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과 광고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로마교회 & 정교회 & 유대교 22

근현대교회사2 - 15~20세기(로마 가톨릭교회 중심, 개신교회와 동방정교회 신학자 포함, 곽승룡 신부)

* 시즌II. 46강. 20세기 현대신학.https://youtu.be/jx704n4jjgQ?si=ozYkn4yqlFASVgiP 주요 주제- 신학의 다원화 현상과 그 이유- 메타 인지와 신학 교육의 관계- 신학의 실천적 측면과 인간성 양심의 실종에 대한 대응 방안다음 할 일- 신학의 다원화 현상에 대한 이해 증진- 가톨릭 교회의 교리 이해를 위한 교리서 구입- 신학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준비-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다양한 의견 수렴단락별 요약00:00 ~ 01:24신학의 분립- 17세기부터 18세기에는 신학이 분립이 됐음- 20세기에 와서는 복음 선포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신학 분야의 태동이 이루어졌음- 복음 선포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신학 분야는 계시 진리가 담겨져 있는 성경과 전승 두 가지 안에 ..

근현대교회사1 - 15~20세기(로마 가톨릭교회 중심, 개신교회와 동방정교회 신학자 포함, 곽승룡 신부)

종교개혁시대부터 근대교회사를 다룬 강의입니다. 가톨릭교회에서도 종교개혁으로 말미암아 많은 개혁이 내부적으로 있었습니다. 그것들을 무시하고서 일방적으로 로마가톨릭교회를 비판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개신교회(개혁교회가 아님)와 어떤 점에서 달리 개혁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현재 어떤 차이가 있고, 현재적으로 신학과 목회에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나아가 어떤 점을 더 발전시켜야 하는지 고민해야 합니다. * 특히, 로마가톨릭교회가 개신교회(개혁교회가 아님)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또 대응하는지 잘 살피시길 바랍니다.^^ * 시즌II. 41-1강,근대시대의 신학:신비신학,인본주의,종교개혁,제2스콜라신학https://youtu.be/sqLDSyjHZOc?si=aSU2NZKwXXbDDiNJ 주요 주제- 15세기 ..

9세기 이후 동방교회의 신학과 특징 - 서방교회의 관점에서2

* 17강. 일천년기 신학: 그리스도교 동방신학의 고유한 가치들.https://www.youtube.com/watch?v=HW8tK82xdvA&list=PLEhqJpoxdCALe6qAjP5HEIDTc9QWznCiq&index=18  주요 주제- 동방과 서방의 신학적 차이와 그 중요성- 전례와 성사 생활의 의미와 중요성다음 할 일- 동방교회 신학의 중요한 바탕인 성경과 공의회 신조 공부- 성사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정보 탐색- 동방교회 수도원 음악에 대한 연구 계획 수립- 동방 신학의 중요한 바탕인 성경과 공의회 신조에 대한 연구 계획 수립요약00:00 ~ 00:50교부들의 관점들의 지역적 위치- 교부들의 관점들의 지역적 위치가 중요함- 알렉산드리아 ..

고해성사란? - 곽승룡 신부 강의2(cpbc)

이전 강의에 이어집니다.6강 영혼을 관찰, 악을 간파_곽승룡신부의 '영혼을 돌보는 고해성사'https://youtu.be/UNlqt4sKQpg 주요 주제- 식별과 성찰의 중요성- 악과 선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법- 영성 생활에서의 감정 조절과 분노 관리 방법다음 할 일- 우울, 분노, 화의 세 가지 극복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악마에 대한 심리 분석학적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영적 식별에 대해 더 공부- 음식에 대한 만족감을 낮추는 훈련 계획-> 이하, 주요 시간별 요약입니다.00:05 ~ 04:05영적 식별- 영혼을 관찰하게 되면 불편한 것들을 많이 만나게 됨- 주님의 기도에도 맨 마지막에 악에서 구해달라는 것은 악이란 무엇일까 우리 기도 생활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가를 한번 이 시간을 갖도록 하겠음..

