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빙크의 삶에 관해 전반적으로 다루는 자료가 많지 않습니다.
* 아마, 이 논문이 바빙크의 신학을 연구하기 위한 시작점을 제공할 겁니다. 바빙크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진 학자들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 에 대한 비평적 고찰
205
KRJ 56(2021) 205-238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
에 대한 비평적 고찰
박 재 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강사, 조직신학
1 들어가는 글
네덜란드 개혁파 교의학자였던 헤르만 바빙크(Herman Bavinck, 1854-
1921)1에 대한 학계 동향은 지역적 상황과 맞물려 크게 세 가지 지점 하에
서 파악 가능하다. 첫째, 미국 칼빈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y)
조직신학 은퇴 교수인 존 볼트(John Bolt)2를 중심으로 바빙크 관련 연구
논문투고일: 2021.4.30.
논문수정일: 2021.6.10.
게재확정일: 2021.6.17.
*
* 본 논문은 2021년 4월 10일 칼빈대학교에서 개최된 봄 개혁신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
한 논문을 수정 및 보완한 것입니다.
1 이후부터 표기될 모든 이름과 지명은 원래 본토 발음을 따라 표기하는 원칙을 고수할
것이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어 온 발음은 기존대로 표기하도록 하겠다. 예를 들면 바빙크
같은 경우 네덜란드어 발음 그대로라면 바핑크가 옳지만 기존에 통용되는 표기법을 따라
바빙크로 표기하도록 하겠다.
2 존 볼트는 바빙크의
ࡔ
개혁 교의학ࡕ
(Reformed Dogmatics) 영역본(Herman Bavinck, 206 개혁논총
가 주로 신학적인 앵글 하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네덜란드 암스
테르담에 소재한 자유 대학교(the VU University)의 조지 하링끄(George
Harinck)3를 중심으로 신학적 앵글뿐만 아니라 그 외의 다양한 앵글 속에
서(종교, 사회, 교육, 선교 등) 바빙크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셋째, 영국 스
코틀랜드의 에든버러 대학교(University of Edinburgh)의 제임스 에글린턴
Reformed Dogmatics, 4 vols., ed. John Bolt, trans. John Vriend [Grand Rapids: Baker Aca-
demic, 2003-8])과
ࡔ
개혁 윤리학ࡕ
(Reformed Ethics) 영역본(Herman Bavinck, Reformed Ethics, vol.1, Created, Fallen, and Converted Humanity, ed. & trans. John Bolt with Jessica
Joustra, Nelson D. Kloosterman, Antoine Theron, and Dirk van Keule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19]) 편집자로 헤르만 바빙크, 아브라함 카이퍼, 네덜란드 개혁신학 전반에
관한 다수의 소논문을 출간한 학자이다. 바빙크와 관련된 볼트의 주요 소논문을 최신순으
로 정리하면 John Bolt, “Why a Bavinck Institute? Why at Calvin Seminary?,” Calvin Theo-
logical Journal, 52.2. (November 2017): 251-263; “Getting the ‘Two Books’ Straight: With
a Little Help From Herman Bavinck and John Calvin,” Calvin Theological Journal, 46.2 (No-
vember 2011): 315-332; “Bavnick’s Use of Wisdom Literature in Systematic Theology,”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9.1 (Spring 2011): 4-23; “The Bavinck Recipe
for Theological Cake,”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11-17; “Herman
Bavinck’s Contribution to Christian Social Consciousness,” Journal of Markets & Morality,
13.2 (Fall 2010): 413-436; “Herman Bavinck Speaks English: A Bibliographic Essay,” Mid-
America Journal of Theology, 19 (2008): 117-126; “Grand Rapids between Kampen and Am-
sterdam: Herman Bavinck’s Reception and Influence in North America,” Calvin Theological
Journal, 38.2 (November 2003): 263-280 등이다. 볼트의 바빙크 관련 단행본으로는 John
Bolt, Bavnick on the Christian Life: Following Jesus in Faithful Service (Wheaton: Crossway,
2015)을 참고하라(이 책은 논문 필자가 한글 번역 중이다). 볼트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는 바빙크 관련 자료실(https://bavinckinstitute.org)도 참고하라. 바빙크 관련 1차 자료와
2차 자료가 PDF 파일로 제공된다.
3 영어로 집필된 바빙크에 대한 조지 하링끄의 주요 소논문을 최신순으로 정리하면
George Harinck, “Universality and Dualism: Herman Bavinck and the Date on Whether to
Civilize the Dutch East Indies through Missions or Education,” Calvin Theological Journal,
48.2 (November 2013): 217-233; “The Religious Character of Modernism and the Modern
Character of Religion: A Case Study of Herman Bavinck’s Engagement with Modern Cul-
ture,”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9.1 (Spring 2011): 60-77; “Herman Bavinck
and Geerhardus Vos,”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18-31; “‘Something
that Must Remain, if the Truth is to be Sweet and Precious to Us’: the Reformed Spirituality
of Herman Bavinck,” Calvin Theological Journal, 38.2 (November 2003): 248-262 등이다.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07
5
(James Eglinton)4과 그의 제자들 을 위시하여 바빙크를 학문적, 철학적,
신학적으로 재조명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세 가지 연구 지점들
은 때로는 서로가 서로를 도와주며 때로는 서로가 서로를 비평하며 바빙
크에 대한 건설적 논의들을 다양한 형태로 내놓고 있는 형국이다.
특별히 제임스 에글린턴과 그의 제자들을 통해 최근 바빙크 연구가 재
조명되고 있는 성향이 강한데 그 이유는 그들에 의해 19-20세기 바빙크 작
품들이 보다 더 현대적인 영어로 재번역‧재편집되어 지속적으로 출간되
고 있기 때문이며,6 동시에 기존의 바빙크 연구의 색과 결을 기탄없이 ‘비
4 바빙크와 관련된 제임스 에글린턴의 주요 소논문을 최신순으로 정리하면 James
Eglinton, “Scientific Theology?: Herman Bavinck and Adolf Schlatter on the Place of The-
ology in the University,”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7.1 (2013): 27-50; “Bavinck’s Or-
ganic Motif: Questions Seeking Answers,”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51-71 등이다. 에글린턴의 박사논문 출판본은 James Eglinton, Trinity and Organism: To-
wards a New Reading of Herman Bavinck’s Organic Motif (New York: Bloomsbury T & T
Clark, 2012)이다. 에글린턴이 편집한 책은 Herman Bavinck, Christian Worldview, eds.
James Eglinton, Nathaniel Gray Sutanto, Cory Brock (Wheaton: Crossway, 2019); Herman
Bavinck, Herman Bavinck on Preaching and Preachers, ed. James Eglinton (Peabody: Hen-
drickson, 2017)이며, 이 책의 한글 번역본은 각각 헤르만 바빙크,
ࡔ
기독교 세계관: 혼돈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을 위한 치유
ࡕ
, 김경필 역, 강영안 감수 및 해설 (군포: 다함, 2020); 헤르만 바빙크,
ࡔ
헤르만 바빙크의 설교론: 설교는 어떻게 사람을 변화시키는가ࡕ
, 제 임스 에글린턴 편, 신호섭 역 (군포: 다함, 2021)이다(다만
ࡔ
기독교 세계관ࡕ
은 영역본이 아 닌 네덜란드어본을 원본으로 삼아 번역했다).
5 제임스 에글린턴의 제자들로는 코리 브록(Cory Brock), 나다니엘 그레이 수탄토
(Nathaniel Gray Sutanto), 브루스 파스(Bruce Pass), 구스타보 몬테이로(Gustavo Monteiro),
카메론 클라우싱(Cameron Clausing), 그렉 파커(Greg Parker), 시 미앤 쉬(Ximian Xu), 리
처드 브래쉬(Richard Brash), 이스라엘 구에레로 레이바(Israel Guerrero Leiva) 등이 있다.
6 앞선 각주에서 언급했던
ࡔ
기독교 세계관ࡕ
이나 ࡔ
설교론ࡕ
뿐만 아니라 Herman Bavinck, De offerande des lofs: Overdenkingen voor en na de toelating tot het heilige avond-
maal (’s Gravenhage: Fred. H. Verschoor, 1901); Wijsbegeerte der openbaring: Stone-lezin-
gen voor het Jaar 1908, Gehouden te Princeton N. J. (Kampen: J. H. Kok, 1908)도 그들에
의해 재번역 및 재편집되어 다음과 같이 각각 영역본으로 출간되었다. Herman Bavinck,
The Sacrifice of Praise, ed. & trans. Cameron Clausing & Gregory Parker (Peabody: Hen-
drickson, 2019); Philosophy of Revelation: A New Annotated Edition, eds. Cory Brock &
Nathaniel Gray Sutanto (Peabody: Hendrickson, 2018). 이 책들의 한글 번역본은 각각 헤르
208 개혁논총
평’하며 소위 바빙크를 새롭게 읽는(a new reading) 작업에 천착하고 있기
때문이다.7 물론 한 신학자를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읽고 분석하
는 일은 학문의 발전을 위해 매우 필요한 일이다. 그 이유는 그렇게 함을
통해 기존에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내용이나 해석 지점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위 ‘새로운 읽기’가 언제나 옳은 것만은 아니다. 본고
는 이 지점에 좀 더 주목하려고 한다.
최근 제임스 에글린턴에 의해 바빙크 전기(biography)가 새롭게 출간되
었다.8 이 전기의 부제는 다소 도발적인데 그 이유는 전기 작품의 제목으
로는 흔하게 쓰이지 않는 표현인 ‘비평적’(critical)이란 표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Bavinck: A Critical Biography, 이후부터는 Bavinck로 표기
하겠다). 혹자는 이 전기 제목을 오해해서 에글린턴이 바빙크의 생애와 신
학을 ‘비평적으로’ 고찰했다고 단순히 부정적으로 인상 비평할 수 있겠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에글린턴 전기의 부제인 비평
적 고찰의 대상은 헤르만 바빙크 본인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의 바빙크 전
기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대한 비평이기 때문이다. 결국 에글린턴의 전
기는 그가 박사논문을 쓸 때부터 천착했던 해석 원리인 바빙크를 ‘새롭게
읽는’ 작업의 또 다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바빙크 전기들을 객관
만 바빙크,
ࡔ
찬송의 제사: 신앙고백과 성례에 대한 묵상ࡕ
, 박재은 역 (군포: 다함, 2020)(하 지만
ࡔ
찬송의 제사ࡕ
는 Herman Bavinck, The Sacrifice of Praise: Meditations Before and After Receiving Access to the Table of the Lord, trans. John Dolfin, 2nd ed. (Grand Rapids:
Louis Kregel, 1922)을 번역 원본으로 삼았다); 헤르만 바빙크,
ࡔ
계시 철학: 개정·확장·해제 본
ࡕ
, 코리 브록·나다니엘 수탄토 편, 박재은 역·해제 (군포: 도서출판 다함, 2019)이다. 7 예를 들면 에글린턴의 박사논문 제목도 ‘헤르만 바빙크를 새롭게 읽는 것을 지향하
며’(Towards a New Reading of Herman Bavinck)라는 문구가 포함되어있다. 특별히 에글
린턴과 그의 제자들은 바빙크를 19-20세기 학문적 맥락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바빙
크의 신학적 색깔에 ‘현대성’과 ‘학문성’을 덧붙이고 싶은 마음이 강하다.
