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0과(1/4)] 유음동사의 정의와 특징
https://www.youtube.com/watch?v=GywucfvM-sQ&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0
주요 주제
- 유음 동사의 어형 변형 특징과 시그마 탈락 현상
- 유음 동사의 현재 형태와 부정 과거, 미래 형태의 차이
- 유음 동사와 관련된 어미의 모음과 접사 탈락 현상
다음 할 일
- 시그마 탈락 현상에 대한 추가 연구
- 유음 동사의 현재 형태가 부정 과거와 미래에서도 적용되는지 확인
- 유음 동사의 어간에 접근할 때 특징 고려
- 유음 동사 그룹 분류 작업 진행
요약
00:01 ~ 01:54
유음 동사의 특징
- 유음 동사는 동사의 어형에 특정한 특징이 있는 동사들을 가리킴
- 단축 동사는 어간이 끝날 때 모음과 모음이 만나서 모음이 변형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 모음을 열림 모음 개모음이라고 함
- 단축 동사는 외형적으로 불규칙 형태처럼 변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원래는 규칙임
- 유음 동사는 유음이라는 것이 등장해서 철자법의 변형이 오기 때문에 따로 그룹을 지어서 공부해야 하는 단어임
03:04 ~ 08:15
유음 동사의 특징
- 유음 동사는 어간의 마지막 자가 람다나 n나 r로 끝났을 경우에 어떤 특정한 상황 가운데서 어형이 약간 변형되는 특징을 가진 동사를 말함
- 유음 동사는 그 자체로는 유음으로 끝난다는 것 외에는 다른 특징이 없음
- 유음 동사의 가장 큰 특징은 시그마가 탈락하는 현상을 다루는 것임
09:31 ~ 10:42
시그마의 탈락
- 시그마가 새 나가는 소리이기 때문에 유음이 와도 별 영향을 받지 않음
- 시그마가 탈락하는 경우는 부정 과거와 미래임
- 부정 과거에서는 미완료 어미를 재활용하면 형태에 문제가 생기니까 시그마 알파를 집어넣어줌
12:01 ~ 13:19
유음 동사의 특징
- 6억 안에서 어미는 단지 모음으로 이루어진 경우와 시상 접사 시그마나 테타를 취하는 경우로 구분이 됨
- 유음 동사는 유 동사가 적용되는 것에는 두 가지만 해당함
- 유음 동사와 관련해서 한 가지 체크를 해놔야 될 사안이 있음
14:38 ~ 18:23
유음 동사의 현재 형태
- 유음 동사의 현재 형태가 유음 동사라고 해서 부정 과거나 미래에서도 유음 동사가 된다는 보장이 없음
- 유음 동사의 어간에 접근할 때는 이런 특징을 염두에 두고 접근해야 함
- 유음 동사에 속하는 동사들은 이런 것들을 염두에 두고 어간에 접근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음
19:30 ~ 20:46
능동태 중간태의 형태
- 현재가 짧든 길든 미래 형태에서는 억압 모험이 짧아지고 부정 과거에서는 길어짐
- 2시제니까 미래형 능동태 중간태의 이 형태 그리고 1 부정 과거는 해당 안 됨
- 능동대 중간대 형태에서 시그마가 탈락을 함
- 미래에서는 보상 모험을 집어넣어주는데 엡실론임
21:58 ~ 25:31
부정 과거의 철자법
- 부정 과거는 시그마가 탈락되고 어미의 모음만이 1부 전 과거 유음동사 안에 남게 됨
- 접사가 탈락한 것을 부정 과거로 해야 할지 2부정 과거로 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음
- 접사가 탈락한 것을 부정 과거로 하지 않는 이유는 디포넌트 동사나 단축 동사, 유음 동사는 규칙이 적용돼서 철자법이 약간 변형된 것이기 때문에 1 2로 나누지 않고 그냥 1이면 1, 2면 2로 구분함
26:39 ~ 27:21
음절 손실 보상
- 부정 과거에서는 시그마가 탈락하는 상황 가운데서 어안이 길어지는 것으로 보상했다고 말할 수가 있음
- 미래형 같은 경우에는 짧은 것은 짧은 것으로 유지되지만 어쨌든 시그마가 탈락되고 억압 모험이 긴 경우에는 또 짧아지게 되니까 문제가 있을 때 시그마가 탈락하면서 보상 모험 ESL을 집어넣어주면 쉽게 말하면 음절 손실에 대한 보상이 될 수 있음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0과(2/4)] 유음동사의 활용(1/2)
https://www.youtube.com/watch?v=Blfsiden5RE&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1
