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1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조직신학

개혁신학에서 바라 본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 세계관과 선교 - 올바른 이해와 실제적 방법을 중심으로1

개혁신학어벤져스 2020. 8. 11. 12:40

 배춘섭 교수님의 강의 입니다. 개혁신학적 관점에서 힌두교, 불교, 이슬람교를 분석하고, 선교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선교적 관점에서 강의를 진행해주셨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각 종교의 세계관을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끊임없이 개혁신학을 발전시켜서, 누구나 개혁신학을 사랑하고 공감하는 시대가 오길 기도합니다.^^

 -> 강의는 4~6주차, 9~14주차까지 위 주제에 관합니다.


4주차 상황화선교의 필요성1

https://youtu.be/dYcTxqSM95s?si=5CJyp_rCWmza4eN6

 

주요 주제
- 상황화 선교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
- 서구 문화와 보편 진리의 관계
- 제3세계 국가와 제4국가의 상황과 기술 부족 문제


다음 할 일
- 제3세계 국가에 대한 이해 증진
- 상황화 선교에 대한 신학적 훈련 강화
- 선교 현장에서의 문화적 이해력 향상
- 신학적 보편성과 진리의 해석에 대한 연구
- 상황화 선교에 대한 전략 수립


요약
00:00 ~ 01:22
상황화의 필요성
- 선교와 상황화에 있어서 제3장 특별히 상황화의 필요성에 관해서 함께 고찰해 보도록 하겠음
- 상황화가 현재와 미래의 선교 사역에 있어서 매우 적합하고 적절한 방식임
- 상황화가 처음 논의된 것이 에큐메니칼 라인에서 캠프에서 1972년에 한 번 논의가 됐음
- 1974년에 로아전에서도 이 상황화를 다뤘었는데 그 이유가 서구 선교사님들이 서구의 방식으로 서구인의 이해로 타 문화를 접근하고 선교를 했기 때문임

02:37 ~ 03:48
서구 문화의 기준
- 우리의 문화는 계속해서 거듭나야 되고 개혁되어야 하고 변화를 추구해야만 함
- 서구 문화가 기준이 되어버리는 순간 그것은 온당한 세계관이 될 수 없음
- 서구인의 입장에서는 마치 예전에 우리 일본이 우리 한반도를 침범할 때에도 경성청도인가요? 자기들이 동남아의 그런 미개한 사람들을 다스려서 통치해서 통일을 하고 그들을 잘 살게 해줘야 되는 사명감 때문에 전쟁을 일으켰다 이런 이야기하는 것처럼 유럽 사람들도 이와 비슷한 세계관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었음

04:59 ~ 09:38
상황화 선교의 장점
- 상황화 선교를 하다 보면 상황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다 보면 신학적 훈련이 탁월하게 계속해서 프로모디 되는 일들이 일어나게 됨
- 상황화 선교는 정체되지 않고 늘 상황하면서 복음과 문화 가운데서 계속 질문함으로 인하여서 교회의 사명, 교회 존재 이유, 교회의 할 일이 무엇인가를 미셔널 처치적으로 선교 의식적인 교회가 되도록 촉진함
- 상황화 선교는 교회의 성장과 증진을 촉진함
- 상황화 선교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다차원적인 필요에 대처하게 해줌
- 상황화 선교는 성육신적인 증거의 길을 열어줌

10:42 ~ 14:25
서구의 신학과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신학
- 찰스 크래프트는 서구의 신학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이슈들은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슈와 다르기 때문에 상황화는 필요하다고 함
- 조즈 피터스는 서구인들이 잘못 생각해 왔던 것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반성하는 것임
- 다니엘 본 올맨은 서구의 신학 자체를 보편 신학으로 간주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함

15:36 ~ 20:41
보편 진리의 중요성
- 보편 진리는 성경 안에 있음
- 신학의 보편성이라는 것은 하나님 말씀에 의해서 절대적으로 시대가 변하고 어떤 인종에게 증거가 돼도 변치 않아야 될 핵심이 있음
- 보편 진리가 있을 때 보편 신학이 말할 수가 있는데 사실 알고 보면 신학이라는 거는 당대의 사람들에 의해서 문화적으로 평가된 것도 있을 뿐만 아니라 시대적으로 좀 달라지는 부분들이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신학이 보편 신학이 아니라 하나님의 진리의 말씀이 보편 진리이기 때문에 그 부분을 오류 없이 착오 없이 잘 해석하는 것 굉장히 중요한 부분임
- 라틴 아메리카의 교회는 서구 교회와 신학적 의존도가 심각함