8 James Eglinton, Bavinck: A Critical Biography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20).
이 책의 한글 번역은 논문 필자에 의해 마무리되었으며 2021년 하반기 내에 도서출판 다함
에서 출간될 예정이다.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09
적으로 바라본 후 그런 작업의 장단점의 토대 위에서 바빙크의 생애와 신
학을 새롭게 재조망하려는 시도가 바로 최근에 출간된 에글린턴의 전기가
지향하는 집필 방향성이다.
본고의 목표는 이런 에글린턴의 Bavinck를 비평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
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평적으로 고찰’한다는 의미는 에글린턴의 전기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장단점을 도출해내어 과연 어떤 시각이 바빙크의 생애
와 신학을 평가함에 있어 보다 더 옳은 시각인가를 고민하는 작업이 포함
된 의미이다. 무조건 새롭게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옳은 시각’ 하에
새롭게 읽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 전개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에글린턴이 비평의 대상으
로 삼고 있는 기존의 바빙크 전기를 역사적으로 분석해본 후, 에글린턴의
Bavinck의 핵심 내용들을 분석할 것이다. 특히 에글린턴 전기의 장점과 기
여, 단점과 아쉬운 점, 그리고 총평을 내려 볼 것이다. 그 후 바빙크 전기의
향후 방향성 및 신학적‧실천적 고찰을 살핀 다음 총 결론을 내리도록 하
겠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전기’라는 옷을 입은 채 바빙
크의 생애와 신학을 보다 더 올바르게 고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하고
도 의미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게 될 것을 확신한다.
2 헤르만 바빙크 전기에 대한 역사적 고찰
바빙크가 살았던 시대뿐만 아니라 바빙크 사후 시대를 살았던 네덜란드
인에게 있어서 자서전(autobiography)과 전기(biography) 집필 문화는 전
혀 생소하지 않았던 문화였다.9
9 Rudolf Dekker, “Childhood in Dutch Autobiographies, 1600-850: Changing Memory
210 개혁논총
예를 들면 헤르만 바빙크의 아버지 얀 바빙크(Jan Bavinck, 1826-1909)
도 “내 생애의 짧은 스케치”(Een korte schets van mijn leven)라는 제목의
미출간된 친필 자서전을 자신의 후손들에게 남겼다.10 이 친필 자서전을
통해 얀 바빙크는 54년간의 목회 사역을 마무리하며 인생 가운데 중요했
던 굵직한 족적들을 후손들에게 스스로 전했다. 자서전에 대해 전문적으
로 연구했던 학자 루돌프 데꺼르(Rudolf Dekker)는 19세기 네덜란드인들
11
의 자서전 문화를 소위 ‘자존적 문서’(egodocuments) 문화로 이해했고
이를 통해 가풍(家風)이 효과적으로 전해 내려 올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12
바빙크도 자신의 아버지 얀처럼 자서전적 스케치를 기록했다. 바빙크는
54세가 되던 해 1908년 아메리카에 강의차 가 있었는데,13 그때 네덜란드
어로 출간되었던 아메리카 신문 「더 흐론트벳」(De Grondwet)으로부터 생
애를 짧게 개괄하는 글을 투고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일목요연하게 자신의
생애를 스케치하는 짧은 글을 보냈다. 바빙크의 자서전적 스케치의 전문
은 다음과 같다.
Strategies,” Paedagogica Historica 32 (1996): 65-76. Cf. Eglinton, Bavinck, 17-19.
10 Jan Bavinck, “Een korte schets van mijn leven,” 미출간, 친필 자서전, n.d., HBA,
folder 445. Eglinton, Bavinck, 331n1에서 재인용. HBA는 Herman Bavinck Archive at the
Historisch Documentatiecentrum voor het Nederlands Protestantisme (1800-heden), Vrije
Universiteit Amsterdam 즉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의 네덜란드 개신교를 위한 역사적 자
료실(1800년부터 현재까지)의 줄임말이다.
11 Rudolf Dekker, Egodocuments and History: Autobiographical Writing in Its Social
Context Since the Middle Ages, ed. Rudolf Dekker (Hilversum: Verloren, 2002). Cf. Eglinton,
Bavinck, 17-19.
12 19세기 네덜란드 자존적 문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는 Arianne Baggerman, “Lost
Time: Temporal Discipline and Historical Awareness in Nineteenth-Century Dutch Egodoc-
uments,” in Controlling Time and Shaping the Self: Developments in Autobiographical Writ-
ing Since the Sixteenth Century, ed. Arianne Baggerman, Rudolf Dekker, and Michael James
Mascuch (Leiden: Brill, 2011), 455-535를 참고하라.
13 이 강의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개최했던 스톤 강연(the Stone Lectures)이었다. 이
강의의 강의안은 바빙크,
ࡔ
계시 철학ࡕ
을 참고하라.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11
아버지 얀 바빙크 목사께서 목회자로 계셨던 호허페인(Hoogeveen)에서
1854년12월13일에태어났습니다. 이후아버지께서뷘스호튼(Bunschoten)
으로 이사하셨고, 그 후엔 또 다시 북쪽 브라반트(Brabant)의 알름께르끄
(Almkerk)로 이사하셨습니다. 거기서 전 하설만(Hasselman) 씨의 기관에
서교육을받았습니다. 그후전즈볼러(Zwolle)에서김나지움(고등학교)에
다녔습니다. 거기서 전 도스꺼르(Dosker) 가정과 친해졌으며 그 가정의 아
들 중 한 명이었던 헨리 도스꺼르(Henry Dosker)와 지금까지도 우정을 유
지하고 있습니다.
김나지움을마친후저는아버지께서현재목회자로계시는깜쁜의신학교
에서 1년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거기 교육은 저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래서저는1874년에유명했던교수들인스홀튼(Scholten)과꾸우넌(Kue-
nen) 밑에서 신학을 공부하기 위해 레이든으로 갔습니다. 전 5년 만에 공부
를 마쳤고 “츠빙글리의 윤리학”이라는 제목으로 박사논문을 작성해 1880
년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프라네꺼르(Franeker)에서 1년간 목회 사역을 한 후, 저는 1882년 깜쁜 신
학교 교수로 임명되었습니다. 거기서 전 주로 교의학 과목을 맡았으며,
1902년 자유 대학교로 옮긴 후에도 교의학을 주로 가르쳤습니다. 이와 더
불어 전 1895년부터 1900년까지 4권짜리의 광범위한 책을 출간했으며, 현
재확장개정판인제2판이출간된상태입니다. 이외에도많은다른작품들
을 출간했는데 『현재의 도덕』(De Hededaagsche Moraal), 『창조와 진화』
(Schepping en Ontwikkeling), 『믿음의 확신』(De Zekerheid des Geloofs), 『심
리학의 원리』(Beginselen der psychologie), 『교육학 원리』(Paedagogische
beginselen), 『사상가와 시인으로서의 빌데르데이끄』(Bilderdijk als denker
en dichter) 등등 정도만 언급하려고 합니다.
몇년전에저는여왕에의해네덜란드사자기사단(the Knights of the Order
of the Lion of the Netherlands)에임명되었습니다. 많은협회들에더해(예를
들면, 레이든네덜란드문학협회[the Society of Dutch Literature in Leiden]),
저는암스테르담왕립학술원(the Royal Academy of Science in Amsterdam)
의 회원이기도 합니다. 전 프린스턴에서 강의하러 아메리카에 왔지만 이
기회를 제 옛 친구들을 만나는 기회로도 사용하고 있으며 16년 전보다 아
메리카에 더 친숙해지고 있습니다. 바빙크 여사와 저는 여기서 매우 즐겁
게지내고있으며특별히아메리카땅과사람들에게마음이사로잡혀있습
니다.14
212 개혁논총
바빙크를 연구하면서 가장 아쉬운 부분 중 하나는 바빙크가 좀 더 포괄
적이고도 방대한 양의 자서전을 스스로 남기지 않았던 부분이다. 하지만
「더 흐론트벳」에 보냈던 바빙크의 짧은 자서전 스케치를 통해 바빙크 스
스로가 밝히는 자존적 생애를 짧게나마 엿볼 수 있는 것도 분명 의미가 있
다.
이처럼 19-20세기 네덜란드 상황 속에서 자서전 집필 문화는 전혀 생소
했던 문화가 아니었다. 이런 맥락에 더해 전기 집필 문화도 마찬가지였다.
