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자료/로마교회 & 정교회 & 유대교'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로마교회 & 정교회 & 유대교 21

The Gospel of St. John as a Paschal Gospel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사복음서 중 요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유월절 어린양'으로 보며 서술됩니다. 이는 정교회에서도 마찬가지이군요! 흥미로운 강의입니다. 정교회에서 요한복음에 관한 교부들의 설교와 주석을 연구할 때, 개혁교회와의 차이점도 쉽게 이해될텐데요. 요한복음에 관한 정교회의 관점을 알 수 있는 입문용 강의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유튜브에 강의 요약도 업로드 되어 있네요! 이번에도 석학의 강의라 그런지 Q&A도 중요하고,흥미롭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8w2XLuUIYQ

Two Syriac Saints for Today: St. Ephrem and St. Isaac the Syrian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초대교회 교부들은 현대의 모든 기독교에서 중요합니다. 그들을 단지 오래된 과거의 역사속 기독교인으로 치부하는 것은 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신앙의 근거와 나아갈 신학적 방향을 스스로 제한함과 같습니다.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도 참고해야 할 좋은 강의가 있어, 링크합니다. 특히, 본 강의에서 다루어지는 교부 에프렘과 이삭은 에바그리우스와 함께 동방교부신학의 큰 축을 이룹니다. 에프렘에 관해 극소수 한글논문이 있는 것은 보았으나, 이삭에 관한 한글논문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 유튜브에서 영문자막을 사용하여, 감상하시길 바랍니다. 아주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데, 두 교부에 관해 요약해서 잘 알려줍니다. 논문으로 쓸만한 소재들도 참 많이 언급되네요! 석학의 강의라 그런지 Q&A도 중요하고,흥미롭습니다.^^ htt..

스콧 한(Scott Hahn) - 가톨릭교회 사제(신부)로 전향한 장로교회 목사에 대해 (비평과 제언 포함)

이분은 상당히 유명한 분입니다. 신학공부도 적게한 분이 아닙니다. 다만, 이분은 교회론에 관한 개혁신학 전공자가 아닙니다. 이분으로 인해, 미국에서도 유럽에서 개신교회가 겪었던 어려움이 본격적으로 표면화됩니다. 바로,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의 가톨릭교회로의 전향입니다. 관련하여, 많은 말을 할 수 있지만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개혁신학은 구원론을 이를테면, Sola scriptura, Sola fidea 등을 강조하는 것으로만 아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는 개혁신학의 일부로 그것의 전부를 얕잡아 평가하는 실책이며, 이러한 실책은 해외 유수의 조직신학을 전공한 개혁파 신학자들도 마찬가지로 저지릅니다. 그래서인지, 스콧 한도 가톨릭교회 사제로 전향한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 저는 예전에 개혁신학자..

한국 정교회에 대한 소개와 논쟁점 제언(영상 자료 포함)

향후 러시아와의 발전적인 관계로 인해, 한국개혁교회는 정교회를 접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블라디보스톡과 캄차카 반도는 한국개혁교회와 정교회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첫 지점이 될 것입니다. 물론, 지금도 정교회는 한국에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한국개혁교회는 러시아와의 문호가 열릴 때를 더욱 대비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개혁신학자들을 키워야 합니다. 정교회는 카톨릭교회와는 또 다른 깊은 신학을 보유했으며, 늘 도전적으로 활동합니다. 희소한 경우이나, 가톨릭교회의 유명한 신학자도 정교회로 신앙처를 옮긴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정교회만 가진 특별한 신학적 지향점이 매력적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개혁교회는 '동정녀 마리아'와 '분파주의'에 대한 신학적 논쟁에 더욱 대비해야 합니다. 이는 개혁교회의 신학적 특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