주요 주제
- 유음 동사의 활용 형태와 그 형태 변화에 대한 이해
- 아포스텔로 동사의 형태와 그 익숙해지는 방법에 대한 이해
- 부정 과거 형태와 그 시그마 탈락 현상에 대한 이해
다음 할 일
- 제1 부정 과거 명령법, 가정법, 희고법에서 시그마 탈락 현상 원인 분석
- 부정 과거 어감 플러스 1, 4에 대한 이해 증진
- 유음 동사의 세 가지 활용 형태 도표화
- 부정 과거 형태에 대한 학습 계획 수립
요약
00:01 ~ 01:19
유음 동사의 활용 형태
- 유음 동사의 활용 형태는 람다형 n형 로형 이렇게 세 가지가 있음
- 유음 동사의 활용 형태를 공부하지 않고 시그마 형태가 나와서 유음과 만나서 발생하는 문제를 다루는 거기 때문에 미래 형태와 제1 부정 과거 형태만 도표로 형태를 살펴보려고 함
02:26 ~ 04:01
유음동사의 어관
- 미래에서는 유음동사의 어관이 짧아지고 부정 과거에서는 유음동서의 어원이 길어짐
- 미래에서는 짧고 밑짤 그리고 부정과에서는 길어짐
10:12 ~ 13:01
미래 수동태의 형태
- 아포스텔로 동사는 익숙해지는 것임
- 아포스텔로 시그마가 없지만 미래가 되니까 나는 보낼 것이다임
- 중간태 형태도 있는데 보상 보험 ESL이 들어가 있으니까 그 부분 단축이 되는 부분을 염두에 두고 형태를 익숙하게 하면 됨
- 미래 수동태의 경우 어안이 유음으로 끝나게 되는 한이 있더라도 미래 수동태접사 테타는 UHD에서 탈락하지 않음
14:08 ~ 16:26
테타의 유음대 탈락
- 테타가 유음대에서 탈락이 안 된다는 것은 적어도 철자화가 돼서 어형을 만들 시점에는 스바람으로 나지는 않았기 때문에 유대에서 탈락을 하지 않았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는 것 같음
- 재구성된 발음을 근거해야 되기 때문에 성경적 발음이냐 뭐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핼러를 있는 그대로 발음하는 것이냐 이런 어떤 논쟁을 따질 때에는 입장을 선회해야 될 수도 있음
18:05 ~ 20:53
부정각어 형태
- 부정각어 형태를 배울 때 접두 모험을 붙일 경우 합성 동사 합성 동사에서는 합성된 전치사에는 거의 모든 경우에 l을 못 붙이고 합성된 전치사를 제외한 어안에다가 FL을 붙인다고 했음
- 앞에 l을 붙이고 앞보를 붙여야 되는데 앞보의 5 전지사의 오랑 이 때의 부정하고 어간에 애가 만나니까 이 경우에는 전치사의 모험 생략 규칙이 적용이 돼서 앞배가 된 거임
- 억압 모험이 a로 길어지고 RDD에서 뭐가 탈락했느냐 부정 과거 특별히 제1 부정 과거에 시상 접서라고 할 수 있는 시그마 그리고 알바가 있는데 시그마가 탈락함
- 부정 과거는 이미 어안 모음이 a로 길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부길임
- 미완료 과거 중간 터미가 어떻게 되는지 해보겠음
22:34 ~ 28:34
부정 과거의 시그마 탈락
- 부정 과거에서는 시그마가 나오지 않은 형태가 나오고 r로 시작하는 형태가 나와버리니까 당황할 수 있음
- 시그마 알파가 나오는 것이 우리에게 참 위로가 됐는데 부정 과거에서는 시그마가 나오지 않은 형태가 나오고 r로 시작하는 형태가 나와버리니까 더 당황할 수 있음
- 시그마 알파가 탈락한 현상 때문에 발생한 거구나라고 마음에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하면 됨
- 유음 동사의 제1 부정과거 명령법 가정법 희고법은 부정 과거 어감 플러스 1 부정 과거 접사 4인데 시그마가 탈락됨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0과(3/4)] 유음동사의 활용(2/2) 및 상호 대명사와 어휘
https://www.youtube.com/watch?v=7cB4dvuuHDo&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2
주요 주제
- 유음 동사의 형태론적 특징과 그 구분 방법
- 부정 과거 형태와 그 적용 방법
- 상호 대명사의 용법과 그 특징
다음 할 일
- 상호 대명사의 용법 이해
- 유음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 이해
- 레고 동사의 미래 형태 파악
요약
00:01 ~ 03:08
유음 동사의 특징
- 우리 뉴 동사는 유음 동사이기 때문에 미래 형태와 부정 과거 형태만 살펴보면 될 것 같음