22:01 ~ 25:21
제3세계 국가
- 천연 자원이 풍부하지만 기술이 부족한 개발 도상국을 제3세계 국가라고 함
- 기름이 풍부하지만 기술이 부족한 아랍 국가들도 여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가 있음
- 1세기는 서구 문화로 기술 문명이 진보된 미국이나 캐나다나 그리고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나토 중심으로 해서 경제력이 상당히 올라왔던 서유럽 국가들이 속함
- 제2세계는 기술 수준이 상당히 올라간 동유럽권을 이전에 공산국가들을 언급할 때 세컨드 월드라고 함
- 제4세계는 천연 자원은 풍부하지만 그것을 적절히 활용을 해가지고 재물이나 돈이나 재원이나 기술이 재원도 없고 기술도 없는 그런 나라를 가리켜서 제4 국가라고 함


4주차 상황화신학 발생이유2

https://youtu.be/j2T4oRDKDjc?si=-p1MCGnMbKXN19rS

 

주요 주제
- 서구 선교사들의 우월 의식과 문화 인류학의 발전
- 상황화 신학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
- 제3 세계 교회가 처한 특수한 상황과 상황화된 신학의 필요성


다음 할 일
- 문화와 복음의 구분 방법 연구
- 상황화 신학에 대한 이해 증진
- 선교지의 문화적 상황 파악
- 제3 세계 교회 상황에 적합한 신학 연구


요약
00:00 ~ 01:03
개신교의 선교 황금기
- 선교 역사를 살펴보면 선교의 황금기로 알려져 있는 시기가 개신교에 있어서 19세기임
- 19세기에 서구 선교사님들이 타 문화권의 사람들도 같은 인간이니까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생각하고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처럼 똑같이 인식하고 해석할 것이라고 착각을 함

02:06 ~ 06:38
문화 인류학의 발전
- 서구 선교사님들이 서구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우월 의식을 갖게 됨
- 자신에 대해서 우월감을 갖게 되면 타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마음을 갖게 됨
- 문화 인류학이 발전하기 전까지는 대부분 사람들이 문화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문화 인류학이 처음 거론이 됨
- 문화를 알아가면 갈수록 사람들의 세계관, 성향, 문화의 인식을 알아야 되겠다 그런 동향이 생겨나면서 에믹 어프로치가 강조됨

07:44 ~ 11:05
상황화 신학의 탄생
-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에 제국주의적 식민 통치 시대가 종식되고 제2 3세기 교회들이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서구 세계의 신학에 대해 공개적인 의문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상황화 신학이 탄생함
- 서구 선교사님이 선교지에 갔는데 복음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복음의 원리를 깨닫고 핵심으로 복음의 정수를 진리를 전해야 되는데 그렇게 되지 않으면 사람들은 문화적인 것을 강요하게 되기 때문임
-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도 유교 문화로 인해 청소년들이 사회 문화적인 걸 가지고 교회 안에 들어온 적이 있었음

12:05 ~ 14:01
태국 선교의 문제점
- 문화와 복음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비본질적인 요소를 강조한 나머지 복음화에 상당한 걸림돌을 갖고 오게 되었음
- 태국 선교자 층을 보더라도 1 2%에 불과함
- 재정적으로 자립이 거의 안 되고 있음

15:01 ~ 17:27
상황화의 필요성
- 선교 역사를 보게 되면 상황화를 하지 않아서 기독교가 외래적인 교회 종교 그리고 타자성을 강조하게 되는 억지로 현지 사람들을 수동적인 신앙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일들이 없지 않아 나타나게 됨
- 상황화는 선교 역사적으로 봐도 그렇고 반드시 해야만 하고 꼭 그 상황화를 통하여서 궁극적으로 진정한 복음화가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상황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음

18:28 ~ 20:52
서구의 기독교와 서구 민주주의
- 서구의 선교사들의 기독교와 서구 민주주의와의 혼동이 있었음
- 서구 제국주의와 기독교가 같지 않음
- 아프리카에서 선교를 할 때는 장애물이 됨

21:55 ~ 25:16
아프리카 독립교회
- 아프리카 독립교회는 서구 선교사 교회로부터 아프리카 이니셔티브 추스 태생 교회를 말하는 것임
- 아프리카 토착 교회가 생겨난 이유는 결국 자신들만의 기독교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것임
- 서구의 착취와 식민지 정책에 대한 저항 운동이었음
- 시대에 뒤떨어진 해석학과 신학의 방법 때문에 신화 상황화 신학을 일으키게 됨
- 서구에서 개발된 신학이 보편적인 신학이라고 여겼지만 제3 세계 교회가 처한 특수한 상황이 적절치 못하여 상황화된 신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임


