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인섭 교수님께서 믿음과 실천에 관한 종교개혁시기의 적용사례(네덜란드)를 짚어주셨습니다.
쉽고 간단한 강의이며, 개혁신학의 방법론인 '원문'에 근거한 분석과 적용의 중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s6W_DamGk4&app=desktop
-> 니고데모파에 대해 추가적인 자료를 링크합니다.^^
2023.11.27 - [신학 자료/추천 신학 논문] -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에 대해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 아래에 교수님의 논문을 첨부합니다. '니고데모파'는 언제라도 개혁교회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_신앙이 있으니 미사 참여를 해도 된다고 주장하는 경우)
* 개신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자칫, 신사참배를 하면서도 자신에게 신앙이 있으니 괜찮다고 말하는 극단적인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개혁신학」 55(2017): 8-39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안인섭
(총신대학교)
<한글초록>
칼빈은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요 니고데모주의자(Nicodemite)였던 코른
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 1560-1562년에 걸쳐 로마 가톨
릭의 의식(Ceremony)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당시 네덜란드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가요 신학자였던 코른헤르트는 1560년에 네덜란드어로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한글로는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을 저술하여 칼빈을 비판했다. 이 책은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
들에 의해서 번역되어 칼빈에게 전달되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대해서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을
저술하여 1562년에 출판하였으며 코른헤르트에게 전해졌다. 칼빈은
1537년 Epistolae duae(두 서신)부터 1562년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까지 25년을 한결같이 니고데모주의를 비판해 왔다. 칼빈의 이 소논문
은 니고데모주의자들에 대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정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투17.7.16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9
코른헤르트는 기독교 신앙은 성령에 의한 신자들과 하나님 간의 내적이고
영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외적으로 참석하는 것은
개인의 신앙에 저촉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인의 핵심적인
삶의 가치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라면서 종교적인
의식이나 예전은 인간적인 기구들일 뿐이며 성경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코른헤르트는 당시 스페인의 지배로부터 네덜란드의 독립을 진행하는
오렌지공 윌리엄의 자문 역할을 담당했던 무게 있는 지도자였다. 또
종교적인 관용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던 인문주의자로서 네덜란드에서
그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따라서 코른헤르트의 주장은 네덜란드 칼빈주의
자들을 신학적으로 혼란하게 할 수 있었고 그들의 영향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던 중대 사안이었다.
코른헤르트의 이런 주장은 지금까지 칼빈과 개혁파 신학자들이 종교개혁
의 신학을 가졌다면 로마 가톨릭의 예전에 참석해서는 안되며 그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박해도 감수해야 하고 망명을 해서라도 신앙의 자유를
지키라고 했던 강조점을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코른헤르
트의 공격에 대한 칼빈의 신학적 답변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유럽 전체의 칼빈주의가 직면한 도전에 대해서 교회의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중대한 신학적 진술이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에 대해서 영혼과 육체,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칼빈은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통전성이라는 핵심적인 가치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칼빈의 답변은 칼빈 자신이 네덜란드 칼빈주의 신학의 발전과
네덜란드의 독립에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 칼빈이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는 영적이고도 육적인 삶의 예배,
그리고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일치라는 핵심적인 가치는 스페인과 가톨릭
교회로에게 영감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0
을 주었다. 실제로 칼빈은 네덜란드가 1560년대 이후 저항과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해 주었으며, 조국을
떠나서라도 종교개혁 신앙에 따라 살수 있도록 강력한 신학적 동기를
부여했다.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결과적으로 유럽의 칼빈주의 강화와
국제화에 공헌자가 될 수 있었다.
주제어: 칼빈, 교회와 국가, 니고데모주의, 코른헤르트, 네덜란드 칼빈주
의, 예배
I. 들어가는 글
칼빈은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요 니고데모주의자(Nicodemite)였던 코
른헤르트(Dirck Coornhert: 1522-1590)와 1560-1562년에 걸쳐 로마
가톨릭의 의식(Ceremony)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당시 네덜란드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가요 신학자였던 코른헤르트는 1560년에 네덜란드어
로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을 저술하여 칼빈을 비판했다. 이 책은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
들에 의해서 번역되어 칼빈에게 전달되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변증
에 대해서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을
저술하여 1562년에 제네바에서 쟝 크레스핀(Jean Crespin)에 의해
불어로 출판하였으며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에게 전해졌다.1 칼빈이
1
Calvin, CO 9 columns 584-638. 이 작품의 불어명은 다음과 같다. Response a un certain
Holandois, lequel sous ombre de faire les chrestiens tout spirituels, leur permet de polluer leurs
corps en toutes idolatries. 줄여서 Reponse un certain Holandois이라고 표기한다. 영어 번역본은
다음을 보라. Christians
very spiritual Calvin to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11
코른헤르트에게 보낸 이 소책자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칼빈은
1537년 Epistolae duae(두 서신)부터 1562년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까지 25년을 한결같이 니고데모주의를 비판해 왔다. 그러나 그
니고데모주의자들이란 누구이며 어떤 역사적 상황에서 무슨 신학적
논의를 하고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 칼빈의 소논문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은 니고데모주의 반박의 대상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유일한 역사적인 사례가 된다. 따라서 니고데모주의자들에
대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정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현재 남아있는 코른헤르트의 변증은 두 개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인쇄본(printed version)이고, 둘째는 육필본(handwritten
version)이다. 첫 번째 인쇄본은 1633년에 출판된 것이며, 콜롬(Colom)
의 코른헤르트 저작 전집에 실려 있는 것이다. 두 번째인 육필본은
레이든 대학교 도서관(Leiden University Library)에 보관되어 있는
것인데 1572년 육필본의 복사본(copy)이다. 사본학적인 어려움은 이
책의 인쇄본은 코른헤르트의 사후 43년 후에 출판되었다는 것이고,
레이든 대학교의 육필본은 코른헤르트 자신에 의해서 기록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네덜란드의 역사신학자 미리암 판 페인
(Mirjam van Veen)은 코른헤르트의 저작 전집인 콜롬본을 코른헤르트
자신의 육필본에 보존되어 있는 그의 다른 저작들과 비교 연구를 진행했
다. 그 결과 레이든의 코른헤르트의 변증 친필본이 1560년의 코른헤르
트의 원본에 가장 근접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2
the Faithful in the Low Countries. Tr. Rob Roy McGregor. Calvin Theological Journal 34 (1999),
291-326. 이하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로 표기하되, 이 작품의 한국어판이 없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탤릭체를 사용하여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으로 표기할 것이다. Herman Selderhuis
and Peter Nissen, The Sixteenth Century, in Handbook of Dutch Church History (ed.) Herman
Selderhuis (G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5), 183-184 ; William den Boer, “Het Nederlands
calvinisme,” in Calvijn en de Nederlanden (eds.) Karla Apperloo-Boersma & Herman Selderhuis
(Alblasserdam: Verloop, 2009), 87-88.