'유대교(한스 큉)2' - 그리스도인으로서 유대교 이해하기

한스 큉의 유대교(16) - 제1부 여전히 현존하는 과거3장 역사, 3. 포로기 이후 유대교의  신정 패러다임, 7) 신정 체제의 위기 : 개혁에서 교회국가로https://www.youtube.com/watch?v=53dtECs2ltQ 한스 큉의 유대교(17) - 제1부 여전히 현존하는 과거3장 역사, 3. 포로기 이후 유대교의 신정 패러다임 8) 시대를 경고하고 해석한 묵시가들 9) 예루살렘의 멸망과 신정 체제의 종말https://www.youtube.com/watch?v=7qQH66fmzLI 한스 큉의 유대교(18) - 제1부 여전히 현존하는 과거3장 역사, 4. 중세 랍비-회당 패러다임https://www.youtube.com/watch?v=pbACxg8EiYk 한스 큉의 "유대교"(19) - 제1..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훈에 관해 - 60주년 맞이 강론

여러 이유로 즐겨 찾는 신부님의 강론입니다. 개인적으로 개혁교회 목사로서 '2차 바티칸 공의회'에 유난히 관심이 많습니다. 우리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 우리의 신앙적 강점을 더욱 어필할 그리하여 전세계 모두와 '소통(communication)'하는 계기가 크게 발생하길 바랍니다.  * 교회나 세상이나 끊임없는 개혁은 '진심어린 소통'을 전제합니다. 개혁교회의 위상을 올바로 되찾아 모든 이를 그리스도께 인도할 수 있기를,, 그렇게 준비되기를,, 바랍니다.[ 이 시대의 징표를 풀이하여라! 자기식별, 합의... ] 내년 60주년 2차바티칸공의회 연중29주 금요일 20241025.https://www.youtube.com/watch?v=ANYup0sQ-oc 주요 주제- 시대의 징표와 교회의 역할다음 할 일- ..

우울증에 관한 주요 논문1 - 로마 가톨릭교회

우울증은 매우 중요한 현대인들의 질병입니다. 관련하여, 우을증은 개혁교회에서도 계속 논의되는데, 속도가 더딥니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것의 세부적인 해설은 다를 수 있지만, 큰 틀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에게 내재된 점은 우을증을 '성격, 관계' 등의 주요 키워드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아래의 논문을 잘 참고하여, 많은 분들이 도움을 얻길 바랍니다.^^ 이하, 요약입니다. 이 문서는 가톨릭 교육 기관에서 일하는 교사와 강사들이 청소년 우울증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의학적/정신과적 접근법과 신학적/영적 이해를 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청소년 우울증의 현상, 진단 및 원인: 청소년 우울..

[기독교 사회 한정]왜 악한(나쁜) 리더가 있을까? - 정교회 관점 중 하나

대게 기독교 사회가 '선한(좋은) 리더'를 갖는 것은 맞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대비적인 용어인 '악한(나쁜) 리더'가 종종 있는 법입니다. 정의하기에 다르겠지만, '악한(나쁜)'과 '리더'라는 용어로 정교회에서 그것들의 관계를 변증합니다. 개혁교회는 '악한(나쁜) 리더'를 원래 신앙이 없는 자로 규정하여 그것들의 관계를 단순하게 정리하는데, 정교회는 어떻게 그것들을 정리하는지 단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hr contenteditable="false" data-ke-type="horizont..

러시아 정교회가 '유아세례'를 보는 관점 - 교부들을 중심으로

좋은 논문입니다. 동방교회에서 서방교회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유아 세례'에 대해 신학적으로 또한 목회적으로 이해하고자 접근합니다. 한국교회들은 정교회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하다 못해, WCC에서도 정교회는 반드시 만납니다. 당연히, 개혁교회는 철저하게 스스로의 전통을 점검하고 공교회 안팎의 여러 논의에 대처하도록 외연을 확장해야 합니다. 개혁교회의 정체성을 끝까지 유지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정교회에서도 어린이와 유아에게 신앙을 전수하기 위해 많은 고심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예전(Liturgy)적 차원에서 어떻게 노력할 것인지 교부들의 전통을 바탕으로 답하려 합니다. 정교회 내에서 '유아세례'를 이해하려는 거의 첫 시도인 것 같습니다. * The Doctrine of Origin..

고해성사란? - 곽승룡 신부 강의1(cpbc)

가톨릭교회에서 말하는 '고해성사'를 쉽게 강의한 자료입니다. 가톨릭교회에서 강조하는 '바라봄'을 현대인의 신앙생활에 가장 잘 접목하는 같습니다. 점점 고도화되고 세련된 의식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가톨릭교회의 중요한 의식을 이해 및 수행하고, 개신교가 어떻게 고해성사를 폐지하게 되었는지를 기억해야 합니다(다음에 다룰 수 있으면 자료를 추가하겠습니다.). 어쩌면, 죄를 고백하는 의식을 너무나 잊고 지내는 또는 죄를 고백하지 않는 상태로 살아가는 점이 없는지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안타깝게도 많은 현대개신교회는 이러한 점을 간과하고 그저 사람을 몽롱한 집회에 참석시키는 일에만 열심인 것 같습니다. (목사들도 그렇지만) 성도들의 신앙생활을 억누르지 않아야 하지만, 너무 방목하지 않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