영향력 있던 신학자가 세상을 등진 직후 다양한 형태의 전기가 출간되었
던 것도 그 당시 전혀 생소했던 문화가 아니었다. 그렇다면 바빙크 사후 집
필된 유의미한 바빙크 전기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출간 순서대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첫째, 바빙크의 하직 직후였던 1921년에 출간된 전기는 두 편이 있는데
팔렌떼인 헤프(Valentijn Hepp)의 『헤르만 바빙크 박사』(Dr. Herman
Bavinck)15와 J. H. 란트베어(Landwehr)의 『헤르만 바빙크 교수 박사에 대
한 기억』(In Memoriam: Prof. Dr. H. Bavinck)16이 바로 그것들이다. 에글
14 Herman Bavinck, “Autobiographische schets van Dr. H. Bavinck,” De Grondwet, no.
9, October 6, 1908, 3. 이후부터의 한글 번역은 모두 다 필자의 번역임을 밝힌다(Eglinton,
Bavinck, 315-316 부록 부분에 수록). 사실 이 기사 맨 앞부분은 「더 흐론트벳」의 편집자였
던 J. B. 뮐더르(Mulder) 편집자 노트가 두 단락 추가되어 있다. 그 전문 번역은 다음과 같
다. “「더 흐론트벳」 편집자가 바빙크 박사에게 몇 가지 지점으로 삶을 반추해서 우리의 환
영하는 영예로운 손님의 삶에 대한 스케치를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다. 처음 시작하는 두 단
락은 편집자였던 J. B. 뮐더르(Mulder)에 의해 제공된 단락이다. [바빙크] 박사는 스스로의
손으로 그린 자기 삶의 초상화를 통해 자기 마음에 생동감을 불어 넣었다. 그의 마음에만
생동감이 불어 넣어졌는가? 맞다, 하지만 여러분의 마음도 마찬가지이다. 여러분의 마음도
홀란드, 질랜드, 무스케곤, 그랜드 래피즈에서 고동치며 시카고에서 그와 조우할 것이다.
편집자가 매우 빠르고 관대하게 제공해주신 존경하는 박사께 공개적으로 감사를 표할 때,
[편집자는] 「더 흐론트벳」의 모든 독자 이름으로 이렇게 함을 통해 [바빙크 박사의 생애에
대해] 추정하는 잘못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Bavinck, “Autobiographische schets
van Dr. H. Bavinck,” 3.
15 Valentijn Hepp, Dr. Herman Bavinck (Amsterdam: Ten Have, 1921).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13
린턴이 가장 많은 비평의 칼날을 대고 있는 전기는 란트베어의 전기보다
는 헤프의 전기이다. 즉 헤프의 전기는 에글린턴 전기의 부제인 ‘비평적’
이라는 단어의 대상으로서 대단히 큰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헤프는
바빙크 생전에 직접 만나 경험했던 이야기들, 지금은 사라진 바빙크의 일
기 중 일부 내용, 바빙크 지인들과의 직접적인 인터뷰 등을 토대로 전기를
기술해 내려갔다. 그러므로 전반적으로 생동감이 넘치며 흥미로운 이야기
들로 채워져 있다. 하지만 에글린턴은 헤프의 전기가 사실에 근거한 자료
적 토대가 부족하다고 비평하며 헤프의 전기 중 일부 부분이 “출처가 불분
명한”(apocryphal)17 자료에 근거한다고 비판적 고찰을 하고 있다. 에글린
턴은 헤프와 란트베어의 전기를 자주 비교하는데 이 비교의 결과는 헤프
전기가 가지고 있는 이런 ‘출처 불분명성’에 대한 비판으로 귀결되는 결과
를 낳는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글린턴은 헤프의 전기를 “바빙크 이야
기를 광범위하게 기술한 유일한 전기”(the only extensive retelling of
Bavinck’s story)19라는 식의 다소 긍정적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둘째, 바빙크의 친구였던 헨리 엘리아스 도스꺼르(Henry Elias Dosker,
1855-1926)20의 1922년 바빙크 추도 연설도 바빙크의 전기적 자료로서 기
능한다.21 바빙크는 살아생전 세 명의 친구들, 즉 크리스티안 스눅 휘르흐
16 J. H. Landwehr, In Memoriam: Prof. Dr. H. Bavinck (Kampen: Kok, 1921).
17 Eglinton, Bavinck, 46.
18 예를 들면 에글린턴은 1883년 1월 9일 바빙크가 다우어 끌라제스 비렝아(Douwe
Klazes Wielenga, 1841-1902), 루카스 린더봄(Lucas Lindeboom, 1845-1933)과 더불어 깜
쁜 신학교 교원으로 임명된 후 했던 취임 연설에 대한 서로 다른 내용을 지적하면서 헤프의
주장보다는 란트베어의 주장이 더 맥락적으로 옳다고 평가한다. Eglinton, Bavinck, 137.
19 Eglinton, Bavinck, xx.
20 도스꺼르는 목회자였던 아버지와 함께 청소년 시기 미국으로 이주했던 신학자였다.
도스꺼르와 바빙크는 즈볼러 김나지움(the Zwolle Gymnasium)에서 함께 공부했으며 (비
록 매우 자주는 아니었지만) 평생 서신을 주고 받았다. Eglinton, Bavinck, 322.
21 Henry Elias Dosker, “Herman Bavinck,” Princeton Theological Review 20 (1922):
214 개혁논총
로녀(Christiaan Snouck Hurgronje, 1857-1936),22 게르할더스 보스(Geer-
24
hardus Vos, 1862-1949),23 헨리 엘리아스 도스꺼르 와 많은 서신을 주고
받았다.25 에글린턴은 전기 내용 대부분을 스눅 휘르흐로녀, 도스꺼르, 보
스와 주고받은 서신들의 내용을 기반으로 재구성해 나가기 때문에 바빙크
친구들의 서신, 추도사, 연설, 메모 등은 바빙크의 전기를 구성함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감당한다.
셋째, 1940년대부터 1960년대 사이에도 바빙크의 전기는 출간되었다.
대표적으로 콕(A. B. W. M. Kok)의 『헤르만 바빙크 박사』(Dr Herman
Bavinck)26와 헤일후트(J. Geelhoed)의 『헤르만 바빙크 박사』(Dr. Herman
Bavinck)27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특별히 에글린턴은 콕과 헤일후트의 전기
보다는 1966년에 출간된 브렘머르(R. H. Bremmer)의 『헤르만 바빙크와
그의 동시대인들』(Herman Bavinck en zijn tijdgenoten)28을 더 높게 평가
448-64. 이 추도 연설은 “Herman Bavinck: A Eulogy by Henry Elias Dosker,” in Essays on
Religion, Science, and Society, ed. John Bolt, trans. Harry Boonstra & Gerrit Sheeres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8), 13-24로 재판되었다.
22 스눅 휘르흐로녀는 그 당시 가장 저명했던 네덜란드 동양학자(이슬람교 학자)였으
며, 바빙크와 스눅 휘르흐로녀는 레이든 학생 시절 때 친구가 되었다. Eglinton, Bavinck,
323.
23 보스는 어렸을 때 네덜란드에서 미국으로 건너갔던 옛 프린스턴 신학자이다. 보스와
바빙크는 비슷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년간 서신을 주고 받았다. Eglinton, Bavinck,
323. 바빙크가 보스로부터 받은 편지 모음집은 James T. Dennison Jr., ed., The Letters of
Geerhardus Vos (Phillipsburg, NJ: P&R, 2005)을 참고하라.
24 바빙크가 도스꺼르로부터 받은 편지 모음집은 George Harinck & Wouter Kroese,
eds., ‘Men wil toch niet gaarne een masker dragen’: Brieven van Henry Dosker aan Herman
Bavinck, 1873-1921 (Amsterdam: Historisch Documentatiecentrum voor het Nederlands
Protestantisme [1800-heden], 2018)을 참고하라.
25 바빙크의 서신 모음집으로는 George Harinck & Jan de Bruijn, eds., Een Leidse vriend-
schap (Baarn: Ten Have, 1999)을 참고하라.
26 A. B. W. M. Kok, Dr Herman Bavinck (Amsterdam: S. J. P. Bakker, 1945).
27 J. Geelhoed, Dr. Herman Bavinck (Goes: Oosterbaan & Le Cointre, 1958).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15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29 에글린턴은 전반적으로 브렘머르의 전기를 중
립적인 논조로 평가하며 사실을 확인할 때 그 근거로서 종종 인용하는 모
습을 보인다. 바빙크가 깜쁜 신학교에서 가르쳤던 시절이었던 1889년부
터 1894년까지 바빙크 밑에서 공부했던 이트저르트 판 델른(Idzerd van
Dellen, 1871-1965)은 교수 바빙크에 대한 개인적인 묘사를 다음과 같이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우리는 3년 동안 바빙크와 함께 교의학을 공부했다. 바빙크의 수업들은 아
침 수업이었다. 그분은 보통 아침 9시 수업을 시작하기 전 난로 가까이 서
계셨고 우리는 그분 주위에 둘러서 질문들을 드리곤 했다. 우리는 카이퍼
박사의 소논문, 현대 언어들, 사회주의, 심리학 영역에서 최근 나오는 소설
등 다양한 종류의 주제로 질문했다. 그분께서 답변을 주실 때는 박식함을
증명하셨으며, 하나님의말씀의위대한원리들의빛가운데서주제들을다
루셨다. 우리는 즉석에서 짧게 반응했으며 많은 것을 배웠다. 그다음 자신
의 시계를 슬쩍 보신 후 “신사분들, 시작할 시간입니다”라고 말씀하셨다.
그다음 기도 후에 교의학 강의를 시작하셨다. 그분은 우리가 원래 했어야
만 하는 필기를 종종 잊어버리게끔 강의하셨고(아직 그분의 교의학이 출
간되지않았다), 우리는단지주제에대한그분의열정어린강의를들을뿐
30
이었다.
넷째, 브렘머르의 전기 이후로 바빙크의 전기 집필은 오랜 기간 동안 소
강상태를 보이다가 2010년에 영어권에서 또 다른 전기 한 편이 출간되었
다. 이는 론 글리슨(Ron Gleason)의 『헤르만 바빙크: 목회자, 교회 신자, 정
치가, 그리고 신학자』(Herman Bavinck: Pastor, Churchman, Statesman,
28 R. H. Bremmer, Herman Bavinck en zijn tijdgenoten (Kampen: Kok, 1966).
29 Eglinton, Bavinck, xx.
30 Idzerd van Dellen, In God’s Crucible: An Autobiography (Grand Rapids: Baker, 1950),
40. Eglinton, Bavinck, 163에서 재인용.
216 개혁논총
and Theologian)이다.31 글리슨의 전기는 2014년 한글로도 번역 출간되었
다.32 사실 글리슨의 전기는 많은 부분 헤프와 브렘머르 전기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에글린턴은 헤프에게 날카롭게 대었던 비평의 칼날을 글리슨
의 전기에 더 날카롭게 대고 있다.33 그러므로 에글린턴 전기의 부제인 ‘비
평적’이라는 표현은 많은 부분 헤프와 글리슨의 전기로 수렴된다.