an Calvijn met
nicodemietenversity, 2001),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2
따라서 본 논문에서 분석하는 코른헤르트의 로마 가톨릭 우상숭
배에 대한 변증(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의 원문은
이 저서의 육필 복사본(1572)을 중심으로 판 페인이 편찬한 본문에
근거한다.3 이 변증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 부분은
의식(ceremonien)이 중요한지 그 여부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변증의
뒷부분은 신앙을 증거할 것이 허용된 사람들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4
본 연구는 칼빈과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와의 논쟁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신학적으로 평가하면서 그 안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론
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5 칼빈은 코른헤르트에 대해서 영혼
과 육체,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본 논문은 칼빈이 피력하고 있는 개혁주
의 신학과 삶의 통전성이라는 핵심적인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동시에 그 신학이 가톨릭을 강력하게 후원하고 있는 스페인의
가혹한 박해에 대해 네덜란드가 저항하고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
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161-164. 코른헤르트의 그 외의 저작은 다음을 보라. Dirck Coornhert, Coornhert in het klein: Korte
teksten over deugd onwetendheid en volmaakbaarheid, (tr.) Ruben Buys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1. ; ______ , Synod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A thorough examination during the gathering held
in the year 1582 in the city of freetown, (tr. and ed.) Gerrit Voogt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08). 코른헤르트에 대한 연구는 위의 판 페인의 중요한 연구 외에 다음을 보라. Mirjam Van Veen,
Dirck Volckertszn Coornhert (Kok: Kampen, 2009) ; Jaap Gruppelaar and Gerlof Verwey (red.), D.V.
Coornhert(1522-1590): polemist en vredezoeker,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0).
3
코른헤르트의 16세기 원문은 판 페인의 책에 부록으로 전문이 소개되어 있다. Dirck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in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Ph.D. Dissertation (Amsterdam: Free University, 2001), 210-46. 이하 Verschooninghe로 표기하며,
이 소책자의 한국어본이 없으므로 이태릭체로 변증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4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165-72.
5
칼빈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의 국제화와 관련된 연구로는 다음을 보라.
안인섭, “칼빈의 신학과 네덜란드 종교개혁과의 관계: 필립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의 총신대학교,
2017년 4월 8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13
이를 위해서 먼저 16세기 유럽의 니고데모주의와 그와 관련된 유럽과
네덜란드의 역사적 상황을 살펴볼 것이다. 그 후에 코른헤르트의 변증
(Verschooninghe)을 신학적으로 분석한 후에 그에 대한 칼빈의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의 신학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의 관계와 네덜란드 칼빈주의 국제적 현상에 대해서
고찰할 것이다.
II. 16세기 유럽의 니고데모주의
(The Nicodemism)와 교회와 국가
1. 니고데미즘에 대한 이해
칼빈이 언급하고 있는 니고데모주의는 개신교 사상을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가톨릭 교회에 순응하는 것을 합리화하면서 자신의
신앙을 숨기고 있는 복음주의자들, 이단자들, 개혁자들 등을 지칭한다.6
니고데모주의 연구에 있어서 긴즈부르크(Carlo Ginzburg)를 주목할
수 있다. 긴즈부르크는 스트라스부르그의 브룬펠스(Otto Brunfels)의
Pandectae(총람)에 나타난 니고데모주의 사상이 르페브르(Lefvre D'
Etaples)를 통해서는 프랑스로, 레나토를 통해서는 이탈리아로, 그리고
브룬펠스 자신을 통해서는 독일로 확산된 전 유럽적인 사조였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칼빈은 직접 네덜란드 지역의 니고데모주의자 코른헤
6
칼빈과 니고데모주의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들을 보라. Carlos M. N. Eire,
War against the idols: the reformation of worship from Erasmus to Calvi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특히 제7장을 보라. ; Robert White, “Calvin, The Nicodemites and the
cost of Discipleship” The Reformed Theological Review 56 no. 1 (1997), 14-27. ; _____ , “Calvin
and the Nicodemite Controversy: An overlooked text of 1541,” Calvin Theological Journal 35 (2000),
282-296.
니고데모주의에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4
르트를 비판하는 소논문을 저술했음에도 불구하고, 긴즈부르크는 네덜
란드 지역의 니고데모주의를 파악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니고데모주의자들은 네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8 첫째는 명성을
얻기 위해서 복음을 설교하는 자들이다. 칼빈에 의하면 이들은 하나님에
대한 진정한 예배를 위해서 애쓰는 자들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이용해서 이득을 취하고자 하는 자들이다. 둘째는 고상한 최고 서기관들
로서 설교권이 없었던 성직자들이나 교회의 고위 행정직원들이다. 이들
은 복음을 가지고 있었으나 자신의 자유로운 삶에 방해 받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다. 셋째는 기독교를 철학으로 바꾸는 지성인들이다.
결국 이 범주에서 행동하는 종교개혁자들과 그렇지 않은 인문주의가
가려진다. 변호사나 판관, 의사, 철학자, 문학자, 신학자 등의 사람들이
여기에 속했다고 볼 수 있다. 넷째는 평신도인 상인과 평민들이다.
이들은 자신의 편리와 안정을 위해서 니고데모주의자들을 모방할 뿐이
다. 요약하자면 니고데모주의자들은 여러 고난 속에서 진리를 따라
살 것을 외면하고 자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성경에서 니고데모를
사용해서 변명하는 자들이라는 것이다.
니고데모주의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공헌했던 에이레(Carlos
M.N. Eire)는 니고데모주의에 대한 개념이 브룬펠스의 영향을 벗어나면
서 점차 산만해졌고 신령주의화 되었다고 비판한다. 그 예로 칼빈이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를 비판하는 것을 들고 있다. 에이레를 따르면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의 신령주의는 가장 잘 발달된 위선의 신학이라
고 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니고데모주의는 종교적인 박해가
극심하고 자유로운 예배 참석이 금지되던 시대에 나타났다는 것이다.9
대한 국제적인 연구 경향의 분석에 대해서 15-20페이지를 보라. 그 외에 다음을 참조하라. 강경림,
“니고데모주의의 기원,” 한국칼빈학회 편 『최근의 칼빈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174-212
; 황정욱, “Carlo Ginzburg 저, Il nicodemismo의 서평,” 「신학연구」 35 (1994): 267-75.
8
박3) (1996),
212-14.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15
코른헤르트는 네덜란드의 독립 시기에 내면적으로 신앙의 자유를 가지
고 있다면, 형식적인 미사에 참여하는 것은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면
서 네덜란드 독립 운동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던 인물이었다.
