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5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d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연구소/제자훈련 & 강의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5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d

개혁신학어벤져스 2024. 8. 14. 23:01

https://youtu.be/tc8V9csBtMw?si=vebR1vkc8xP8tR6j


 

신학서론의 중요성

  1. 교의학과 조직신학:
    • 둘은 본질적으로 같지만, 서술 체계나 내용 자체에 포커스를 두는지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 신학을 이해하기 위한 프롤레고메나(신학 서론)가 필요합니다.
  2. 프롤레고메나:
    • 신학의 방법과 원리를 다루는 서론 부분을 의미합니다.
    • 헤르만 바빙크와 칼바르트는 신학의 방법론과 원리를 중시했습니다.
    • 게르하르트 에벨링은 기초신학이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설명합니다.
  3. 비유:
    • 교수님은 요리 비유를 통해 방법과 원리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 테니스나 수영 같은 스포츠에서도 기초와 기본 자세가 중요하듯이, 신학에서도 기본 방법과 원리가 중요합니다.

신학서론의 필요성

  • 잘못된 방법과 원리는 신학의 전체 구도를 뒤틀리게 하고, 본론에서 심각한 오류와 오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한국 교회에서는 신학 서론 부분의 교육이 느슨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신학생들이 기계적으로 지식을 암기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 신학의 기초를 제대로 배우지 않으면, 평신도들이 교회를 떠나게 됩니다.

해결 방안

  • 신학의 방법론을 다시 배우고 가르치는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
  • 이를 통해 한국 교회의 신학 교육 수준을 높이고, 신앙체계를 올바르게 정립해야 합니다.

  * 이 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쓰였으며, 앞으로도 신학의 기초를 다지는 내용을 계속 다룰 예정입니다. 

naver band 페이스북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