이처럼 바빙크의 살아생전 자서전적 스케치와 바빙크 사후 지속적으로
출간된 그의 전기를 통해 바빙크의 생애와 사상을 보다 더 다층국면적으
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모든 자서전적 자료와 전기 자료들은 바빙크 신학의
중요한 틀 중 하나인 ‘통일성과 다양성’(unity & diversity)의 원리 속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얽히고설켜 바빙크의 살아생전 모습을 보다 더 종합적으
로 재구성해내고 있다.
그렇다면 기존의 이런 자료들과 에글린턴의 Bavinck 사이의 차별성은
무엇이며 장단점, 기여점, 아쉬운 점은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
부터 본격적으로 논의를 전개하도록 하겠다.
3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 분석
지금부터 차츰 드러나겠지만 에글린턴의 Bavinck가 지니고 있는 본질
적인 장단점들은 서로 반립적 상호 관계성, 즉 장점이 단점이 되고 단점이
장점이 되는 관계성을 독특하게 가지고 있다. 이런 반립적 상호 관계성은
31 Ron Gleason, Herman Bavinck: Pastor, Churchman, Statesman, and Theologian
(Phillipsburg, NJ: P&R, 2010). 글리슨의 전기에 대한 서평으로는 James Eglinton, Review
in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9, no. 1 (Spring 2011): 127을 참고하라.
32 론 글리슨,
ࡔ
헤르만 바빙크 평전: 목회자, 교회 지도자, 정치가, 신학자ࡕ
, 윤석인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4).
33 Eglinton, Bavinck, xx.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17
에글린턴의 전기에 대한 다채로운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3.1 장점과 기여
에글린턴의 Bavinck의 장점과 기여점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 가능한데,
(1) 바빙크를 시대의 아들로 읽으려는 부단한 노력(역사적 관점), (2) 풍성
한 자료에 근거한 적극적인 사실관계 확인(사료적 관점), 그리고 (3) 기존
전기에 대한 비평적 고찰(새로운 읽기 관점)이다.
3.1.1 바빙크를 시대의 아들로 읽으려는 부단한 노력(역사적 관점)
에글린턴은 바빙크 전기 집필을 통해 소위 ‘두 바빙크들’(two
Bavincks)34 이론을 깨려고 노력하고 있다. 에글린턴에 따르면 두 바빙크
들 이론이란 바빙크를 소위 ‘전통적 바빙크’와 ‘현대적 바빙크’로 설정해
서 그 둘 사이의 반립 관계 혹은 모순 관계에 집중해 바빙크의 내부적 정체
성을 분열시키려는 시도이다.35 에글린턴은 이런 두 바빙크들 이론을 바빙
크 사상을 “소국 분할화”(Balkanization)36하는 시도라고 보고 적극적으로
경계하고 있다. 즉 에글린턴의 주요 논지는 바빙크를 ‘전통적 바빙크’와
‘현대적 바빙크’로 날카롭게 구분할 수 없으며 오히려 바빙크를 ‘전통적-
현대적’ 바빙크, 동시에 ‘현대적-전통적’ 바빙크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34 이는 얀 페인호프(Jan Veenhof)의 고전적 묘사이다. Jan Veenhof, Revelatie en Inspi-
ratie: De Openbarings- en Schriftbeschouwing van Herman Bavinck in vergelijking met die
van de ethische theologie (Amsterdam: Buijten & Schipperheijn, 1968), 108-11. Eglinton,
Bavinck, xviii에서 재인용.
35 Eglinton, Bavinck, xviii.
36 Eglinton, Bavinck, xviii.
218 개혁논총
에글리턴은 이런 관점을 가지고 전기를 집필하려는 자신의 의도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본서는전기라는완전히다른문학적장르가운데서신학적속편들과는다
른 종류의 속편으로 계획되었다. 만약 두 바빙크들 모델이 더 이상 정당성
이 없는 모델이라면, 바빙크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말할 때 어떤 측면이 담
지 된 채 진행되어야 할까? 이 전기는 “두 바빙크들” 해석학들을 붕괴시키
37
는 관점하에서 어떤 독특한 형태를 지녀야 할까?
에글린턴의 이런 의도는 소위 바빙크 사상 내에 존재하는 ‘유기적 다양
38
성’에 좀 더 집중하는 주장으로 기본적으로 바빙크를 ‘시대의 아들’로 설
정해 바빙크 당대에 발흥했던 현대성(modernity)에 적극적으로 반응, 인
식, 숙고, 전용하는 태도와 자세를 겸비했던 바빙크를 강조하는 입장 견지
이다. 즉 에글린턴의 Bavinck의 장점과 기여는 바빙크를 19-20세기 네덜
란드의 현대화의 앵글과 기치 가운데 바빙크의 생애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에글린턴의 태도와 자세는 바빙크를 16-17세기 종교개혁 틀 안에
억지로 집어넣어 주조(鑄造)하려는 의도성을 멀리 한 채 바빙크 당시의
19-20세기 현대화 상황 속에 바빙크를 자연스럽게 위치시켜 19-20세기의
숨결과 적극적으로 호흡하는 바빙크를 그려내었다는 차원에서 기여점이
높다.
하지만 바빙크를 현대성으로 풀어 설명하려는 에글린턴의 의도에 함의
된 장점은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동시에 단점으로 발현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즉 바빙크에게 현대성이라는 씨줄과 날줄로 엮은 현대화
37 Eglinton, Bavinck, xx(강조는 원문).
38 Eglinton, Trinity and Organism, 207.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19
된 옷을 지나치게 덧입혀 바빙크를 시대의 아들의 한계 속으로 너무 밀어
넣었다는 단점은 분명 존재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따로 살펴보도
록 하겠다.
3.1.2 풍성한 자료에 근거한 적극적인 사실관계 확인(사료적 관점)
에글린턴의 Bavinck는 풍성한 자료를 활용해서 적극적으로 역사적 사
실관계를 올바로 규명하려는 노력 차원에서 가치가 있다. 에글린턴은 암
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 소재한 네덜란드 개신교를 위한 역사적 자료실
(1800년부터 현재까지)(the Historisch Documentatiecentrum voor het Ned-
erlands Protestantisme[1800-heden]), 깜쁜시의 문서보관소(the Stad-
sarchief in Kampen), 깜쁜시의 네덜란드 개혁교회 문서보관소 및 자료실
(theArchief- en Documentatiecentrum van de Gereformeerde kerken in Ned-
erland) 등에 보관되어 있는 바빙크의 일기(dagboeken), 미출간된 원고들,
서신들을 기반으로 전기를 작성함을 통해 보다 더 생동감 있는 필치로 바
빙크의 생애에 대한 재구성을 가능케 했다. 예를 들면 바빙크가 암스테르
담 시절 막바지 때 “나의 출간물 목록”(Lijst mijner geschriften)이라는 제
39
목의 미출간되고 날짜가 명기되어 있지 않은 공책 을 기록했는데 이 목록
의 서문에서 자신의 교육 여정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이런 목록을 통해
바빙크의 교육 여정을 더 정확히 알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는다.
출생
1854년 12월 13일 호허페인
신학 [시험] 후보 자격
셈어 [시험] 후보 자격
박사 시험
레이든
레이든
레이든
1878년 4월 1일
1878년 9월 20일
1879년 8월 4일
39 Manuscript “Lijst mijner geschriften” (출판사명과 날짜가 명기되어 있지 않음), HBA,
folder 99. Eglinton, Bavinck, 59에서 재인용.
220 개혁논총
박사 학위
레이든
깜쁜
1880년 6월 10일
1880년 7월 20일
1881년 3월 13일
1882년 8월 24일
1882년 10월 8일
1883년 1월 10일
1902년 12월 17일
신학 [시험] 후보 자격
프라네꺼르에서 안수 받음
임명
목회 마무리
직 수락
즈볼러 대회
프라네꺼르
깜쁜
40
직 수락
암스테르담
이뿐만 아니라 에글린턴의 전기는 그 당시 주요 언론들, 예를 들면 「더
바자윈」(De Bazuin), 「더 헤라우트」(De Heraut), 「더 스탄다르트」(De Stan-
daard)41의 기사들을 적극적으로 인용하며 바빙크 시대의 숨결과 능동적
으로 교감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 통해 에글린턴의 전기는 추측과
예측에 기대기보다는 역사적 사료에 근거와 토대를 두는 학문성을 겸비한
전기로 거듭나고 있다.
40 Geb
Candid. Theol.
Semit.
13 Dec. 1854
Hoogeveen.
1 April 1878.
20 Sept. 1878
4 Aug. 1879
10 Juni 1880
20 Juni 1880
13 Maart 1881
24 Aug. 1882
8 Oct. 1882
Leiden
″
″
Doct. exam
″
Doctorate
″
Cand. Theol.
Intrede te Franeker
Benoemd,
Kampen
Syn. Zwolle
Franeker
Afscheid
Ambt Kampen aanvaard
″ Amsterdam ″
10 Jan. 1883
17 Dec. 1902.
41 De Bazuin, De Heraut, De Standaard의 뜻은 각각 트럼펫, 문장관(紋章官), 기치(혹
은 깃대, 표준, 규범) 등이다.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21
3.1.3 기존 전기에 대한 비평적 고찰(새로운 읽기 관점)
에글린턴의 Bavinck의 전반적인 구조는 헤프, 란트베어, 브렘머르, 글리
슨과 같은 기존 전기 작가들의 전기 내용들을 역사적 사료에 근거해 비평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별히 에글린턴은 각종 사료들에 근거해 바빙
크의 부모였던 얀 바빙크와 헤지나 바빙크(Geziena Bavinck, 1827-1900)
42
를 반(反)현대적 인물로 그려냈던 헤프 에 대해서,43 바빙크가 7살이었을
44
때 학문적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다이아몬드”라고 그려냈던 헤프 와 브
45
렘머르 에 대해서,46 바빙크가 어린 시절을 보낸 학교였던 허설만 기관
47
(the Hasselman Institute)을 문화에 반대했던 기관으로 설정했던 헤프 에
대해서,48 바빙크가 깜쁜 신학교에서 목사 안수 시험을 봤을 때 시범 설교
49
본문 선택에 대해 몹시 화를 냈다는 헤프의 근거 없는 설명 에 대해서,50
42 Hepp, Dr. Herman Bavinck, 14.
43 “헤프의 전기의 영향 아래서 얀과 헤지나 바빙크는 종종 딴 세상의, 반(反)문화적
(Kulturfeindlich), 그리고 어느 정도는 반(反)현대적 사람들로 여겨졌다. 실제로 그들은 헤
프의 설명이 제안하는 것보다 훨씬 더 현대적이었다.” Eglinton, Bavinck, 39.
