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자료/조직신학' 카테고리의 글 목록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조직신학 39

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5

배춘섭 교수님의 강의 입니다.13주차1 11장 필리핀 상황화 전략https://youtu.be/JLgNIldIkhg?si=fruwOtoOjS6MOPq2 주요 주제- 문화의 심층 구조와 세계관의 영향- 문화의 형태와 의미의 사용- 문화의 외피 문화와 그 의미의 파악 방법- 복음주의 선교 신학자들의 문화 모델 연구와 그 의의- 문화와 그리스도의 신성, 그리고 교회와 권력의 관계다음 할 일- 세계관에 따른 문화의 변화 파악- 성경 번역의 부족한 부분 개선- 문화 형태에 따른 의미 파악- 선교적 상황화 연구요약00:00 ~ 01:14문화의 외피 문화와 내피 문화- 문화에는 표피 구조와 심층 구조가 있음- 세계관으로 인하여 문화의 외피 문화와 내피 문화 심층 문화가 형성되고 있음- 세계관이 모든 것에 영향을 끼쳐..

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4

배춘섭 교수님의 강의 입니다.12주차 이슬람의 다섯 기둥https://youtu.be/4gQvZWmyya4?si=iiJu2u2AcFR66Mn6 주요 주제- 이슬람의 신앙과 교리적 기둥- 자카드와 자카트 개념을 통한 이슬람의 영성- 수피즘과 성자 유품 숭배 사상을 통한 이슬람의 세계관다음 할 일- 이슬람의 교리적 기둥에 대해 연구-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세계관에 대해 조사- 라마단 금식에 참여- 수피즘에 대해 더 알아보기- 자카드의 개념에 대해 연구요약00:00 ~ 02:34이슬람의 6가지 신앙- 이슬람의 6가지 신앙은 알라를 믿고 천사를 믿고 경전과 꾸란이라는 경전과 선지자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음- 이슬람의 기본적인 다섯 가지 교리적 기둥에 관해서 살펴볼 것임- 샤하다라는 것은 알라 외에는 다른 신은..

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3

배춘섭 교수님의 강의 입니다.9주차 1교시 자연ㆍ초자연주의 세계관https://youtu.be/e7CNwQ9DZ-c?si=EfSc0-nll1UHB--c 주요 주제- 세계관의 종류와 특징- 이성주의와 지성주의의 발달과 그 영향- 인식론과 인식의 중요성- 초자연주의적 세계관과 혼합주의적 세계관의 차이다음 할 일- 하나님을 대신한 것에 대한 우상숭배 인식 개선- 초자연주의적 세계관에 대한 연구- 선교사의 세계관 변혁 사역 지원- 세계관에 대한 교육 강화- 독자 중심의 해석 방법 개발요약00:00 ~ 03:07자연주의 세계관- 데이빗 헤세이그레이브라는 학자는 세계관의 종류를 6가지로 크게 구분함- 자연주의 세계관은 초자연적인 것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음-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서 이성주의의 발달로 인해서 ..

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2

배춘섭 교수님의 강의 입니다.5주차 세계관의 기능1https://youtu.be/ULAT3IXxUYE?si=UWifakSLPFNfO-Q8 주요 주제- 세계관의 기능과 역할- 세계관의 중요성과 동양과 서양의 차이- 세계관이 인간의 정서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다음 할 일- 성경을 통한 세계관 이해- 세계관의 기능 이해- 세계관의 변화 능력 인식- 복음을 통한 문화 변혁 전략 수립요약00:00 ~ 02:32세계관의 특성- 세계관의 특성에 관해서 4가지를 살펴봄- 세계관의 기능도 4가지로 구분을 해 놓음03:38 ~ 08:11세계관의 기능과 역할- 세계관은 사람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기능과 역할을 하게 됨- 세계관은 해석학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음- 세계관은 문화 형태를 통해 나타나는 세계관의 영향으로 개인적으로 ..

서양철학사3 - 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이동영 교수)

서양철학사 64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진리론https://youtu.be/t1rv3kA_XOg?si=9J-BFBgBr6v3p6g2서양철학사 65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론https://youtu.be/5_79Fk-F_GE?si=bvaPdwpL45b72rFb서양철학사 66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정론https://youtu.be/tIubVHUks-A?si=3tAVxHbopQzu-NiP서양철학사 67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철학https://youtu.be/JtksITk2O-Q?si=DRVHd0cDZzxHf1Ux서양철학사 68강 : 아우구스티누스와 신플라톤주의 (1) : 이원론과 신국론https://youtu.be/gWat20ARbNc?si=lQDdnRlzWMqAFb8J서양철학..

리츨의 신학 체계 - 현대신학적 관점에서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l)의 신학 체계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신학 용어의 도입: "체계적 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는 용어가 19세기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리츨의 중요성: 리츨은 19세기 독일 개신교 신학에서 중심 인물로, 그의 신학 체계는 후대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단, 리츨 이후의 신학자들은 그의 체계를 기반으로 발전시키려 하지 않았고, 대신 슐라이어마허에 가까운 모델로 돌아갔습니다. 신학 체계의 필요성: 리츨은 신학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기독교 교리의 내적 일관성과 통합을 강조합니다. 단, 리츨의 체계는 복잡성 때문에 단순성, 아름다움, 그리고 일치성을 갖추기 어려웠습니다...