그러므로 그의 주장은 종교개혁 시대의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와 관련해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2. 니고데미즘과 정치
한스 숄이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칼빈이 니고데모주의자들을 반박하는
글들은 결과적으로 프랑스 개신교의 정치화를 도입했고 그것을 보다
더 가속화 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10 프랑스의 니고데모주의는 신앙에
대한 박해 속에서 일어난 현상이라는 이해를 전제하면서도 그것이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희망적인 미래를 기대하는 맥락에서 이해되기도
한다. 1533년의 프랑스 상황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와 그와 적대적이었
던 프랑스의 왕, 그리고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막강한 권력을 확보하는
것을 견제하려는 로마 교황의 정치적인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다면 니고데모주의자들은 조금만 인내하면
박해는 해결되고 교회의 평화가 회복될 것을 기대하면서 잠정적으로
자신의 신앙을 적극적으로 고백하지 않고 있었던 사람들이다. 그러나
프랑스의 프란스 1세가 사망하고(1547) 헨리(Henry) 2세가 뒤를 이으면
서 종교재판소(chamber ardent)가 설치되어 강력한 박해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프랑스 개신교도들은 신앙의 자유와 교회 일치라는 소망을
버리게 되었으며 1550년대에 들어 프랑스 지역에서 더 이상 니고네모주
의 논의는 소멸되었다.11 그래서 마음과 몸으로 하나님을 예배하기
9
Carlos M. N. Eire, War against the idols: the reformation of worship from Erasmus to Calvin
(New Yor
171-73.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6
위해서 고향에 머무르면서 박해를 불사하거나, 신앙의 자유가 있는
곳으로 망명을 가라는 것이다.12
그러나 네덜란드 지역은 프랑스의 상황과 달랐다.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와 칼빈의 논쟁의 경우는 첫째로 그것이 1560년대에 발생했
고, 둘째 당시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은 정치적으로는 스페인 신앙적
으로는 가톨릭 교회라는 두 개의 절대적인 적이 압박하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더 정치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칼빈이 오랜 세월 씨름했던 니고데모주의는 종교적
인 박해를 받고 있었던 유럽의 정치적인 배경 하에서 종교개혁 신학을
수용했던 그룹 가운데 나타났던 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신령주의나 영성주의라는 신학적 성격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특히 네덜
란드 지역에서, 니고데모주의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더 타당할 것이다. 니고데모주의는 로마 가톨릭과 스페인의 이중의
박해를 받던 네덜란드의 종교개혁 신앙인들이 잠정적으로 정치적 상황
의 호조를 기대하면서 보였던 신앙 생활의 한 양상이었다. 칼5세의
뒤를 이어 필립 2세가 왕위를 계승하여 네덜란드의 정치적 상황이
보다 악화되어 가면서 코른헤르트와 같은 네덜란드의 니고데모주의자
들은 점차 정치적으로는 스페인에 대한 저항과 독립의 길이라는 방향을
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스페인의 압제로부터의 저항과 독립을 지향하
던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은 다른 국가보다 니고데모주의에 대한
입장이 보다 복잡했을 것으로 보인다.
11
황정욱, “니코데미즘의 기원 고찰,” 「신학연구」 35 (1994): 67-108. 그의 다음을 참조하라.
“칼빈의 '두 서
12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17
III. 코른헤르트의 로마 가톨릭의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1560)
1. 코른헤르트의 생애13
네덜란드의 르네상스 시대에 리더십을 발휘했던 신학자이자 철학자
이자 정치가이자 예술가였던 코른헤르트는 1522년 암스테르담의
의류 상인의 막내로 태어났다. 비교적 미천한 신분이었던 코르넬리아
시몬스(Cornelia Simons)를 아내로 맞음으로 부모로부터 상속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1541년에 아내의 고향이었던 할렘(Haarlem)에 정착
하게 되었는데, 여기에서 그는 마르틴 판 헤임스께르크(Maarten van
Heemskerck)에게 영향을 받게 된다. 코른헤르트는 그와 함께 동판화가
로서 유명하게 되었다.
라틴어를 배운 후에는 1552년에 키케로, 세네카 보에티우스
등의 작품을 네덜란드어로 번역했다. 특히 그가 1562년에 호머의 오딧
세이의 첫 12책을 번역한 것은 네덜란드의 르네상스 시 부문에서
첫 번째가 되는 중요한 작업이었다.
코른헤르트는 1560년에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을 저술하면서 니고데모주의
논쟁에 끼어들었다. 칼빈의 반-니고데모주의 저작들과 메노 시몬즈
(Menno Simons)의 데이비드 요리스(David Joris)를 반대하는 논문들을
반대했다. 코른헤르트는 요리스와 같은 라인이었다.14 코른헤르트가
13
코른헤르트의 생애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Mirjam Van Veen, Dirck Volckertszn Coornhert
(Kok: Kampen, 2009), 13-53.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8
변증 이전에 저술했던 논문들은 명백하게 그가 세바스챤 프랑크
(Sebastian Franck)에게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고 있다.15
1562년 이후 그는 할렘(Haarlem)에서는 존경받는 시민이었다.
그는 시의 비서였고 몇 년 동안 얀 판 쉬런(Jan van Zuren)의 인쇄업에
참여했었다. 얀 판 쉬런은 특히 키케로와 세네카 등 코른헤르트에
의해서 진행된 번역들을 출판했다. 코른헤르트는 오렌지 공 침묵의
윌리엄(William the Silent, Prince of Orange)을 도우며 스페인에
대항하는 운동에 가담하여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1568년에는
헤이그에서 수감되었다가 독일의 클레베스(Cleves)로 도망가 예술가로
정착했다. 1572년에 다시 네덜란드의 부름을 받아 네덜란드 공화국의
국무장관(secretary of state)을 역임하기도 했다. 군사적인 폭력을 혐오
해서 클레베스로 돌아갔으나 오렌지공 윌리엄은 지속적으로 그의
자문을 받았다. 코른헤르트나 혹은 마르닉스(Philip van Marnix) 중에
하나가 네덜란드의 국가(Wilhelmus van Nassouwe)를 지었다고 알려
져 있다.
코른헤르트는 신학적으로는 당시 네덜란드에서 권위있게 교육
되고 있었던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를 비판했다. 후에 아르미니우스
는 코른헤르트의 사상을 수용하여 유명한 아르미니우스 논쟁이 네덜란
드 신학계를 강타하게 되기도 했다. 그는 1590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신약을 화란어로 번역하고 있었는데 완성하지는 못했다.
15
MCalvijn met
nicodemieten, in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19
2. 칼빈을 비판하는 코른헤르트의 신학적 주장
1) 신앙과 의식: 영혼과 육체 / 구약과 신약
칼빈은 1537년의 두 서신 이후 1550년대 초까지 지속적으로 종교개혁
신앙을 수용한 자들에게 로마 가톨릭의 미사와 의식에 참여하지 말라
고 가르쳐 왔다. 네덜란드의 인문주의자 코른헤르트는 자기 나름의
신학을 가지고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이라는 자신의 소책자에서 칼빈을 맹렬하게 공격
했던 것이다.