44 Hepp, Dr. Herman Bavinck, 18.
45 Bremmer, Herman Bavinck en zijn tijdgenoten, 17-18.
46 “그 후 ‘바빙크의 어린 시절: 다듬어지지 않은 다이아몬드’(Bavinck’s Youth: A Dia-
mond in the Rough)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는 글리슨의 전기 안의 헤르만의 어린 시절에 대
한 장도 헤프의 입증할 수 없고 문제가 되는 이야기에 완전히 의존해 얀과 헤르만에 대한
일련의 수상쩍은 주장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Eglinton, Bavinck, 45.
47 Hepp, Dr. Herman Bavinck, 20.
48 “헤프는 바빙크의 부모로부터 만들어진 ‘반(反)문화적’ 환경과 이 기관의 보다 더 개
방적이고 세속적인 환경 사이에서 바빙크가 분리되었다는 식으로 주장하며 하설만에서의
시간들을 청소년 바빙크의 자기 성찰과 내부적 갈등의 시기로 묘사했다. 하지만 그의 전기
전반에 걸쳐 그렇듯이 헤프는 이런 주장에 대해 증명 가능한 근거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어
떤 경우라도 얀 바빙크와 그의 총애를 받았던 하설만 기관을 문화에 대한 반대와 문화에 대
한 찬성으로 각각 묘사하는 것은 사실 백번 양보한다 해도 어리둥절함만을 자아낸다.”
Eglinton, Bavinck, 47.
49 Hepp, Dr. Herman Bavinck, 83.
222 개혁논총
바빙크가 『개혁 교의학』을 완성한 후 신학적 정체성이 변화되었다는 식의
51
헤프의 묘사 에 대해서 비평하며 설득력 있는 교정적 시각을 제공한다.52
게다가 에글린턴은 글리슨의 전기에 대해서 특히 많은 비평의 칼날을
날카롭게 대는데, 바빙크가 레이든 대학교로 옮기는 결정을 글리슨이 지
53
나치게 과장되게 묘사 했다고 비평하며 바빙크의 이런 결정은 그 당시 교
단과 국가 차원의 광범위한 파장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음을 지적했다.54 그
뿐만 아니라 에글린턴은 바빙크가 자유 대학교의 아브라함 카이퍼(Abra-
ham Kuyper, 1837-1920)와 그의 변호사였던 알렉산더르 더 사보르닌 로
만(Alexander de Savornin Lohman, 1837-1924)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였던 공정하지 않은 행위(소위 세인포스트 스캔들[the Sein-
55
post scandal])를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묘사했던 글리슨 을 시대적 정황
에 비추어 적절히 재평가했다.56
이처럼 에글린턴의 전기는 기존 전기들을 새롭게 읽기를 통해 자신만의
‘비평적’ 전기를 창출해 내고 있는 독특성을 보인다. 새롭게 읽는 근거도
50 “헤프의 전기는 이 상황에 대해 확장된 설명을 제공하지만 안타깝게도 추적 가능한
자료에 대한 언급 없이 이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Eglinton, Bavinck, 109.
51 Hepp, Dr. Herman Bavinck, 321-22.
52 “헤프는 실망과 절망의 이 시기 동안 바빙크의 신학적 정체성이 바뀌었는데 예전보
다 개혁신학에 대한 확신을 덜 갖게 되었고 카이퍼와 모순되는 스스로를 더 많이 발견했다
고 잘못 주장했다.” Eglinton, Bavinck, 261-262.
53 Gleason, Herman Bavinck, 45-46.
54 “이전의 전기적 설명을 살펴볼 때 젊었던 바빙크의 레이든으로의 이동에 대한 관련
논쟁들이 과장된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Eglinton, Bavinck, 71.
55 Gleason, Herman Bavinck, 223.
56 “공정하지 않은 행위의 현저한 예로 여기며 글리슨은 바빙크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
는’ 행동으로 묘사했다. 비록 바빙크의 배임에 대해서는 옹호할 수 없지만, 1890년대의 카
이퍼의 영향력의 빛 속에서 살펴봤을 때 적어도 어느 정도는 설명 가능한 행동이었다고 볼
수 있다.” Eglinton, Bavinck, 202.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23
자의적인 무리수라기보다는 오히려 시대적 상황 속에 서려 있는 문서와
사료들을 기반으로 설득력 있는 비평적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3.2 단점과 아쉬운 점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에글린턴 전기의 장점과 기여들은 역설적이게도
단점과 아쉬운 점들을 동시에 창출해낸다. 크게 한가지 측면에서 요약 고
찰 가능한데, 시대의 아들로서 바빙크를 역사적으로 조망하다보니 바빙크
에 대한 ‘신학적 평가’가 다소 모호하고 부족한 점이 바로 그것이다. 신학
적 평가의 모호함과 부족한 점을 크게 세 가지 맥락, 즉 바빙크의 친슐라이
어마허적 성향, 칼뱅의 결정론적 예정론, 아브라함 카이퍼와 영원으로부
터의 칭의 맥락에서 각각 살펴보도록 하겠다.
3.2.1 바빙크의 친(親)슐라이어마허적 성향?
에글린턴의 Bavinck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아쉬움은 두 바빙크들 이론
을 깨기 위해 지나치게 바빙크를 ‘현대적인 바빙크’의 맥락 안에 집어넣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신학적 아쉬움이다. 특히 ‘전적 의
존 감정’을 신학적 기치로 내걸고 신학 작업을 했던 19세기 독일 신학자 프
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786-1834)57와 바빙크
사이의 관계성을 지나치게 우호적인, 상호균형적인, 전용(轉用, appropri-
ation)의 관계로 설정해 마치 바빙크가 슐라이어마허의 영향을 크게 받았
고 슐라이어마허의 사상에 깊이 천착했다는 식으로 그려낸 것은 다소 신
57 슐라이어마허의 주관주의 신학과 신플라톤주의, 낭만주의 사상 사이의 관계성에 대
해서라면 Jae-Eun Park, “Schleiermacher’s Perspective on Redemption: A Fulfillment of the
coincidentia oppositorum between the Finite and the Infinite in Participation with Christ,”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9.3 (2015): 270-294를 참고하라.
224 개혁논총
학적 무리수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58 사실 이런 느낌은 바빙크의 『계
시 철학』을 재번역‧재편집한 에글린턴의 박사 제자들인 코리 브록과 나
다니엘 수탄토의 사상 가운데서도 진하게 묻어 나오는데,59 특히 코리 브
60
록의 박사논문은 바빙크의 슐라이어마허 사용에 대한 논문 으로 바빙크
를 소위 친(親)슐라이어마허적으로 그려내었다.
물론 바빙크는 1897년 『개혁 교의학』 제2권을 준비하는 가운데 『심리학
의 원리』(Beginselen der psychologie)61를 출간하며 인간의 자의식, 주관
적 감정, 의식 구조 등에 대해 슐라이어마허의 개념의 빛 아래서 깊이 연구
했으며, 『개혁 교의학』 제1권에서는 “슐라이어마허와 그 이후 신학 전체
는 정통주의자들이든 현대주의자들이든 간에 의식의 신학으로 바뀌었
62
다” 라고 진술하며 슐라이어마허의 강력한 영향력에 대해 인지했지만,
이런 인지가 곧 슐라이어마허를 우호적으로 묘사하며 그의 신학을 긍정적
으로 전용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 이유는 바빙크는 『개혁 교의학』 전반에
걸쳐 슐라이어마허의 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바빙크는 객관적 진리 체계인 성경 계시를 신학의 근본으로 이해했는데,
슐라이어마허 같은 경우엔 주관적인 인간이 신학의 근본이 되기 때문에
신학적 주객전도(主客顚倒)가 일어날 수 밖에 없다며 다음과 같이 비평했
다.
58 에글린턴은 책 마지막에 등장인물 소개를 하면서 슐라이어마허를 “바빙크의 생애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과시”한 인물로 그려낸다. Eglinton, Bavinck, 323.
59 바빙크,
ࡔ
계시 철학ࡕ
, 서문 부분을 살펴보라. 코리 브록과 나다니엘 수탄토가 서문을 썼고 특별히 서문 첫 번째 각주에서 밝히고 있는 것처럼 코리 브록의 박사논문 내용에 기대
어 서문을 작성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친(親)슐라이어마허적인 요소가 분명 존재한다.
60 박사논문 출판본은 다음과 같다. Cory Brock, Orthodox yet Modern: Herman
Bavinck’s Use of Friedrich Schleiermacher (Bellingham: Lexham, 2020).
61 Herman Bavinck, Beginselen der psychologie (Kampen: J. H. Bos, 1897).
62 헤르만 바빙크,
ࡔ
개혁 교의학ࡕ
,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1:125(#20).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25
칸트, 슐라이어마허그리고헤겔은모두동일하게종교적진리란성경이나
고백서에서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종교적 주체로부터 발견되고
63
도출되는 것으로 여겼다.
바빙크의 신학 방식은 뚜렷한 우선순위를 지니는데 언제나 객관성(초월
성)이 우선이며 그다음이 주관성(내재성)이다. 이런 우선순위를 뒤집은 신
학자가 슐라이어마허였기 때문에 바빙크는 슐라이어마허를 긍정적으로
전용하기보다는 오히려 비평적인 칼날을 대고 있다고 보는 것이 더 옳다.
바빙크는 슐라이어마허의 종교 개념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슐라이어마허역시자신의출발점을주체에두었으며, 지성이나의지가아
닌 감정에 두었다. 그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세상의 ‘통일’로서 사고의 대상
이 아니라, 단지 감정으로 느끼는 대상이다. 왜냐하면 사고란 항상 반대되
는 것들 사이를 왕래하기 때문이다. 사람이 감정으로 하나님을 즐기는 것
64
이 종교다.
