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4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c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연구소/제자훈련 & 강의

[연구소] 2024 신학강좌 - 신학레시피, 4강, 신학과 신학방법론의 중요성c

개혁신학어벤져스 2024. 8. 6. 11:20

https://youtu.be/o911gIO_fZE


 

교의학과 조직신학:

  • 교의학은 그리스어 "도그마"에서 유래된 용어로, 가르침이나 결정을 의미하며, 교회의 권위 있는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 교의학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내용을 포괄적, 체계적으로 기술하려는 학문적 시도입니다.
  • 헤르만 바빙크는 교의학을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학문적 조직체계라고 정의했습니다.
  • 헨드리쿠스 베르코프는 교의학을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와 관계 맺으신 것에 관하여 조직적으로 사고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했습니다.

교의학과 조직신학의 차이:

  • 조직신학은 교의학의 전개 방식 및 서술 방식을 부각시키는 용어입니다.
  • 교의학은 조직신학의 내용적 측면을 부각시키는 용어입니다.
  • 현대 신학자들은 교의학보다 조직신학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이는 교리가 적용 및 실천 측면에 치중하는 뉘앙스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교의학과 조직신학의 전제:

  • 신학은 하나님에 관한 질서정연한 지식을 추구하며, 이는 늘 겸손하고 성찰하는 자세를 필요로 합니다.
  • 아우구스티누스는 지상에서의 신학을 '나그네 신학'이라고 규정했으며, 이는 임시적이고 완벽하지 않은 신학을 의미합니다.

* 이번 강의는 교의학과 조직신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신학을 접근하는 데 있어 겸손하고 성찰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naver band 페이스북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