코른헤르트는 마태복음 26장 61절(막 14: 58, 요 2: 19)의 예수께
서 성전을 헐면 다시 세우겠다는 구절을 연상시키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따른다면 안식일이나 성전과 같은 외적인 의식을 중시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면서 칼빈과 메노 시몬즈(Menno Simons)의 이름을
들어가며 비판하고 있다.16 코른헤르트는 이어서 칼빈과 시몬즈가 육신
의 법에 집착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코른헤르트는 칼빈과 시몬즈가
그리스도의 외적인 삶을 따르면서 표피적인 의식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것은 구약의 세계에 속한 것이며 거울과 같을 뿐이라고 신학적인
공격을 가하고 있다.17
그러므로 코른헤르트는 칼빈이 성도들을 외적인 의식 아래에
들어가도록 강요함으로 그리스도의 풍성함을 제한하고 있다고 주장하
16
Dirck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212-13. “... den Heere gescholden
ende als een overtreder des wets gelastert ende dat seecker nijet met minder reeden ofte recht dan
Calvin, Menno met haren anhang nu den dienaren Christi ende ondersaten sijns geests lasteren,
veroordelen ende als godtlosen verdoemen. Want Christus uytwendich den sabboth breeckende voorwaer
nyet minder straffweerdich en scheen in den oogen der phariseen dan syn dienaren deur den uijterlicken
schijn der affgoden eere in dees luyder oogen.”
17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215. “Willen dan Calvin, Menno
etc. noch eenich uyterlick gebaer off ceremonien drijven ende leeren, sij volgen in allen saecken
den volmach enich Jodes,
maer hem eeft.”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20
는 것이다.18 코른헤르트를 따르게 된다면 칼빈의 주장을 따라서 외적인
의식을 따르는 자는 진정한 그리스도인으로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제네바의 시민들도 마찬가지가 된다.19
코른헤르트에 의하면 로마 가톨릭의 미사와 의식들은 구약의
시대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마치 구약의 의식이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구약을 성취함으로 종료되었듯이 로마 가톨릭의 의식의 문제도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코른헤르트의 눈에 이런 의식들은
단지 더 높고 더 영적인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가
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코른헤르트는 로마 가톨릭의 미사와 의식에
참여하는 문제를 공개적으로 반대함으로 인하여 비본질적인 문제에
자신의 목숨을 거는 것은 오류라고 강변하고 있다. 코른헤르트에 의하면
신약의 가르침은 칼빈과 시몬즈가 강조하는 외적인 것을 초월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코른헤르트에 의하면 예수 자신도 구약의 의식법이 종료되었다
고 삶으로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코른헤르트는 예수의 지상
사역 동안에 예수의 제자들도 순교자가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코른헤르
트는 바울 역시 의식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명백하게 가르쳤다고
주장하면서 바울이 디모데의 할례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20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의하면 칼빈과 시몬즈는 외피와도 같은
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함으로 기독교의 본질적 가치가 왜곡되었다고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른헤르트의 강조점은 그리스도는
18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215-16. “Wil dan Calvinus immers
met gewelt het verborgen, inwendige rijcke Christi noch onder eenige ceremonien off uijterlicke gebaer
dwingen, waeromme verlaet hij dees voors[eyde] ende loopt wederomme achterwaerts in de jootsche?”
19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218. “Soo en ist nu oock geen christen
die uijtwendich gedoopt is ende die duitwendige ceremonien nae der leringe Calvini onderhout. Waer
dat, soo waren alle borgers van Geneven christenen ende waer elck een te raden terstont van syn
woonplaetse d
20
C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21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고 가르쳤다는 것이며, 그는 이
점이 자신과 칼빈의 대조점이라고 보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코른헤르트가 칼빈을 비판하는 관점은 명확하
다. 코른헤르트는 신앙의 본질과 형식의 관계를 영혼과 육체의 관계,
그리고 구약과 신약의 이중성에서 찾고 있다. 그러나 칼빈과 메노
시몬즈는 비본질적인 육체와 구약에 해당하는 의식을 과도하게 강조함
으로 순진하게 종교개혁 신앙을 수용한 사람들을 순교로 내몰고 있다는
것이다.
2) 진리를 경험한 자만이 진리를 증거할 수 있음
코른헤르트는 자신의 변증에서 두 번째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
주제의 핵심은 복음의 진리를 증거하는 것이 누구에게 허용되었는가의
문제다. 코른헤르트는 여기에서 역시 칼빈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비판하
고 있다. 코른헤르트에 의하면 칼빈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해야 한다고
강요했던 사람들은 사실 그런 자격이 아직 없는 자들이라는 것이다.
코른헤르트는 진리를 경험한 사람만이 그것을 증거할 수 있다고 주장하
고 있다.21 이때 경험하는 진리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코른헤르트는
특별한 영적인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코른헤르트는 오직 중생하고 죄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만이 그들
의 진리를 공개적으로 고백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코른헤르트에 의하면, 아직 진리에 도달하지 못한 자가
자신의 신앙을 증거하다가 순교하는 것은 오히려 보다 상위의 영적인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가로막는 것이 된다. 코른헤르트 사상에는 일반적
으로 고전 즉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와 키케로(Cicero) 등의 인문주
의에 대한 관심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판 페인에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22
의하면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나타나는 영성주의는 중세의 신비주의
그리고 에라스무스(Desiderius Erasmus, c.1466-1536), 프랑크
(Sebastian Franck, 1499- c. 1543)와 요리스(David Joris)의 오른팔이었
던 블레스데이크(Nikolaas Meyndertsz van Blesdijk, ca. 1520-1584)
등에게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프랑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았을
22
것으로 보인다.
IV. 칼빈의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1562)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
1. 저술 동기와 구조
기본적으로 칼빈이 네덜란드 니고데모주의자 코른헤르트에게 보낸
논문은 그가 직접 칼빈을 언급하면서 비판하는 “논증”(Verschooninghe)을
보냈기 때문에 작성되었다.23 칼빈의 답신을 기대하는 칼빈주의자들은
코른헤르트의 작품을 번역해서 칼빈에게 전했다고 칼빈이 그의 답변에
서 밝히고 있다. 칼빈이 읽었던 번역본이 프랑스어일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24 칼빈 자신은 그것이 라틴어본이었는지 프랑스어본이었는지
밝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수 없다.25
22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172-179.
23
칼빈과 네덜란드 종교개혁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을 보라. 안인섭, “칼빈의 신학과
네덜란드 종교개혁과의 관계: 필립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의 교회와
국가를 중심으로,” 2017년 봄 개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총신대학교, 2017년 4월 8일), 268-72.
24
Carlos M.N. Eire, War against the Idols: The Reformation of Worship from Erasmus to Calvin,
239.