만약 영혼의 기능을 지‧정‧의로 묘사했을 때 바빙크는 하나님을 세상
의 ‘통일’로서 지적으로 사고하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 우선순위를
두며 이런 앎으로부터 시작되는 감정과 의지의 문제를 지‧정‧의 상호
관계성 가운데서 통합적으로 고찰하려고 했지만, 슐라이어마허는 지나치
게 감정에만 모든 신학적 에너지를 쏟는 불균형적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바빙크는 생각했다.65 그러므로 바빙크에게 있어 슐라이어마허는 신학적
으로 살가운 친구라기보다는 신학적 비평의 대상이었다고 보는 것이 더
63 바빙크,
ࡔ
개혁 교의학ࡕ
, 1:110(#15). 64 바빙크,
ࡔ
개혁 교의학ࡕ
, 1:235(#51). 65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로는 바빙크,
ࡔ
계시 철학ࡕ
, 422-432(계시와 종교 경험에 대 한 핵심 해제)를 살펴보라.
226 개혁논총
옳다.
물론 바빙크는 『개혁 교의학』과 『계시 철학』 전반에 걸쳐 슐라이어마허
식의 개념과 용어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66 하지만 그 당시 신학적 놀
이터에 큰 폭탄을 던졌던 슐라이어마허의 개념과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으
면 학문적 논의 자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슐라이어마허의 개념과 용어들
을 ‘중립적으로’ 차용해 논의를 전개한 것이지 마치 슐라이어마허의 사상
에 적극적으로 동의해 슐라이어마허의 개념과 용어들을 사용한 것은 아니
라고 평가하는 것이 바빙크의 전반적인 신학 방식이 지향하는 바와 더 강
한 일관성을 지닌 평가라고 생각한다.
에글린턴은 바빙크가 1881년 2월 깜쁜 학우회 Fides Quaerit Intellec-
tum(믿음은 이해를 추구한다)에게 했던 “하나님 나라, 가장 높은 선”(Het
rijk Gods, het hoogste goed)67이라는 강의를 가리켜 슐라이어마허에 대해
조심스럽게 긍정적인 언급을 했던 강의였고 이런 모습이야말로 바빙크의
현대성이 잘 드러나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기록했다.68 물론 일견 그렇게
볼 수 있는 측면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빙크의
전반적인 사상 체계를 통해 볼 때 바빙크가 슐라이어마허 신학의 본질을
수용했고 그 수용이 바빙크가 가진 현대성을 짙게 만들어주었다라는 식의
평가는 여전히 의문 부호가 그려지는 평가가 아닐 수 없다.69
66 예를 들면 바빙크,
ࡔ
개혁 교의학ࡕ
, 1:699(#141)부터 논의되는 ‘윤리 심리학적’ 교의 학 방식에 대한 내용은 슐라이어마허의 개념과 표현들을 적극 활용해서 논의를 펼치는 부
분이다. 게다가 바빙크,
ࡔ
계시 철학ࡕ
, 145 이후부터 등장하는 ‘계시와 철학’의 관계성 부분 에서도 슐라이어마허의 전문 용어들을 많이 차용해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다.
67 이 강의는 「더 프레이 께르끄」(De Vrije Kerk)에 다음과 같이 연속적으로 실렸다.
“Het rijk Gods, het hoogste goed,” De Vrije Kerk 7 (April-August 1881): 4:185-92; 5:224-
34; 6:271-77; 7:305-14; 8:353-60.
68 Eglinton, Bavinck, 117-118.
69 심지어 에글린턴은 하나님의 지식과 인간의 지식 사이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를 하면
서 마치 이런 지식들의 관계가 슐라이어마허에 의해 규정된 것처럼 뉘앙스를 풍기는데 사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27
3.2.2 칼뱅의 결정론적 예정론?
에글린턴이 장 칼뱅(John Calvin, 1509-1564)의 신학을 묘사할 때 (물론
바빙크의 박사논문 지도교수였던 요하네스 헨리퀴스 스홀튼[Johannes
Henricus Scholten, 1811-85]이 견지했던 관점에 따라) 예정(predestina-
tion)과 신적 주권(divine sovereignty)을 키워드로 활용하며 묘사한다.70 물
론 스홀튼은 물질주의적 결정론을 견지했던 인물이었기 때문에 칼뱅신학
을 결정론적 시각에서 바라보았지만, 이에 대한 에글린턴의 평가가 전무
해서 16세기 칼뱅신학과 17세기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을 바라보는 에글
린턴의 시각에 어느 정도 의문점이 남는다. 즉 에글린턴이 칼뱅과 칼뱅 이
후의 신학을 결정론적 예정론으로 특징화했던 소위 중심 교의(the central
dogma)71의 오류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가라는 의문점이 존재하는 것
이다.
사실 칼뱅과 칼뱅 이후의 신학을 결정론적 예정론으로 묘사했던 학계의
흐름에 대항해 16-17세기 예정론이 기계적 결정론이 아니었으며, 인간의
책임과 역할을 무시한 채 하나님을 죄의 저자 혹은 신학적 폭군으로 만들
었던 사상도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은혜의 교리가 낱낱이 거세당한 피도
눈물도 없는 딱딱한 교리 체계가 아니었다는 주장이 충분한 학문적 연구
와 토의를 통해 어느 정도 신학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72 만약 전자의
실 신지식과 인간 지식 사이의 관계성은 이미 16세기 장 칼뱅에 의해 잘 정리된 바이다(
ࡔ
기 독교강요
ࡕ
1권 1장을 참고하라). Cf. Eglinton, Bavinck, 118. 70 대표적으로 Eglinton, Bavinck, 251을 보라.
71 소위 중심 교의 문제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하라. Richard A. Muller, “Calvin and
the ‘Calvinists:’ Assessing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between the Reformation and Or-
thodoxy,” Calvin Theological Seminary, 31 (1996): 151-157.
72 이런 논의는 미국 칼빈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y) 역사신학 은퇴 교수인
리처드 멀러(Richard A. Muller)를 위시한 동료들을 통해 많은 부분 재확립되었다. 이에 대
한 구체적인 논의로는 다음을 참고하라. Willem J. van Asselt et al., Reformed Thought on
228 개혁논총
흐름을 소위 16-17세기 신학을 향한 ‘옛 관점’으로 규정한다면, 과연 에글
린턴의 관점이 여전히 옛 관점 속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닌지에 대한 의문
부호가 여전히 남는다.73
3.2.3 영원으로부터 칭의?
에글린턴은 Bavinck 전반에 걸쳐 아브라함 카이퍼의 칭의론을 큰 고민
없이 ‘영원으로부터의 칭의’(혹은 ‘영원 칭의’)로 규정하고 있다.74 하지만
이는 카이퍼의 칭의론의 복잡성과 미묘함에 근거할 때 다소 나이브한 교
리적 판단이라고 생각된다.75 만약 영원 칭의론을 시간 속에서의 믿음의
행위 없이 영원 전에 하나님의 작정 속에서 칭의가 완전히 완료되는 칭의
개념이라면,76 카이퍼의 칭의론을 완전히 ‘배타적인’ 영원 칭의론으로 볼
수 없다. 이런 형태의 칭의론은 18세기 영국 하이퍼 칼뱅주의(hyper-
Calvinism) 속에서나 발견 가능한 칭의론으로 시간 속에서의 믿음의 요소
들을 완전히 거세한 후 죄인의 칭의를 하나님의 내재적 정신(immanent
mind) 속에서만 찾는 칭의론이다.77 하지만 카이퍼의 칭의론을 하이퍼 칼
Freedom: The Concept of Free Choice in the History of Early-Modern Reformed Theology
(Grand Rapids: Baker Academics, 2010).
73 작은 부분이지만 에글린턴은 17세기 작품을 몇 차례 16세기 작품이라고 잘못 표기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네 명의 레이든 대학교 교수들, 즉 요하네스 폴리안데르(Johannes
Polyander), 안드레아스 리버투스(Andreas Rivetus), 안토니우스 발뢰스(Antonius Walaeus),
안트호니우스 티시우스(Anthonius Thysius)에 의해 1625년 출간된 초기 개혁파 정통 신학
의 라틴어 요약본인
ࡔ
순수 신학 요약ࡕ
(Synopsis purioris theologiae)을 16세기 작품이라고 두 번에 걸쳐 잘못 표기했다(Eglinton, Bavinck, 114, 144).
74 Eglinton, Bavinck, 197.
75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원으로부터의 칭의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박재은, “아브
라함 카이퍼와 영원으로부터의 칭의,” 「갱신과부흥」 27 (2021): 189-218을 참고하라.
76 Cf. Jae-Eun Park, Driven By God: Active Justification and Definitive Sanctification in
the Soteriology of Bavinck, Comrie, Witsius, and Kuyper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8).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29
뱅주의의 배타적 칭의론으로 규정하긴 다소 무리가 있는데 그 이유는 카
이퍼는 시간 속에서의 믿음의 역할에 대해 분명 이야기하기 때문이다.78
3.3 총평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신학적 평가에 있어서의 모호함과 부족한 부분이
있긴 하지만 에글린턴의 Bavinck는 과보다는 공이 더 많다. 특별히 객관적
인 사료에 근거해 바빙크 생애와 신학에 대한 기존 전기들의 자의적인 해
석들에 설득력 있는 교정적 시각을 제공한 부분과 바빙크의 미출간된 원
고들과 일기들을 적극적으로 소개했다는 측면이 에글린턴의 전기가 가지
고 있는 백미이다. 전기를 분석한 후 느낀점은 에글린턴은 신학자보다는
역사학자에 훨씬 더 가깝다는 점이다. 아마도 글리슨의 전기가 신학적 색
깔이 강하다는 전제하에 최대한 신학적 색깔을 거세하려고 노력한 것 같
다. 하지만 이 노력이 양날의 검이 되어 신학적 평가에 있어서 모호함을 남
겼고 이 지점이 이 전기가 가지고 있는 다소 치명적인 단점이다.
4 바빙크 전기의 향후 방향성 및 신학적·실천적 고찰
81
혹자는 바빙크를 교육학자,79 선교학자,80 여성신학자 로 확장지어 묘
사하기도 하지만 그 누가 뭐래도 바빙크는 교의학자, 즉 신학자였다.82 그
77 박재은,
ࡔ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 하나님의 주권 대 인간의 역할, 그 사이에서 바 라본 칭의
ࡕ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6), 38-40. 78 Abraham Kuyper, Het werk van den Heiligen Geest, 3 vols. (Amsterdam: J.
A.Wormser, 1888-9), 2:233.
79 교육학에 대한 바빙크의 탁월한 작품으로는 Herman Bavinck, Paedagogische begin-
selen (Kampen: Kok, 1904)을 참고하라.
