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라(Selah)? 셀라는 시편 3:2, 4, 8에서 총 3번 사용된다. 이는 여러 가지로 추측된다. 학자간의 이견이 많다. 단, 공통적으로 이는 ‘쉼’, 현대음악용어인 ‘크레센도’로 이해된다. 독자는 시편을 읽다가, ‘셀라’를 보며, 잠시 쉬어가며, 셀라가 포함된 ‘앞뒤 구절’의 의미를 묵상해야 한다. 또한, 시편을 노래하는 합창단에게 셀라는 그것이 사용된 ‘앞뒤 구절’을 합창하라는 표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소/오픈 자료실 2022.12.09
뭇랍벤(Muthlabben)이란? 시편 9편(=9~10편)의 제목에 나오는 단어 중 하나로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 다만, 히브리어 ‘모트’는 죽음을 의미하기에, 이와 발음이 연관되어 ‘죽음’에 관한 시 또는 노래에 사용된 곡조나 리듬을 의도한 것 같다. 한편으로, 시편 9편(=9~10편)은 원수들로부터 거의 죽음에 이르게 된 시인(=다윗)을 소재로 한다. 아마, 악인들로 말미암는 고통 속에서도 기적적인 역전과 구원을 기대하는 ‘곡조나 리듬’을 의도했을 것이다. * ‘뭇랍벤’은 시편의 다른 어느 곳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그 의미가 명백하지 않다. 심지어, 고대의 다양한 역본들에서도 ‘뭇랍벤’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뭇랍벤’은 ‘심판관인 하나님’을 찬양하는 ‘표기’로 추측된다. 사실, ‘뭇랍벤’ 이외에도 성경에서 사용되.. 연구소/오픈 자료실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