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혁신학 제55권 (2017)
≡
12
따라서 본 논문에서 분석하는 코른헤르트의 로마 가톨릭 우상숭
배에 대한 변증(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의 원문은
이 저서의 육필 복사본(1572)을 중심으로 판 페인이 편찬한 본문에
근거한다.3 이 변증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 부분은
의식(ceremonien)이 중요한지 그 여부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변증의
뒷부분은 신앙을 증거할 것이 허용된 사람들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4
본 연구는 칼빈과 네덜란드의 코른헤르트와의 논쟁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신학적으로 평가하면서 그 안에 나타난 교회와 국가론
의 신학적 함의를 고찰하는 것이다.5 칼빈은 코른헤르트에 대해서 영혼
과 육체, 신앙과 삶은 분리될 수 없으며 따라서 로마 가톨릭의 의식에
참석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본 논문은 칼빈이 피력하고 있는 개혁주
의 신학과 삶의 통전성이라는 핵심적인 가치가 무엇인지를 보여주게
될 것이다. 동시에 그 신학이 가톨릭을 강력하게 후원하고 있는 스페인의
가혹한 박해에 대해 네덜란드가 저항하고 독립으로 나갈 수 있는 신학적
이고 실질적인 동력을 제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161-164. 코른헤르트의 그 외의 저작은 다음을 보라. Dirck Coornhert, Coornhert in het klein: Korte
teksten over deugd onwetendheid en volmaakbaarheid, (tr.) Ruben Buys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1. ; ______ , Synod on the Freedom of Conscience: A thorough examination during the gathering held
in the year 1582 in the city of freetown, (tr. and ed.) Gerrit Voogt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08). 코른헤르트에 대한 연구는 위의 판 페인의 중요한 연구 외에 다음을 보라. Mirjam Van Veen,
Dirck Volckertszn Coornhert (Kok: Kampen, 2009) ; Jaap Gruppelaar and Gerlof Verwey (red.), D.V.
Coornhert(1522-1590): polemist en vredezoeker,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2010).
3
코른헤르트의 16세기 원문은 판 페인의 책에 부록으로 전문이 소개되어 있다. Dirck
Coornhert,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in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Ph.D. Dissertation (Amsterdam: Free University, 2001), 210-46. 이하 Verschooninghe로 표기하며,
이 소책자의 한국어본이 없으므로 이태릭체로 변증으로 표기하기로 한다.
4
Mirjam Van Veen, 'Verschooninghe van de Roomsche afgodereye': De polemiek van Calvijn met
nicodemieten, in het bijzonder met Coornhert, 165-72.
5
칼빈의 신학에 영향을 받은 네덜란드 칼빈주의의 국제화와 관련된 연구로는 다음을 보라.
안인섭, “칼빈의 신학과 네덜란드 종교개혁과의 관계: 필립 마르닉스(Philip Marnix van St. Aldegonde:
1540-1598)의 교회와 국가를 중심으로,” 2017년 봄 개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 (총신대학교,
2017년 4월 8일), 26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