230 개혁논총
러므로 그의 생애를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전기에 바빙크의 신학적 색깔이
빠질 수 없으며 빠져서도 안 된다. (적어도 Bavinck의 논조를 통해 드러난
‘역사학자’) 에글린턴의 역사적 접근이 ‘신학적인 측면’에서 다소 아쉬운
점도 바로 이런 맥락이다.
만약 앞으로 바빙크의 전기가 또 나온다면 그 전기는 바빙크의 신학적
발자취, 신학적 발전상, 신학적 교육 여정, 신학적 흐름들에 보다 더 기민
한 전기가 되길 진심으로 기대한다.83 물론 전기 특성상 역사적 관점에 천
착해야만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소위 신학적 전기(theological biography)
라는 형식의 전기가 출간된다면 바빙크의 생애와 사상을 신학적인 조망하
에 훨씬 더 폭넓고 다층국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84
그렇다면 바빙크 전기가 지니고 있는 실천적 유익은 무엇일까? 역사는
마치 ‘거울’과도 같다. 거울을 바라보는 이유는 얼굴에 잘못된 것이 묻어
있지는 않은가 확인하고 반성하기 위함이다. 바빙크 전기가 여전히 우리
에게 필요한 이유는 19-20세기를 살았던 바빙크의 생애와 삶을 통해 21세
80 바빙크가 남아프리카 신학 저널에 투고한 해외 선교에 대한 글은 Herman Bavinck,
“Dr. Bavinck over de zending,” Het Kerkblad der Gereformeerde Kerk in Zuid-Afrika 12,
no. 237 (October 1, 1910): 5-6을 참고하라. 또한 제1차 세계대전을 ‘창조계로의 참여’ 모티
브로 선교적인 앵글 가운데 이해했던 바빙크의 관점도 살펴보라. 박재은, “‘창조계로의 참
여’ 모티브에 근거한 헤르만 바빙크의 전쟁관,” 「개혁논총」 29 (2014): 93-125.
81 현대 사회 속 여성에 대한 바빙크의 글로는 Herman Bavinck, De vrouw in de heden-
daagsche maatschappij (Kampen: Kok, 1918)을 참고하라.
82 신학의 원리를 특별 계시 위에 정초한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 방식에 대해 살피려면
문병호, “신학의 원리(principia theologiae): 헤르만 바빙크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계시 이
해,” 「개혁논총」 54 (2020): 9-46을 참고하라.
83 헤르만 바빙크가 받은 교육과정과 그의 신학적 작품 사이의 연관성에 관해서라면 이
상웅, “헤르만 바빙크가 받은 교육과정과
ࡔ
개혁교의학ࡕ
의 저술 준비 과정,” 「개혁논총」 34 (2015): 113-151을 참고하라.
84 오히려 아브라함 카이퍼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와 형식으로 신학적 리뷰 및 전기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The Kuyper Center Review를 살펴보라.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31
기 현재 속에서 우리의 잘못을 확인하고 반성하는 반추의 시간을 겸비하
게 가지기 위함이다. 그 어떤 신학자도 완벽하지 않다. 완벽하지 않은 인물
의 생애를 살펴보며 자칫 잘못하면 한 인간 신학자를 영웅으로 추대해 신
처럼 숭배하는 우를 범하는 잘못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배울 점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배우는 태도와 자세를 견지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바빙크 전기는 더 많은 종류의 전기가 출간되어야 할 당
위성이 존재하며, 전기가 출간될 때마다 서로 다른 앵글과 방식으로 바빙
크의 삶을 재조명하고 재주조하는 귀한 시간이 빚어질 것을 확신한다. 이
런 일련의 집단 지성적 작업을 통해 바빙크의 생애와 사상의 ‘원본’에 가
장 가까운 ‘사본’을 창출해내는 과정이 펼쳐질 것이고 이를 통해 바빙크를
보다 더 객관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이다.
5 나가는 글
한 사람의 인생은 출생으로 시작되어 죽음으로 마침표를 찍는다. 바빙
크도 마찬가지였다. 바빙크가 태어난 후 바빙크의 부모를 통해 「더 바자
윈」에 다음과 같은 출생 광고가 실렸다.
광고:
오늘, 하나님의 선하심을 통해, 신성한 말씀의 목회자 얀 바빙크의 따뜻한
아내 헤지나 마흐달레나 홀란트가 아주 무사히 아들을 낳았다.
호허페인,
85
1854년 12월 13일
85 “Heden beviel, door Gods goedheid, zeer voorspoedig van een Zoon GEZIENA MAG-
DALENA HOLLAND, hartelijk Echtgenoot van J. BAVINCK, v.d.m., HOOGEVEEN, 13
December 1854.” “Advertentien,” De Bazuin, December 22, 1854. 줄임말 v.d.m.은 “신성한
말씀의 목회자”라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문구 verbi divini minister를 뜻한다. Eglinton,
232 개혁논총
1854년 12월 13일 호허페인에서 태어났던 바빙크는 파란만장한 인생을
마무리하며 암스테르담에 묻혔다. 그 후 바빙크의 관은 플라르딩언
(Vlaardingen)의 에마위스(Emaus) 묘지로 옮겨졌고 거기서 바빙크의 아내
요하나의 가족과 함께 묻혔다. 요하나도 1942년에 바빙크와 함께 그곳에
묻히게 되었다. 바빙크의 묘비 크기는 컸지만 묘비 글은 다음과 같이 가장
최소화된 문구를 가지고 있었다.86
헤르만 바빙크 박사, 1854. 12. 13 - 1921. 7. 29.
에글린턴이 지적한 것처럼, 바빙크의 묘비 글에는 “교의학자, 윤리학자,
교육 개혁자, 기독교 심리학의 선구자, 정치가, 전기 작가, 언론인, 성경 번
역가, 여성 교육 지지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버지, 장인, 반나치 저항 운
87
동의 영웅과 순교자의 할아버지가 묻혀 있다” 라고도 충분히 기록될 수
있었지만 유족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 바빙크의 단순한 묘비 글처럼 바
빙크의 인생도 끝까지 순전한(simple) 진리를 위해 단순히(simple) 살았다.
바빙크의 전기가 하는 역할은 바빙크라는 한 인물의 출생과 죽음 사이
에 존재하는 여정들을 재규명하고 재추적하는 역할이다. 에글린턴의 전기
도 바로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런 역할을 해야 할 미래의 전
기 작가들의 신속한 출현이 시급하며 필요하다. 그 이유는 바빙크의 출생
과 죽음 사이의 여정들에 담긴 이야기들은 아직도 풍성하며 아직도 유의
미하기 때문이다.
Bavinck, 41에서 재인용.
86 Eglinton, Bavinck, 291.
87 Eglinton, Bavinck, 291.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33
참고문헌
문병호. “신학의 원리(principia theologiae): 헤르만 바빙크와 아브라함 카이퍼의 계
시 이해.” 「개혁논총」 54 (2020): 9-46.
박재은. “아브라함 카이퍼와 영원으로부터의 칭의.” 「갱신과부흥」 27 (2021): 189-
218.
_____
_
. 『칭의, 균형 있게 이해하기: 하나님의 주권 대 인간의 역할, 그 사이에서 바
라본 칭의』.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6.
_____. “‘창조계로의 참여’ 모티브에 근거한 헤르만 바빙크의 전쟁관.” 「개혁논총」
29 (2014): 93-125.
_
이상웅. “헤르만 바빙크가 받은 교육과정과 『개혁교의학』의 저술 준비 과정.” 「개혁
논총」 34 (2015): 113-151.
Asselt, Willem J. van, et al. Reformed Thought on Freedom: The Concept of Free Choice
in the History of Early-Modern Reformed Theology. Grand Rapids: Baker Ac-
ademics, 2010.
Baggerman, Arianne. “Lost Time: Temporal Discipline and Historical Awareness in
Nineteenth-Century Dutch Egodocuments.” In Controlling Time and Shaping
the Self: Developments in Autobiographical Writing Since the Sixteenth Cen-
tury. Edited by Arianne Baggerman, Rudolf Dekker, and Michael James Mas-
cuch. Leiden: Brill, 2011.
Bavinck, Herman. Herman Bavinck on Preaching and Preachers. Edited by James Eglin-
ton. Peabody: Hendrickson, 2017. 신호섭 역. 제임스 에글린턴 편. 『헤르만
바빙크의 설교론: 설교는 어떻게 사람을 변화시키는가』. 군포: 다함, 2021.
______. Christian Worldview. Edited by James Eglinton, Nathaniel Gray Sutanto, Cory
Brock. Wheaton: Crossway, 2019.
___
_
__. Reformed Ethics: Created, Fallen, and Converted Humanity. Vol.1. Edited &
Translated by John Bolt with Jessica Joustra, Nelson D. Kloosterman, Antoine
Theron, and Dirk van Keulen.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19.
______. The Sacrifice of Praise. Edited & Translated by Cameron Clausing & Gregory
Parker. Peabody: Hendrickson, 2019.
__
____. Philosophy of Revelation: A New Annotated Edition. Edited by Cory Brock &
Nathaniel Gray Sutanto. Peabody: Hendrickson, 2018. 박재은 역‧해제. 코
리 브록‧나다니엘 수탄토 편. 『계시 철학: 개정‧확장‧해제본』. 군포: 도
234 개혁논총
서출판 다함, 2019.
______. Reformed Dogmatics. 4 Vols. Edited by John Bolt. Translated by John Vriend.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03-8. 박태현 역. 『개혁 교의학』. 총4권.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___. The Sacrifice of Praise: Meditations Before and After Receiving Access to the
Table of the Lord. Translated by John Dolfin. 2nd Edition. Grand Rapids: Louis
Kregel, 1922. 박재은 역. 『찬송의 제사: 신앙고백과 성례에 대한 묵상』. 군
포: 다함, 2020.
___
___
_
__. De vrouw in de hedendaagsche maatschappij. Kampen: Kok, 1918.
____. “Dr. Bavinck over de zending.”Het Kerkblad der Gereformeerde Kerk in Zuid-
Afrika 12, no. 237 (October 1, 1910): 5-6.
__
______. Wijsbegeerte der openbaring: Stone-lezingen voor het Jaar 1908, Gehouden te
Princeton N. J. Kampen: J. H. Kok, 1908.
______. “Autobiographische schets van Dr. H. Bavinck.” De Grondwet, no. 9. October
6, 1908.