리츨과 튀빙겐 학파에 대해 - 논문 분석

이 논문의 첫 부분은 19세기 신학의 역사와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l)과 튀빙겐 학파(Tübingen School)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츨의 신학: 리츨은 자연과 정신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윤리적 신학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기독교 교리의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했습니다. 헬레니즘 비판: 리츨과 하르나크(Adolf Harnack)는 초기 기독교가 헬레니즘 철학에 의해 과도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역사적 신학: 튀빙겐 학파는 역사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교리의 발전을 이해하려 했으며, 이는 신학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스트라우스의 영향: 다비드 프리드리히 스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

베르까우어(G. C. Berkouwer)와 회퍼(D. Bonhoeffer)의 사상 비교

오래됐지만, 재미있고 중요한 논문(PDF)입니다. 20세기의 유명한 개신교 신학자들의 신학을 존재론(ontology)과 인류학(anthropology)으로 간단히 비교합니다. 본디, 개혁교회에서 조직신학은 반드시 신앙생활과 선교에 직결됩니다. 이점을 고려한 아주 좋은 내용입니다. 둘의 장단점을 '죄(sin)'라는 테마를 중심으로 다루는데, 평신도들에게 직접적으로 많은 도움이 됩니다. * (논문작성시)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개신교 신학자(본 회퍼 대신)를 비교연구를 하시길 추천합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지금 한국개신교에 소개하면,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논문은 목차만 업로드합니다.^^ INTRODUCTION...................................................

베르까우어(G. C. Berkouwer)의 계시관에 대해

베르까우어의 일반계시론과 특별계시론을 요약한 글(PDF, HTML)입니다. * 현재 기준으로 자료를 좀 더 추가하여 한국어로 논문을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베르카우어만의 특징과 이러한 계시관을 갖게된 역사적 정황(Sitz im Leben, 20세기)을 논할만한 때입니다. *아주 오래 전(1959년), 베르까우어(네덜란드)가 계시론에 관한 많은 부분을 저술한 이후, '영국'에서 연구된 자료네요! * 저서 출판 시간표 네덜란드어 제목 날짜 쪽 영어 제목 날짜 쪽 Geloof en Rechtvaardiging 1949 220 Faith and Justification 1952 207 Geloof en Heiliging 1949 222 Faith and Sanctification 1952 193 Geloof ..

베르까우어(G. C. Berkouwer) 신학 요약(입문)

베르까우어에 대한 좋은 소고입니다. '칼빈, 바르트, 로마 가톨릭'와 '베르까우어' 신학적 특징을 4가지 조직신학 분과 각각의 차이점으로 전개(구원론, 교회론, 기독론, 성례론)합니다. 베르까우어의 책이 더 많이 번역되면 좋겠습니다. CLC에서 몇 권을 한 것을 빼면, 거의 없습니다. * 20세기 칼빈주의 3대 신학자라고 말하지만, 한국교회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소고는 간단하고 핵심적 내용을 다룹니다.(PDF와 HTML 버전을 올립니다.) 로마 가톨 릭 교회 와 바르트를 비 판하는 칼빈 주의 자 베 르까우어 의 개 혁 신 학 최 윤 배 1 . 서 론 1996년 1월 25 일 포르하우뜨 ( Voorhout ) 에 서 소천 한 네 덜 란드 개 혁 교 회 의 교의 학자 헤 리 뜨 꼬르넬 리 스 베 ..

교회력에 관하여 - 절기, 색깔, 찬송 등의 설명

개혁교회도 교회력을 소중하게 여깁니다.(칼빈도 교회력을 존중하고, 굳이 배척하지는 않았습니다.) 단, 종교개혁 당시에 너무 교회력이 지나치게 잘못 이용된 탓에 지나칠 정도로 그것의 사용을 금지한 것이 후대(지금까지도)에 영향을 줄 뿐입니다.  * 여러 교회력을 잘 사용하여, 1년 내내 하나님과 함께 하는 유익이 있기를 기도합니다.^^교회력 l. 한국교회 교회력에 대한 단상https://youtu.be/Rt-h79voJOY?si=ke3-AlbLeD6svgej 교회력 ll. 교회력(The Church Years)https://youtu.be/tGAstmP5S-k?si=jX57pdfcfS0Lq-YI 교회력 lll. 대강절(Advent)https://youtu.be/9a57-gX41XA?si=ZJQPQGfnya..

서양철학사2 - 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이동영 교수)

서양철학사 44강 : 사이비 종교와 신플라톤주의https://youtu.be/cvCurXuxNFE서양철학사 45강 : 헬레니즘으로부터 중세로https://youtu.be/Pun_z7MITjk서양철학사 46강 : 중세의 여명 - 신앙과 이성의 불편한 동거https://youtu.be/KXQ1O5TVILY서양철학사 47강 : 망막수술, 그리고 신앙과 이성https://youtu.be/A1gmMjNzTxU서양철학사 48강 : 장미의 이름 - 교부철학과 스콜라철학https://youtu.be/6rINyZb9f2g서양철학사 49강 : 중세철학으로 들어가기https://youtu.be/bSbGavRRQzM서양철학사 50강 : 그리스도교와 헬라스 철학의 만남https://youtu.be/38caapCj2g8서양철학사..