25
MCalvijn met
nicodemieten, in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23
친애하는 형제들이여. 저는 여러분들이 여러분들의 언어에서 번역하여
제가 답신을 할 수 있도록 해 주신 그 책을 보았습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저에게도 좋으며, 여러분 또한 저에게 그렇게 하도록 간절히
원하는 것입니다.26
코른헤르트는 칼빈이 중요하지도 않은 의식을 위해서 성도들을 순교로
내몰고 있다고 비난했었다. 그러나 코른헤르트가 제기하는 논의들은
칼빈에게는 너무나 익숙한 것이었다.
칼빈의 답변의 구조는 변증의 구조를 따라가면서 구성되어 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주장을 인용하는 것으로 자신의 반박을 진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칼빈의 답변의 구석 구석에 코른헤르트의 주장이
인용되고 있다. 칼빈은 정확한 코른헤르트의 변증의 번역본을 자신의
손에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칼빈은 코른헤르트가 자신을 공격하
고 있는 핵심 문제를 명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그[코른헤르트]의 서문에서 그는 자신의 책의 요약을 제시해 주고 있는
데, 그것은 곧 누구도 자신의 목숨을 단지 의식일 뿐인 것 위해서
사용하거나 남용하게 할 위험이 크다는 것이다.27
코른헤르트에 대한 칼빈의 답신은 먼저 그의 주장의 모순에 대해서
언급하는 것으로 시작하고 있다. 칼빈은 그의 주장에 대해서 “상식
26
Calvin, CO 9 column 585, “Mes chers freres, i'y peusse responder, si bon me sembloit:
ce qu'aussi vous me priez affectueusement de faire.” 칼빈의 이 작품의 영어 번역본은 다음을 보라.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who under the guise of making Christians very spiritual permits
them to defile their bodies in all idolatries: written by Mr. John Calvin to the Faithful in the Low
Countries (tr.) Rob Roy McGregor Calvin Theological Journal 34 (1999), 292. 이하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으로 줄여서 표기한다.
27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3. “In the preface, he provides the summary
of his booabuse that is
but mere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24
(common sense)”과 “성경”을 사용해서 논박하고 있다.28 물론 코른헤르
트 역시 그의 손에 성경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칼빈의 논박의 핵심은
결국 성경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였고 신학적인 것이었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불경건(impietas)이 그를 성경에 대한 잘못된
해석으로 이끌었다고 말함으로 그의 주장을 중립화시키려고 했던 것이
다.29
2. 영적이고 육적인 예배와 삶의 실천
칼빈은 코른헤르트가 죽은 의식(dead ceremony)을 위해서 순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을 언급하면서 반박을 이어가고
있다.
... 그는 죽은 자들은 죽은 의식을 위해서 자신을 죽음으로 몰고가서는
안 된다고 까지 말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사랑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사람은 죽은 것과 같다고 보고 있다.30
물론 칼빈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이전 유대인들의 율법과 예수의
복음을 그림자와 인물로 비유하면서 구별하고 있다.
우리는 한편으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에, 유대인들에 의해서
28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01. “He must not quarrel with me about those
who deceive and dissemble if I call them doubleminded men, hypocrites, vacillators, traitors, and
apostates because I speak according to Scripture and even common sense.”
29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07. “And what he adds contributes to revealing
his lack of piety.”;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208-209.
30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3. “But straightway he goes beyond that, saying
that those whs; he then
identifies the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25
사용되었던 그림자와 인물들 사이를 지혜롭게 구분해야만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영원토록 우리와 함께 남아있을 것은 무엇인가를 구별해야
만 한다.31
그러나 칼빈은 율법과 복음의 구별을 주장하면서도 영원토록 지속되는
것을 폐기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칼빈의 입장에서 볼 때 코른헤르트는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의식
에서 자유롭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32 그러나 칼빈은 바울도 말하고
있는 것처럼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것에서 자유롭지만 “하나님에 대한
예배”라는 관점을 가지고 코른헤르트를 반박하고 있다. 칼빈은 바울
서신을 사용해서 코른헤르트를 논박하고 있다.
그[코른헤르트]가 말하기를 하나님에 대한 외적인 예배는 더 이상 아무
것도 아니며 어떤 율법이나 계율도 지켜져서는 안된다고 한다. 그러면
바울이 말하는 “그런즉 너희 몸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라”(고전
6:20)라는 말씀은 어떻게 되겠는가? 또한 “그런즉 사랑하는 자들아
이 약속을 가진 우리는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어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하게 하자(고후 7:1)”라는 구절은 또한 어떠한가?33
그러므로 칼빈에 의하면 진정으로 하나님을 예배하는 예배자로서의
그리스도인은 그 영적인 것은 물론이요 육적인 측면에서도 하나님을
31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3. “We must distinguish wisely between the
shadows and figures used by the Jews before the coming of Jesus Christ, on the one hand, and
what remains with us as perpetual, on the other.”
32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6. “He maintains that Christians are excused
from all ceremonies.”
33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7. “He says that the outward worship of God
is no longer anything and that neither law nor precept is to be kept. What then will become of
what Saint Paul says: Glorify God in your body, and in your spirit, which are God's”(1 Cor. 6:20)?
Also, “Hass of the flesh
and spirit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26
영화롭게 해야 하는 것이며 신앙과 삶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이다.
칼빈은 코른헤르트가 율법에 대한 칼빈의 견해를 잘못 이해하여 비판하
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말씀과 행함으로 세우신
“하나님께 대한 외적인 예배”를 가지고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34
그러면서 칼빈은 초대 교회의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나는 내 자신의 소유를 팔아서 그것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줌으로
초대 교회를 모방해야만 합니다.... 그는 모든 것들을 공동으로 나누어
가지는 것은 외적인 사랑의 계율을 지키는 방식이었다고 적용하고
있습니다.35
칼빈이 코른헤르트를 반박할 때 그가 사용했던 중요한 논거 중 하나는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예배는 단지 영적인 것일 뿐 아니라, 우리의
삶과 사랑의 실천이라는 실제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칼빈은 첫째로 복음의 증인으로서 굳건하게 서다가 순교를
당한 사람들에 대해서 코른헤르트가 우스꽝스럽게 묘사하고 있는 것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둘째로 칼빈은 성경을 근거로 우리가 살아서
뿐 아니라 죽어서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해야 한다고 선언하고 있다.36
그러면서 칼빈은 성령께서 교회를 모든 회중으로 부르고 계시며 이
회중에서 말씀이 선포되며 그의 이름이 신실하게 불려지며 성례가
34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9. “Since I have touched on this subject above,
I will not take up the images of the Law. That is why he reproaches me falsely for seeking Judaic
fables and ignoring examples from the New Testament. I speak only of the outward worship of
God, such as Jesus Christ established it by word and deed....”
35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9. “I must imitate the primitive church by
selling my possessions and distributing them to the poor... He replies that holding all things in
common was a way to keep the precept of love outwardly.”
