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인도나 그것의 종교에 관해 사실 잘 모릅니다. 관련하여, 접근하기에 괜찮은 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전반적으로 흥미로운 사고전개방식인데,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근대한국인에서 많이 발견될 법한 생활패턴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핵심 키워드로 '모든 것의 객관화'와 '이 또한 이미 일어난 일이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불교인들의 사고방식에 익숙한 분은 저의 말을 이해하실 겁니다.
다만, (인도철학의 경우) 아무리 어려운 사고방식을 갖춘 체계(방법)를 고안하더라도 인간의 고통은 절대로 없어지지 않음을 잘 보여줄 뿐입니다.(개인적인 견해입니다.^^)
* 인도이야기-인도의 고전: 우파니샤드, '내안으로 우주가 들어오다' (강성용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X43-Y4b85T4
* 괴로움의 해결을 위해 붓다가 제시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그리고 괴로움의 원인을 어떻게 바라볼까?
https://www.youtube.com/watch?v=HHAkjqKJBjk
-> 강성용 교수님의 논문입니다. '진리'에 대한 현대 인도인들의 이해와 고전적인 '진리'개념을 다룹니다. 인도 사람들의 전반적인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신학 자료 > 철학 & 과학 & 인문학 &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쁨이란? - 스피노자, 니체, 들뢰즈를 중심으로 (0) | 2023.02.13 |
---|---|
대상관계 이론과 실재 - 성격 고치기 (0) | 2023.01.27 |
[GMC풀강연] 언어의 힘으로 내일을 바꿀 수 있는가 1부 - 이어령 교수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