______. Paedagogische beginselen. Kampen: Kok, 1904.
______. De offerande des lofs: Overdenkingen voor en na de toelating tot het heilige
avondmaal. ’s Gravenhage: Fred. H. Verschoor, 1901.
______. Beginselen der psychologie. Kampen: J. H. Bos, 1897.
Bolt, John. “Why a Bavinck Institute? Why at Calvin Seminary?” Calvin Theological
Journal, 52.2. (November 2017): 251-263.
______. Bavnick on the Christian Life: Following Jesus in Faithful Service. Wheaton:
Crossway, 2015.
___
___. “Getting the ‘Two Books’Straight: With a Little Help From Herman Bavinck
and John Calvin.” Calvin Theological Journal, 46.2 (November 2011): 315-
332.
__
__
__
_
___. “Bavnick’s Use ofWisdom Literature in SystematicTheology.”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9.1 (Spring 2011): 4-23.
____. “The Bavinck Recipe for Theological Cake.”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11-17.
____. “Herman Bavinck’s Contribution to Christian Social Consciousness.” Journal
of Markets & Morality, 13.2 (Fall 2010): 413-436.
______. “Herman Bavinck Speaks English:ABibliographic Essay.” Mid-America Jour-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35
nal of Theology, 19 (2008): 117-126.
___
_
__. “Grand Rapids between Kampen and Amsterdam: Herman Bavinck’s Reception
and Influence in North America.”Calvin Theological Journal, 38.2 (November
2003): 263-280.
Bremmer, R. H. Herman Bavinck en zijn tijdgenoten. Kampen: Kok, 1966.
Brock, Cory. Orthodox yet Modern: Herman Bavinck’s Use of Friedrich Schleiermacher.
Bellingham: Lexham, 2020.
Dekker, Rudolf. Egodocuments and History: Autobiographical Writingin Its Social Con-
text Since the Middle Ages. Edited by Rudolf Dekker. Hilversum: Verloren,
2002.
______. “Childhood in Dutch Autobiographies, 1600-850: Changing Memory Strate-
gies.” Paedagogica Historica 32 (1996): 65-76.
Dellen, Idzerd van. In God’s Crucible: An Autobiography. Grand Rapids: Baker, 1950.
Dennison, James T. The Letters of Geerhardus Vos. Phillipsburg, NJ: P&R, 2005.
Dosker, Henry Elias. “Herman Bavinck.”Princeton Theological Review20 (1922): 448-
464.
Eglinton, James. Bavinck: A Critical Biography. Grand Rapids: Baker Academic, 2020.
______. “Scientific Theology?: Herman Bavinck and Adolf Schlatter on the Place of
Theology in the University.”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7.1 (2013): 27-
50.
______. Trinity and Organism: Towards a New Reading of Herman Bavinck’s Organic
Motif. New York: Bloomsbury T & T Clark, 2012.
______. “Bavinck’s Organic Motif: Questions Seeking Answers.”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51-71.
Geelhoed, J. Dr. Herman Bavinck. Goes: Oosterbaan & Le Cointre, 1958.
Gleason, Ron. Herman Bavinck: Pastor, Churchman, Statesman, and Theologian.
Phillipsburg, NJ: P&R, 2010. 윤석인 역. 『헤르만 바빙크 평전: 목회자, 교회
지도자, 정치가, 신학자』.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4.
Harinck, George & Wouter Kroese. ‘Men wil toch niet gaarne een masker dragen’:
Brieven van Henry Dosker aan Herman Bavinck, 1873-1921. Amsterdam: His-
torisch Documentatiecentrum voor het Nederlands Protestantisme [1800-
heden], 2018.
______. “Universality and Dualism: Herman Bavinck and the Date on Whether to Civ-
236 개혁논총
ilize the Dutch East Indies through Missions or Education.” Calvin Theological
Journal, 48.2 (November 2013): 217-233.
___
_
__. “The Religious Character of Modernism and the Modern Character of Religion:
ACase Study of Herman Bavinck’s Engagement with Modern Culture.” Scot-
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9.1 (Spring 2011): 60-77.
___. “Herman Bavinck and Geerhardus Vos.” Calvin Theological Journal, 45.1
(April 2010): 18-31.
___
______. “‘Something that Must Remain, if the Truth is to be Sweet and Precious to Us’:
the Reformed Spirituality of Herman Bavinck.” Calvin Theological Journal,
38.2 (November 2003): 248-262.
______. & Jan de Bruijn. Een Leidse vriendschap. Baarn: Ten Have, 1999.
Hepp, Valentijn. Dr. Herman Bavinck. Amsterdam: Ten Have, 1921.
Kok,A. B. W. M. Dr Herman Bavinck.Amsterdam: S. J. P. Bakker, 1945.Kuyper,Abra-
ham. Het werk van den Heiligen Geest. 3 Vols. Amsterdam: J. A.Wormser,
1888-9.
Landwehr, J. H. In Memoriam: Prof. Dr. H. Bavinck. Kampen: Kok, 1921.
Muller, RichardA. “Calvin and the ‘Calvinists:’Assessing Continuities and Discontinu-
ities between the Reformation and Orthodoxy.” Calvin Theological Seminary,
31 (1996): 151-157.
Park, Jae-Eun. Driven By God: Active Justification and Definitive Sanctification in the
Soteriology of Bavinck, Comrie, Witsius, and Kuyper. Göttingen: Vanden-
hoeck & Ruprecht, 2018.
______. “Schleiermacher’s Perspective on Redemption:AFulfillment of the coincidentia
oppositorum between the Finite and the Infinite in Participation with Christ.”
Journal of Reformed Theology, 9.3 (2015): 270-294.
Veenhof, Jan. Revelatie en Inspiratie: De Openbarings- en Schriftbeschouwing van Her-
man Bavinck in vergelijking met die van de ethische theologie. Amsterdam:
Buijten & Schipperheijn, 1968.
박재은 | 제임스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에 대한 비평적 고찰 237
국문초록
박재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강사, 조직신학
최근 제임스 에글린턴(James Eglinton)에 의해 헤르만 바빙크 전기(biography)가
새롭게 출간되었다. 이 전기의 부제는 다소 도발적인데 그 이유는 전기 작품의 제
목으로는 흔하게 쓰이지 않는 표현인 ‘비평적’(critical)이란 표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혹자는 이 전기 제목을 오해해서 에글린턴이 바빙크의 생애와 신학을
‘비평적으로’ 고찰했다고 단순히 부정적으로 인상 비평할 수 있겠다. 하지만 실상
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에글린턴 전기의 부제인 비평적 고찰의 대상은 헤
르만 바빙크 본인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의 바빙크 전기 작가들과 그들의 작품에
대한비평이기때문이다. 결국에글린턴의전기는그가박사논문을쓸때부터천착
했던 해석 원리인 바빙크를 ‘새롭게 읽는’ 작업의 또 다른 일환으로 볼 수 있다. 기
존의 바빙크 전기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본 후 그런 작업의 장단점의 토대 위에서 바
빙크의 생애와 신학을 새롭게 재조망하려는 시도가 바로 최근에 출간된 에글린턴
의 전기가 지향하는 집필 방향성이다.
본고의 목표는 이런 에글린턴의 Bavinck: A Critical Biography를 또다시 비평적
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평적으로 고찰’한다는 의미는 에글린
턴의 전기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장단점을 도출해내어 과연 어떤 시각이 바빙크의
생애와 신학을 평가함에 있어 보다 더 옳은 시각인가를 고민하는 작업이 포함된 의
미이다. 무조건 새롭게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옳은 시각’ 하에 새롭게 읽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고의 논지 전개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에글린턴이 비평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기존의 바빙크 전기를 역사적으로 분석해본 후, 에글린턴의
A
Critical Biography의 핵심 내용들을 분석할 것이다. 특히 에글린턴 전기의 장점
과 기여, 단점과 아쉬운 점, 그리고 총평을 내려 볼 것이다. 그 후 바빙크 전기의 향
후 방향성 및 신학적‧실천적 고찰을 살핀 다음 총 결론을 내리도록 하겠다.
이런 일련의 작업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전기’라는 옷을 입은 채 바빙크의 생애
와 신학을 보다 더 올바르게 고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진지하고도 의미 있는 논의
가 이루어지게 될 것을 확신한다.
주제어: 헤르만 바빙크, 전기, 제임스 에글린턴,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네덜란드 개혁
신학
238 개혁논총
Abstract
ACritical Consideration of James Eglinton’sBavinck:
ACritical Biography
Jae-Eun Park
Lecturer of Systematic Theology, Chongshin Theological Seminary
The new biography on Herman Bavinck has recently published by James
Eglinton. The subtitle of this biography is somewhat provocative, inasmuch
as it includes the expression ‘critical’ which is not usually used as the title of
biography. As a result of misunderstanding on the subtitle, one would impres-
sionistically criticize that Eglinton views Bavinck’s life and theology in a crit-
ical sense. The fact, however, is not. For the object of Eglinton’s criticism is
not toward Bavinck himself, but toward the precedent biographers and their
works on Bavinck’s life and theology. Eglinton’s biograpy, therefore, is a kind
of biographical work, which tries to comprehend Bavinck in a new reading
through analyzing the preceding biographies in an objective ang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Eglinton’s Bavinck: A Critical Biogra-
phy critically once again. Here, the expression ‘to view critically’means that,
after analyzing Eglinton’s biography and drawing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on objective outlook, one tries to find which viewpoint is more proper view-
point to evaluate Bavinck’s life and theology.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not unconditionally leaning toward a new reading, but toward a new reading
in a proper perspective.
The study follows this order: First, after analyzing the earlier biographies
historically, the core idea of Eglinton’s biography will be examined. Seco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 Critical Biography will be viewed.
Lastly, the biography’s future direction, its theological and practical implica-
tion will be dealt with.
Key Words: Herman Bavinck, Biography, James Eglinton, Friedrich Schleierma-
cher, Dutch Reformed theology
'신학 자료 > 추천 신학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vagrius, Kephalaia Gnostika - 분석 논문 첨부 (0) | 2023.02.27 |
---|---|
Introduzione_all Antirrhetikos - IZSÁK BAÁN(Sapientia College of Theology, Dogmatics, Faculty Member) (0) | 2023.01.30 |
해석학적 견해와 기독교 분파의 관계 분석 - 교부 문헌을 중심으로 (1)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