36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299. “With that it becomes obvious, first, that
he derides all the holy martyrs who ever stood fast for the witness of the gospel, as if they would
have risked tht Scripture
declares that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27
집례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37
코른헤르트에 대한 칼빈의 반박은 그가 보이는 모든 것을 일시적
이라고 보았는데, 칼빈에 의하면 코른헤르트의 치명적인 오류는 외적인
형태(outward form)와 실체(substance)를 그리고 진리(truth)와 성례
(Sacraments)를 구별하지 않은 것이라고 갈파하고 있다.38
칼빈은 할례의 예를 사용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다시 한 번 명료하
게 기술하고 있다.
제 입장은 할례가 허용되었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복음 안에서 의식의
철폐를 이해하는데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사람들 가운데서는 그 할례의
사용이 아직 금지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39
그러므로 칼빈에 의하면 그리스도인들은 복음 안에서 의식으로부터
자유롭지만, 동시에 바울이 강조하는 것처럼 육적인 삶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다는 관점에서 여전히 신앙에 대한 외적인 표현이 중요하다.
3. 교회와 국가 관계의 신학적 기초
칼빈은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영화롭게 하는 것은 먼저 영적인 것이라
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40 그러면서 곧바로 칼빈은 문제를 제기하고
37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02. “Now we know that the Holy Spirit calls
“church” all assemblies where the Word is preached, his name is sincerely called upon, and the
Sacraments administered.”
38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02. “He replies that what is visible is temporal,
which, according to him, I believe. But that animal does not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outward
form and the substance, or truth, of the Sacraments.”
39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06. “My position is that circumcision was permissible
because its use was not forbidden among those who were still not advanced enough in the gospel
to understand the abolition of the ceremonies.”
e are spiritual
we must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28
있다.
그러나 문제는 다음과 같다. 만약 우리가 그를 따르지 않고, 우리의
심령 뿐 아니라 우리의 입과 발과 손으로 그를 선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를 영화롭게 하기 위한 봉사에 헌신된 하나님의 성전인가?41
칼빈은 코른헤르트가 칼빈주의자들을 루터주의자들과는 다르다고 비판
한 것을 환기시키면서 그것은 칼빈주의자들이 우상을 경멸한다는 점에
서 사실이라고 말한다. 칼빈주의자들은 우상 숭배는 그 모양이라도
버린다는 것이다.42 결론적으로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변증에 대한 자신
의 논문을 다음과 같이 마무리하고 있다.
나는 결론을 내린다. 어느 누구도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도록 하는
수단과 기회를 주시는 대로 필요한 때에 자신의 신앙을 증거하지 못한다
면, 그는 그리스도인이라는 타이틀을 가질 가치가 없다고 말이다.43
전체적으로 볼 때 칼빈은 자신의 첫 번째 니고데모주의에 대한 비판서인
두 서신(Epistolae duae, 1537)에서부터 니고데모주의에 대해서 마지막으
로 반박하고 있는 이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1562)까지 자신의 이전의 신학적 입장에서 큰 변화없이
사상적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칼빈이
41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14. “But the question is this: Are we temples
of God, dedicated to his service, if we do not follow him and proclaim him with our mouths, feet,
and hands as well as our hearts?”
42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18. “Calvinists, he says, differ from Lutherans.
True, but we all agree in saying that one must despise idolatry and, in a similar vein, that as for
what is permissible of itself one must avoid every appearance and suspicion of idolatry.”
43
Calvin,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325. “I conclude that no one is worthy of the
title Christian the means
and opportun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29
강조하는 것은 종교개혁 신앙을 받아들인 자들은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
터 급진적으로 분리되어야 하며, 어떤 희생이 뒤따른다 하더라도 로마
가톨릭의 의식으로부터 떨어져야 한다는 것이었다.
결국 로마 가톨릭의 미사에 참여하는 자는 그리스도를 부인하는
자이다. 칼빈은 코른헤르트의 영성주의에 대항해서 육체와 영혼 모두가
하나님께 속한다는 강력한 주장을 가지고 반박했다. 그러므로 칼빈에
의하면 하나님을 경외해야 하는 사람들은 육체적으로 그리고 영적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해야 하는 것이다. 칼빈이 영혼과 육체 모두가
하나님의 주권 하에 속해 있으며 영적인 측면 뿐 아니라 육체적인
차원에서도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라는 칼빈의 논지에
서 우리는 칼빈의 교회와 국가의 관계라는 중요한 신학적 단초를 취득하
게 된다.
이처럼 칼빈이 교회와 국가의 관계를 영혼과 육체의 유비를
통해서 설명하는 것은 그의 『기독교강요』 최종판(1559)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서 칼빈의 중요한 강조점으로 부각된다.44 칼빈은 인간 사회는
영적인 세계와 외적인 세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45 칼빈은 ≵인간
은 이중 정부의 지배 하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하나는 영혼의
지배이고, 다른 하나는 시민 정부의 지배이다.46 마치 예수 그리스도라는
한 목자 아래 있는 두 개의 다른 목자들처럼47 교회와 국가는 모두
그리스도의 통치하에 있다. 따라서 국가는 하나님에 대한 외적인 경배를
보호하고 지켜야 한다. 교회는 국가의 양심이 된다.48
44
In-Sub Ahn, Augustine and Calvin about Church and State: A Comparison (Kampen: Van
Den Berg, 2003), 314-316. 칼빈의 교회와 국가의 사상을 영혼과 육체와 연결시켜 정리한 것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를 보라. 안인섭, 『칼빈: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열정의 사람』 (서울: 익투스, 2015), 267-70.
_____ , 『칼빈과 어거스틴』 (서울: 그리심, 2009), 431-34.
45
Calvin, OS. IV, 199-200 (Institutes(1559), 3.19.15.), 칼빈은 자신의 기독교강요 초판(1536년)
부터 최종판(1559년)까지 이 사상을 견지하고 있다.
46
Calvin, OS V. 471-2. (Institutes(1559), 4.20.1).
vin, in: Calvin
and The S0-22.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30
그러므로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이 그들의 삶에서 하나님을
예배해야 한다고 할 때 그것을 국가가 강제로 압제한다면 그들은 자신의
양심에 따라서 삶으로 표현할 수 밖에 없다.49 이런 양심의 자유가
결국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성도들로 하여금 스페인에 대한 저항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 길을 열어주었다고 볼 수 있다.