4주차 상황화의 신학들3

https://youtu.be/zlzetpeaKU4?si=g7EghUK4ZnT_RXTl

 

주요 주제
- 아시아에서의 상황화 신학의 역사와 특징
- 힌두교와 불교, 이슬람 등 다른 종교와의 혼합된 상황화 신학의 양상
- 수용주의 신학과 민중신학의 신학적 관점과 특징


다음 할 일
- 아시아의 상황화 신학들에 대한 연구
- 복음의 상황화에 대한 신학적 연구
- 혼합주의 신학의 상황화 신학에 대한 연구


요약
00:00 ~ 02:18
신학의 상황화
- 상황화 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해석에 대한 바른 신학을 상황을 해 주는 것임
- 신학의 상황화는 하나님의 바른 복음의 말씀을 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상황화를 해줘서 적절하게 증거해 줘야 된다는 차원에서 사용을 하게 됨
- 상황화의 신학의 예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음

03:21 ~ 04:33
아시아의 상황화 신학들
- 아시아의 상황화 신학들과 아시아 사람들은 어떤 상황화 신학들이 나타났고 아프리카에서 또 어떻게 WCC에서도 좋아하는 상황화 신학들이 나타났고 라틴 아메리카와 서구 사회에서까지 어떻게 상화 신학들이 나타나는가 살펴볼 것임
- 우리 상황에 맞게 복음을 상황화하는 것은 전국적으로 봤을 때는 사람들의 필요와 사람들의 환경을 잘 대변하는 그러한 신학이긴 하지만 자칫 혼합주의와 복음의 본질로서부터 조금 멀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함
- 개혁주의 신학 입장에서 봤을 때는 좀 위험한 그러한 신학 과정이고 방법론들이다라는 것을 전제를 드리고 강의를 시작하도록 하겠음

05:42 ~ 08:51
아시아의 민족주의
- 서구 식민지 정책에 대항하는 반감으로 엔티퍼티가 일어나서 아시아인들의 민족주의가 일어남
- 아시아에서 수입해서 들어온 신약들이 서구의 신학들이 아시아 사람들이 경험하는 이슈들에 대해서 적절하게 답변해 주지 못한다는 인식이 확산됨
- 아시아의 상황에 걸맞은 신학을 해야 함

09:57 ~ 11:22
아시아의 상황화 신학
- 아시아에는 동양 철학부터 심층적으로 내면 세계 깊은 철학과 종교심이 아시아 사람들한테 일반적으로 있음
- 아시아에서의 상황화 신학은 기독교의 바탕 위에 다른 종교적인 심층적 세계관이 들어와서 얼마든지 혼합될 수 있다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음
- 힌두교 불교 이슬람 심지어는 샤머니즘과 같은 토착 종교와 혼합되는 양상들이 혼합주의 신학의 상황화 신학으로 나타나는 것들이 많이 있음

12:32 ~ 13:40
힌두이즘의 그리스도관
- 힌두이즘은 브라마 비디아를 이야기하면서 그리스도를 알고 그리스도의 연합을 궁극적으로 누구의 연합으로 예 브라만과의 연합 브라마비디아로 함께 연관을 시켜놨던 것임
- 그리스도는 인도의 이방인으로 오지 않았고 자신의 땅에 온 것임

14:59 ~ 18:30
힌두이즘의 사상
- 힌두이즘의 사상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도 결국엔 비시나의 현연 정도를 믿게 되는 것임
- 힌두교와 기독교가 혼합된 상황화 신학은 기독교가 아님
- 불교의 수용주의 신앙은 기존에 있는 사람이 타 문화에 있는 것들을 그냥 어커버레이트 한 것임

19:38 ~ 25:27
하나님의 고통의 신학
- 수용주의 신학은 보편화된 관습이나 종교에 다른 종교의 좋은 요소들을 수용하려는 신학을 의미함
- 하나님의 고통의 신학은 하나님의 속성인 사랑이 진노를 이겨내실 때 공의를 이겨내실 때 하나님은 고통을 당하게 되신다는 것임
- 민중신학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관계는 고통의 관계이다라고 결론을 내림

naver band 페이스북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