'원죄와 용서 그리고 유아세례'에 대한 어거스틴의 관점

'원죄 교리'는 초대교회 어거스틴 이래로 정립되었습니다. 핵심적으로 원죄 교리를 '초대교회 송영신학의 아름다운 결과물'로 이해하는 것이 현대인들에게 원죄교리를 오해하지 않는 '유일한 길'입니다. *관련하여, 모든 논의의 중심에 있는 어거스틴의 'De peccatorum meritis et remissione et de baptismo pavulorum'(죄벌과 용서 그리고 유아세례)을 업로드합니다. 직접, 어떤 의도로 원죄교리가 생성되었는지 파악하시길 바랍니다. 필립 샤프의 번역을 올립니다. -> 라틴어 원문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De Peccatorum Meritis Et Remissione Et De Baptismo Parvulorum A Treatise On The Merits And Forg..

서양철학사1 - 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이동영 교수)

저의 스승이신 이동영 교수님께서 너무 좋은 강의를 풀어(?!)주셨습니다.^^ 개혁교회 그리스도인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서양철학 속에 신학이 중심을 잡고 있음을 알지 못합니다. 이는 그 동안 한국교회가 전반적으로 체계적으로 건실하지 못함을 드러냅니다. 신학이 얼마나 중요하며, 어려우며, 그 어떤 철학보다도 상위에 있음을 잘 드러내는 강의가 될 것입니다. 물론, 그 와중에 교수님이 서양의 전체적으로 중요한 철학적 역사적 문화적 흐름을 간단명료하게 짚으십니다. * 이 강의는 그리스도인들을 1차적으로 위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이 서양철학을 일일이 하나씩 살펴보고, 그것이 그리스도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이에, 각각의 철학사조의 핵심을 이해하되, 그것의 문제점과 당시 그리스도인들..

몰트만 초청 강연 : "주께서 나의 발을 넓은 곳에 두시니 ...", 신학자가 된 이유를 위주로

몰트만이 한국을 방문했던 것은 한국개신교회 전체의 신학생과 신학자와 목회자들에게 매우 유명하고, 중요합니다. 여기서 나아가 몰트만의 신학이 한국개신교회에 더욱 대중적으로 알려지길 바랍니다. 몰트만과 '그 삶의 정황(자리)'에 대해 알 수 있는 중요한 강의이기에 다소 영상의 품질이 낮더라도 업로드합니다. * 개혁신학은 언제나 그러하듯 모든 신학자들을 공정하게 또한 비판적으로 또한 '건설적으로' 수용합니다. 스스로의 신학자들을 포함해서 말입니다. 링크에 달려있는 이신건 교수님의 코멘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몰트만과 관련된 최고의 1차자료가 아닐지 싶습니다. 일종의 간증이니까요!https://www.youtube.com/watch?v=pxxnX4kOHnU -> 이하, 주요 시간대별 요약입니다.주요 주제- 신..

하이델베르크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공통점과 차이점

종교개혁시기에 유럽개혁교회는 각자가 처한 '지역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거의 같은 시기에 신앙고백문을 저술하였습니다. 여기에는 '여러 개혁교회의 공통성과 다양성을 찾아 볼 수 있는 아름다움이 간직'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개혁교회의 독특한 특징이며, 더욱 신학을 풍요롭고 실천적으로 만드는 긍정적 효과를 낳습니다. * 이 둘을 분석한 논문이 있어서, 소개하려 합니다. 항상 그러하듯 개혁교회는 분명하게 일치된 기준을 전제로 현시대적 다양함이라는 '아름다움(beauty)'을 가집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두 신앙고백문은 하나된 신앙고백을 전제로 특정 이유로 인해 이를 다른 방식과 아름다움으로 서술하였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개혁교회에서 회심과 성화는 '논리적으로 구분'될뿐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개념'으..

현대 개신교 조직신학 강의(개론) - 미하엘 벨커(독일어)

하이델베르크에서 봉직 중인 미하엘 벨허(Michael Welker) 교수님의 최신 강의입니다. 한국에서는 기독론으로 잘 알려진 개신교 신학자이기도 합니다. 하이델베르크, 에딘버그, 시카고 대학교에서 하신 18개의 강의를 업로드합니다. 개인적으로 정통개혁신학적 견해를 가진 분으로 생각합니다. 웬만한 조직신학적 주제는 거의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 현대에 필요한 신학적 내용을 이렇게 과거의 신학과 잘 연결시키시는 분은 찾기 힘듭니다. 전통적인 신학을 이해한 후, 현대에 필요한 신학과 목회로의 적용방향을 파악하시는 용도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아주 쉬운 문장으로 진행된 강의이니, 편하게 보시면 됩니다. 유튜브이니 자막설정을 간단히 하시면, 원어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번역을 시키니, 약간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