V. 결론
본 논문은 칼빈과 네덜란드의 니고데모주의자 코른헤르트와의 논쟁을
분석하고 평가하려고 시도했다. 칼빈이 코른헤르트에게 보낸 어느 네덜
란드인에 대한 답변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칼빈은 1537년부터 1562년
에 이르기까지 25년을 변함없이 니고데모주의를 비판해 왔는데, 처음으
로 이 니고데모주의 반박의 대상이 누구인가가 명확하게 알려진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 연구자들은 그 당시의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 종교개혁에 대한 본질적 도전에 대한 신학적 응전
칼빈이 코른헤르트에게 보낸 어느 네덜란드인에 대한 답변은 유럽
전체의 종교개혁 진영, 특히 유럽의 국제적 칼빈주의 운동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는 도전에 대한 신학적 응전이었다. 코른헤르트의 1560년
48
P.C. Holtrop, The Bolsec controversy on predestination, from 1551 to 1555: The statement
of Jerome Bolsec, and the Responses of John Calvin, Theodore Beza, and Other Reformed Theologians (New
York and Ontario: Mellen, 1993), 184-86. Michael Walzer, The Revolution of the Saints: A Study
in the Origins of Radical Politic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64.
49
다Aldegonde's
Justification o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31
로마 가톨릭 우상숭배에 대한 변증에 의하면 기독교 신앙은 성령에
의한 신자들과 하나님 간의 내적이고 영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외적으로 참석하는 것은 개인의 신앙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기독교인의 핵심적인 삶의 가치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것이라면서 종교적인 의식이나 예전은 인간
적인 기구들일 뿐이며 성경적이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었다. 그 자신도
결코 로마 가톨릭을 떠나지 않았다.
코른헤르트의 이런 주장은 지금까지 칼빈과 개혁파 신학자들이
종교개혁의 신학을 가졌다면 로마 가톨릭의 예전에 참석해서는 안되며
그로 인해서 야기될 수 있는 박해도 감수해야 하고 망명을 해서라도
신앙의 자유를 지키라고 했던 강조점을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코른헤르트의 공격에 대한 칼빈의 신학적 답변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유럽 전체의 칼빈주의가 직면한 도전에
대해서 교회의 진로를 모색할 수 있는 절대적으로 중대한 신학적 진술이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칼빈과 네덜란드의 칼빈주의 및 국가 독립과의 직접적인 상호
관계
칼빈의 답변은 칼빈 자신이 네덜란드 칼빈주의 신학의 발전과 네덜란드
의 독립에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
당시 칼빈과 칼빈주의자들은 명확한 신앙고백을 위해서 미사에 참여하
지 말아야 하고 박해와 망명도 불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네덜란드의
경우 이런 정신을 바탕으로 칼빈주의자들은 가톨릭을 강요하며 핍박을
가하던 스페인에 대한 독립을 추구하는 전선에서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
로 컸었네덜란드어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32
작품 변증을 썼다. 코른헤르트는 당시 스페인의 지배로부터 네덜란드의
독립을 진행하는 오렌지공 윌리엄의 자문 역할을 담당했던 무게 있는
지도자였다. 또 종교적인 관용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던 인문주의자로
서 네덜란드에서 그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칼빈도 코른헤르트를 네덜란
드에서 영향력 있는 그룹의 대표자로 보았다.50 코른헤르트의 주장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을 신학적으로 혼란하게 할 수 있었고 그들의
영향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 있었던 중대 사안이었다. 그러나 칼빈의
입장은 명확했다. 로마 가톨릭의 예식에 참석하는 것을 명확하게 금하라
는 것이다. 이것은 시종일관한 칼빈의 견해였다. 그러므로 칼빈이 강력하
게 주장하고 있는 개혁주의 신학과 삶의 일치라는 핵심적인 가치는
스페인과 가톨릭 교회로부터 가혹하게 박해를 받고 있던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로 하여금 실제로 1560년대 이후 저항과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해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51
3. 네덜란드 난민에 의한 칼빈주의의 강화와 국제화에 미친 영향
판 페인의 연구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칼빈의 반-니고데모주의자들에
대한 저작들이 네덜란드 개혁교회 회의들과 총회의 기록들(the minutes
50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Ph.D. Dissertation (Amsterdam: Free University, 2001),
208-209.
51
안인섭, “벨직신앙고백서의 국가론과 네덜란드 독립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의 관계 연구,”
「성경과 신학」 52 (2017), 202-203. 네덜란드 칼빈주의자들이 그들을 박해하던 스페인에 저항하는데
칼빈의 영향이 있었다면, 프랑스의 경우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프랑스신앙고백서(1559)의
초안은 칼빈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보는데, 여기에서 국가에 대한 맹목적 복종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국가가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다는 강조는 곧 국가에 대해서 자신의 신학적
확신에 따라서 저항할 수도 있다는 신학적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칼빈의 신학은 상은, “고난
속에 맺힌 열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33
of church councils and synods)에 직접 나타나지는 않지만, 칼빈이
그들의 신앙을 숨기는 자들에 대해서 견책한 것은 그 영향이 컸다고
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순교자 열전(Martyrologies)과 니고데모주의에
대한 네덜란드인들의 반박에서 칼빈의 통찰력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
다.52
칼빈은 박해를 받고 있는 네덜란드의 칼빈주의자들에 대해서
선명하게 그 방향을 제시했다. 자신의 종교개혁 신앙을 명확하게 고백하
며 지켜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순교라도 각오해야 하며, 아니면 신앙의
자유가 주어지는 곳을 찾아 조국 네덜란드를 떠나 망명이라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칼빈의 선명한 주장은 네덜란드 지역의 칼빈주의자들
에게 조국을 떠나서라도 종교개혁 신앙에 따라 살도록 강력한 동기를
부여했다. 그들은 결과적으로 유럽의 칼빈주의 강화와 국제화에 공헌자
가 되었다.53
52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209. 그러나 콜롱(Cologne)에서 열린 총회의 경우 개혁교회
성도 개개인들이 엄격한 조건 하에서 로마 가톨릭 장례식에 참석하는 것을 허락하기도 했다.
53
종교적인 이유로 네덜란드를 떠나 난민이 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공고히 하고 1570년대
에 국제적인 개신교 연대를 구축하는데 공헌했던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
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다음을 보라. Monique Weis, “Philip of Marnix and 'International
Protestantand Renaissance
Review 11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34
<Abstract>
Theological foundation of Calvin's view of Church and
State: Centered on controversy with a certain Dutchman
Dirck Coornhert(1522-1590)
InSub Ahn
(Chongshin University)
Calvin argued against Dutch humanist and Nicodemite, Dirck
Coornhert(1522-1590) in the course of 1560-1562 regarding the Roman
Catholic Ceremony. At that time, Coornhert was a politician and theologian
influential in the Netherlands. He criticized Calvin in his work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which was published in Dutch, in 1560. The
book was translated by Dutch Calvinist and delivered to Calvin. Calvin
also published his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in 1562 and sent it
Coornhert. For 25 years, Calvin had consistently criticized Nicodemianism
through his 1537 work Epistolae duae and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1562).
Coornhert argued that partaking in the outwardly, Catholic ceremony
by believers is not conflicting to the inward spiritual relationship one
has with God through the Holy Spirit. He insisted that Christianity's
core essence of loving God and loving one's neighbor is only a religious
rite and ceremony therefore unbiblical. During this time, Coornhert was
a counselor to William of Orange who campaigned for Dutch independence
from Spain. Also, as a humanist strongly supportive of religious tolerance,
his promins stance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35
would not only bring theological confusion to the Dutch Calvinist but
drastically weaken their influence.
