난 시간에 이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신학을 어떻게 해야 될 것이냐에 대해서 논의를 해보도록 하겠음- 교의학과 조직 신학의 단어의 차이를 살펴봄- 신학의 기초 원리 객관적 원리, 주관적 원리 세..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5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d

https://youtu.be/tc8V9csBtMw?si=vebR1vkc8xP8tR6j 신학서론의 중요성교의학과 조직신학:둘은 본질적으로 같지만, 서술 체계나 내용 자체에 포커스를 두는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신학을 이해하기 위한 프롤레고메나(신학 서론)가 필요합니다.프롤레고메나:신학의 방법과 원리를 다루는 서론 부분을 의미합니다.헤르만 바빙크와 칼바르트는 신학의 방법론과 원리를 중시했습니다.게르하르트 에벨링은 기초신학이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설명합니다.비유:교수님은 요리 비유를 통해 방법과 원리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테니스나 수영 같은 스포츠에서도 기초와 기본 자세가 중요하듯이, 신학에서도 기본 방법과 원리가 중요합니다.신학서론의 필요성잘못된 방법과 원리는 신학의 전체 구도를 뒤틀리게 하고, 본론에서..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4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c

https://youtu.be/o911gIO_fZE 교의학과 조직신학:교의학은 그리스어 "도그마"에서 유래된 용어로, 가르침이나 결정을 의미하며, 교회의 권위 있는 가르침을 의미합니다.교의학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내용을 포괄적, 체계적으로 기술하려는 학문적 시도입니다.헤르만 바빙크는 교의학을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학문적 조직체계라고 정의했습니다.헨드리쿠스 베르코프는 교의학을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와 관계 맺으신 것에 관하여 조직적으로 사고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했습니다.교의학과 조직신학의 차이:조직신학은 교의학의 전개 방식 및 서술 방식을 부각시키는 용어입니다.교의학은 조직신학의 내용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용어입니다.현대 신학자들은 교의학보다 조직신학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이는 교리가 적용 및 실천 측..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3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b

https://www.youtube.com/watch?v=J1ADuNHeKqQ 주요 주제- 교리의 중요성과 교리에 대한 이해- 세계관 정립을 위한 교리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구축- 신학 방법과 원리의 중요성과 신학의 기초를 튼튼히 하는 것의 중요성다음 할 일- 교리 연구를 위한 신학 방법과 원리 습득- 이단 교리 체계에 대한 연구- 교리에 대한 바른 안목 기르기- 신학 서론 학습  -> 이하, 주요 시간대별 요약입니다.00:00 ~ 03:54개혁교회의 교리- 교리는 생활에 밀접하기에 교리를 적용하면서 살아야 됨, 그런데, 그것이 많이 흐트러져 있는 상황임- 이단이 창궐하고 있는 오늘날 목회자나 신학생에게 다른 무엇보다 교리에 대한 깊은 조회와 바른 안목이 필요함05:14 ~ 06:38통찰력 있는 세계관-..

[연구소] 2023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2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a

https://www.youtube.com/watch?v=uzvSrG_Bmmc 주요 주제- 신학의 역사와 철학적 배경- 교의학과 조직 신학의 중요성과 역할- 교의화, 곧 조직 신학에 대한 조회와 안목의 필요성다음 할 일- 교리 습득을 위한 학습 계획 수립- 미래 예측을 위한 역사적 안목 키우기- 조직 신학에 대한 조회와 안목 형성- 신학 서론 방법론에 대해 더 알아보기  -> 이하, 주요 시간대별 요약입니다.00:00 ~ 01:35신학 서론 방법론- 신학은 목회의 산물이지 사변의 산물이 아님- 신학은 철학과 더불어 인문학 가운데서도 역사가 가장 오래된 분야임03:03 ~ 04:27신학의 역사- 인간은 직관적으로 신에 대해서 생각함- 신학은 철학과 더불어서 인간에 관련된 학문을 다룰 때에 가장 오래된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