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원과 광고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철학 & 과학 & 인문학 & 예술 50

인도 철학의 Pramāṇa·Pratyakṣa 이론과 응용 - from. 강성용

다음은 이 논문의 요약 및 핵심 해설입니다. 1. 전체 맥락 • 인도 고전철학 전통에서 ‘어떻게 우리가 진리(지식)를 얻을 수 있는가’를 다루는 인식론적 논의 • 여러 철학 학파(예: Nyāya·Vaiśeṣika, Vedānta, Sāṃkhya, Mīmāṃsā, 불교)마다 허용하는 인식 수단(pramāṇa)과 그 위상 차이 2. Pramāṇa(프라마나) – 지식 획득의 ‘수단’ 혹은 ‘근거’ • 어원과 의미 – 산스크리트어 pramā (“진리”) + ṇa (“수단”)의 결합 – “진리·사실을 확증하는 방법론” 또는 “인식의 기준” • 주요 기능 1) 어떤 판단이 ‘올바른 지식(vṛtti)’인지 판별 2) 오류나 잘못..

헤겔의 자연 철학에 대해

중요한 논문이며, 아래와 같이 3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습니다.Part 1 요약:헤겔의 자연 철학: 헤겔은 가장 추상적인 개념(공간과 시간)에서 가장 복잡한 개념(유기적 생명)까지 기본적인 존재론적 및 자연과학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합리적 물리학: 헤겔의 철학은 '합리적 물리학’으로 분류되며, 물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의 개념적 기초와 원칙에 중점을 둡니다.발현주의: 헤겔은 물질 이원론과 제거적 환원주의를 피하기 위해 정교한 발현주의를 개발하여 물리적 몸체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합니다.뉴턴 비판: 헤겔은 순수한 수학적 증명이 물리 법칙의 현실을 확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철학적 원칙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Part 2 요약:분리적 판단: 이는 클래스 내의 모든 대안 범위를 이해..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정의’ 논쟁[플라톤의 '국가']을 시작으로 한나 아렌트의 비판까지 - 강의와 비평, 논문 포함

본 자료는 '국가는 왜 존재해야 하며, 그 안에 사는 시민들은 어떻게 국가 안에서 행복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답 또는 훈을 줍니다. 김헌 교수님이 플라톤의 '국가'라는 저작을 중심으로 아주 간명하게 결론을 내리는데요. '자유민주주의'를 사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법과 정치와 시민'에 대한 개념을 점검하게 해주기도 합니다. 물론, 소위 '정의'라는 난해한 개념이 그 모든 것들을 관통하며 말입니다. * 물론, 신학적인 개념이 전혀 내포되지 않지만, 본 강의는 한국 교회 그리스도인들이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되새기기에 충분합니다. ->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특정 개념을 '정의'로 절대화 하기에 앞서, 사회에서 전제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있는 것들..

야스퍼스 철학에 관해 - 죽음과 영혼을 무신론으로 논의하기

현대인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야스퍼스입니다. * 야스퍼스도 그의 철학관에서 '사랑, 진실'이라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야스퍼스를 따르는 가치들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개념과 방법을 찾아가길 원합니다.^^ * 죽음에 대한 불안으로 시작하는 사후세계? 한충수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rqeQRGRCV5s * 추후, 비평을 업데이트 합니다.

한국 불교에 대한 소개, 설명 - 김성철 교수 인터뷰(뇌과학에 대한 불교의 대답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지금까지 끼치는 영향력은 중요합니다. 특히, 경상도는 아직도 원효대사로 말미암은 불교적 세계관이 강합니다. 물론,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불교는 여전히 큰 영향력을 끼칩니다. * 그리스도인들은 이를 참고하여, 불교인들과도 늘 대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대화하려는 자세)이 불교인들이 1차적으로 그리스도인들에게 확인하려는 바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관련된 불교 세계관에서 기본적으로 강조하는 가치(무위, 대승, 화쟁 등)들과 그것의 정립과정을 잘 살펴보세요! * 영상은 불교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주로 다룹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VqD6njndjk https://www.youtube.com/watch?v=0nA3-tcGVJA

일본 문화와 문학 접근하기 - '겐지 모노가타리'를 중심으로

임진왜란과 일본제국의 침략 이후, 한국은 일본에게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문화에서도 마찬가지인데요. 남성과 여성을 분리하되, 전쟁에 관련시켜 그것을 발전시키는 특징이 아마 가장 먼저 떠오르실 겁니다. 관련하여, 그런 상황을 잘 이해할 수 있는 강의를 첨부합니다!^^ * 계속 자료와 비평을 업데이트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2ijnCkRYEI

맹자에 관하여 - 개론 강의(3개)

순서대로 맹자가 가진 철학을 비평합니다. 늘 강조하듯, 무엇보다도 시대적 상황이 맹자를 낳았습니다.^^ * 공자, 노자, 장자에 이어 맹자를 다룹니다. 연구소 홈페이지에서 각각을 검색하세요!(자료가 많습니다.) -> 정말 흥미롭게도 한국을 포함한 동양의 철학은 정치이념의 시정을 위해 발전합니다. 그래서인가요? 아니면, 그렇기 때문인가요? 안타깝게도 지나치게 정치에 매달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사람을 생각합니다, 맹자(성백효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FUIOOA2lWp8 * 네 가지 키워드 실천 통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맹자] https://www.youtube.com/watch?v=aaXokVPr6hE * 자기 이익만 탐한 혼란의 시대 맹자가 강조한 좋은..

한국인의 불교&유교 사상 비평 - 화엄경, 근사록, 목민심서 등을 중심으로

(자신의 목숨이 위협받지 않는 선에서) 근현대 한국인들의 일상에서 중요하게 강조되는 가치(value)들이 있습니다. 대게, 이들은 불교와 유교에서 온 것으로서 그 유래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한국 그리스도인들이 자주 접할 수 있는 바이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목회적으로도 이들에 대한 이해가 목회자들에게 전제되어야 합니다. 여러 가지 면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화엄경은 '이타주의'를 그리고 근사록은 '자기 수양'을 그리고 목민심서는 '관리와 제도'의 중요성을 각각 일깨웠다고 생각합니다. 관련하여, 목회를 하다보면, 이 3가지 키워드가 '얼마나 목회에 선악을 가져오는지?' 절실히 느낍니다. 예를 들면, '교회가 교회 외부를 섬겨야 한다.', '날마다 신앙을 쌓아야 한다.', '정치적..

세네카에 관해 - 방황하는 자아

세네카에 대한 강의입니다. *추후 분석을 더 업데이트 합니다. * [지혜의 향연] 세네카 - 방황하는 자아(自我) https://youtu.be/m8wbW57-nQk?si=0VjJtK6ZzaGCbYvc -> 세네카와 바울의 작품을 비교하는 작업이 최근 강조됩니다. 관련하여, 링크를 합니다.^^ 2024.01.02 - [신학 자료/미래신학] - 사도 바울과 세네카의 작품 비교 - 새로운 관점으로 성경 읽기 사도 바울과 세네카의 작품 비교 - 새로운 관점으로 성경 읽기 "바울과 세네카의 대화(Paul and Seneca in Dialogue)"라는 책이 나온 이후, 바울과 세네카의 글 속 철학적 및 신학적 주제를 비교하는 작업이 최근 한창입니다. 잘 알려졌듯, 1세기 비기독교 작가 중에서 cr-minist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