Coornhert's contention was a direct challenge to Calvin, the Reformed
theologians, and saints from the Reformation, who, up to this point,
rejected the Catholic ceremony, endured persecution, and readily fled.
Therefore, Calvin's theological response to Coornhert's attack was not
a crucial theological writing devising a direction for the church of the
Netherlands but for Europe as well.
Calvin emphasized that man's soul, body, and faith are inseparable so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of the Roman Catholic unacceptable. The
totality of the Reformed theology and faith is clearly presented. At the
same time, Calvin's Response is a prime historical record showing the
relevance of Dutch Calvinistic theology to the progress of Dutch
independence. Calvin's view of spiritual and physical act of worship and
Reformed theology, corresponding life and faith inspired the suffering
Dutch Calvinist who were persecuted by the Spanish Catholic church.
In effect, after 1560, it provided a theological motivation to continue
the resistance and to live according to the faith of the Reformation.
Consequently, Dutch Calvinist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and inter-
nationalization of Calvinism in Europe.
Key Words: Calvin, Church and State, The Nicodemite, Coornhert,
Calvinism of the Netherlands, Worship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36
<참고문헌>
강경림. “니고데모주의의 기원.” 한국칼빈학회 편. 『최근의 칼빈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2000: 174-212.
강경림. 『칼빈과 니고데모주의』.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박건택. “칼뱅의 니고데모파와의 논쟁에 나타난 진리와 자유.” 「신학지남」
64(3) (1996): 206-40.
안인섭. 『칼빈: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열정의 사람』. 서울: 익투스, 2015.
______ . 『칼빈과 어거스틴』 (서울: 그리심, 2009), 431-34.
______ . “벨직신앙고백서의 국가론과 네덜란드 독립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의 관계 연구.” 「성경과 신학」 52 (2017): 179-214.
______ . “칼빈의 신학과 네덜란드 종교개혁과의 관계: 필립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의 교회와 국가를 중심으로.”
2017년 봄 개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총신대학교. 2017년
4월 8일: 265-77.
이상은. “고난 속에 맺힌 열매: 갈리칸 신조(1559)의 확신의 신학.” 「한국개혁
신학」 44 (2014): 72-95.
황정욱. “Carlo Ginzburg 저, Il nicodemismo의 서평.” 「신학연구」 35
(1994): 267-275.
______ . “니코데미즘의 기원 고찰.” 「신학연구」 35 (1994): 67-108.
______ . “칼빈의 '두 서신'과 니고데미즘.” 「한국기독교사학지」 34 (1992):
33-86.
Ahn, In-Sub. Augustine and Calvin about Church and State: A Comparison.
Kampen: Van Den Berg, 2003.
Calvin, Ioannis Calvini Opera quae supersunt omnia. [= CO]. Ed. By
G. Baum, E. Cunits and E. Reuss. 59 Vols. Corpus Reformatorum
29-88. Brunswick and Berlin, 1863-1900.
Calvin, JoBattles.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37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0.
______ . Response a un certain Holandois, lequel sous ombre de faire
les chrestiens tout spirituels, leur permet de polluer leurs corps
en toutes idolatries. CO 9 columns 584-638.
______ . Response to a certain Dutchman who under the guise of
making Christians very spiritual permits them to defile their bodies
in all idolatries: written by Mr. John Calvin to the Faithful in
the Low Countries. Tr. Rob Roy McGregor. Calvin Theological
Journal 34 (1999), 291-326.
Beemon, F.E. “Calvinist conscience and rebellion: Marnix of Saint
Aldegonde's Justification of the Dutch Revolt.” Fides et historia
Sept. 1 (1991): 91-99.
Boer, William den. “Het Nederlands calvinisme.” In Calvijn en de
Nederlanden. Eds. Apperloo-Boersma, Karla & Selderhuis,
Herman. Alblasserdam: Verloop, 2009.
Coornhert, Dirck. Coornhert in het klein: Korte teksten over deugd onwetend-
heid en volmaakbaarheid. Tr. Ruben Buys.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1.
_____ . Synod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A thorough examination
during the gathering held in the year 1582 in the city of freetown.
Tr. and Ed. Gerrit Voogt.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08.
_____ .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In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Ph.D. Dissertation. Amsterdam: Free University, 2001: 210-246.
Eire, Carlos M. N. War against the idols: the reformation of worship
from Erasmus to Calvi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38
Gruppelaar, Jaap and Verwey Gerlof. Red. D.V. Coornhert(1522-1590):
polemist en vredezoeker.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0.
Holtrop, P.C. The Bolsec controversy on predestination, from 1551 to 1555:
The statement of Jerome Bolsec, and the Responses of John Calvin,
Theodore Beza, and Other Reformed Theologians. New York and
Ontario: Mellen, 1993.
Scholl, Hans. 『종교개혁과 정치』. 황정욱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93.
Selderhuis, Herman and Nissen, Peter. “The Sixteenth Century.” In
Handbook of Dutch Church History. Ed. Herman Selderhuis.
G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5.
Spijker, W. van 't. “The Kingdom of Christ According to Bucer and
Calvin.” In Calvin and The State. Ed. P. de Klerk. Grand Rapids:
Calvin Studies Society, 1993.
Van Veen, Mirjam.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Dissertation of Free University, Amsterdam, The
Netherlands, 2001.
______ . “'gants wederschriftelijck' Coornherts polemiek tegen de ger-
eformeerden in de context van zijn tijd.” In Gruppelaar, Jaap
and Verwey Gerlof. Red. D.V. Coornhert(1522-1590): polemist
en vredezoeker.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0.
______ . Dirck Volckertszn Coornhert. Kok: Kampen, 2009.
Walzer, Michael. The Revolution of the Saints: A Study in the Origins
of Radical Politic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Weis, Monique. “Philip of Marnix and 'International Protestantism':
The fears and hopesof a Dutch Refugee in the1570s.” In
Reformation and Renaissance Review 11.2(2009): 203-220.
White, Roleship.”
칼빈의 개혁 신앙과 교회와 국가의 관계 /
≡
39
The Reformed Theological Review (1997): 14-27.
______ . “Calvin and the Nicodemite Controversy: An overlooked text
of 1541.”Calvin heological Journal 35 (2000): 282-296.
'신학 자료 > 역사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혁신학의 자랑, 칼빈의 유산 - 강의 (0) | 2020.09.08 |
---|---|
종교개혁에 관한 개론 - 성직, 직분, 사제(교회론)에 관하여 (0) | 2020.08.05 |
종교개혁과 그 교훈 - 현대교회로의 적용점 발견과 적용으로의 범주설정에 관하여 (0) |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