- 유음 동사의 특징에 대해서 이미 자세히 설명했기 때문에 r 동사부터는 형태론적인 부분이랑 이런 부분들만 살펴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음
- 유음 동사는 유음 농사라는 걸 꼭 기억해야만 그것과 구분을 할 수 있다는 점은 주의를 하면 좋을 것 같음
04:34 ~ 06:00
유음 동사의 억압 모험
- 유음 동사 같은 경우에는 미래와 부정과오가 될 때 억압 모험이 짧아지고 길어지는 현상이 있음
- 부정 과거가 되니까 메인이 된 것임
- 시그마가 탈락하고 알파만 남은 상태에서 미열 여어 거미를 재활용해서 원래는 사스 세 싸맨 사떼 싼이 돼야 되는데 시그마가 탈락해서 아 이 형태가 됨
07:22 ~ 08:18
맨 사 부정사
- 맨 사라는 동사의 1 부정 과거 부정사 형태는 맨 사인데 n가 탈락돼서 NI가 되었다라고 보시면 됨
- 중간세 부동산은 사스 사스 타이임
- 부정사 형태는 시그마가 탈락된 형태를 만들면 됨
09:40 ~ 10:56
유음 동사의 부정 과거 명령법 가정법 희고법
- 유음 동사의 1 부정 과거 명령법 가정법 희고법은 부정 과거 어안에다가 일부정 과거 접사 시그마 알파를 붙여서 만듦
- 유음 동사의 마지막 예를 보면 미래로 가면 어간이 짧아지는 유음 동사의 특징으로 봐야 할지 기본형과 다른 형태로 봐야 할지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음
12:22 ~ 16:27
유음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
- 유음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는 미래에서는 짧아지고 부정과에서는 길어짐
- 미래 수동태 접산은 테타여서 유음도에서 탈락되지 않음
- 부정 과거 능동태와 중간태 형태를 보고 있음
17:44 ~ 19:55
유음 동사의 철자법
- 유음 동사의 철자법과 관련돼 있는 시그마와 관련돼 있는 규칙이기 때문에 원리를 이해해서 사용하면 실제로 사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음
- 유음 동사는 철자법과 관련돼 있는 특별히 시그마와 관련돼 있는 규칙이기 때문에 그 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만 잘 원리를 이해해서 사용하면 실제로 사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음
21:06 ~ 25:29
미래 부정 과거 형태
- 동사들 중에서는 부정 과거에서 부정 과거 형태가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음
- 모든 형태에서 그것이 다 적용되는 건 아님
- 미래 부정 과거 형태를 따라 읽어보고 뜻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음
26:42 ~ 31:19
상호 대명사의 용법
- 상호 대명사는 단수 형태도 없고 주교 형태도 없는 복수 속격 여격 대결 형태만 존재함
- 상호 대명사는 주어로는 사용될 수 없는 형태이기 때문에 문맥상 얘는 주교 형태도 존재하지 않음
- 상호 대명사의 용법을 기억하면 좋을 것 같음
32:42 ~ 34:02
레고 동사의 미래 형태
- 레고 동사의 미래 형태는 유음동사고 끄리노 심판하다 판단하다 메노 머물다 크세 라이노 마르게 하다임
- 상호 대명사 알렐론 알로이스 알레루스는 남성형을 기본으로 하지만 주격 형태나 단수 형태가 없기 때문에 알레론이 맨 앞에 나옴
- 형용사 edos o는 누구누구 자신의 뜻이고 호소스는 관계 형용사로 가능한 한 많이 뭐뭐 한 자는 모두 뭐뭐 한 정도로 표현을 나타냄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0과(4/4)] 기초문장연습 풀이(1-9번)
https://www.youtube.com/watch?v=MdYqR4QWjJE&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3
주요 주제
- 유음 동사와 그 해석 방법
- 교회와 관련된 표현과 의미
-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문맥의 허용성
다음 할 일
- 유음 동사 뒤의 현상 분별
- 관계 대명사 해석 방법 학습
- 주님이 보내실 그 사람에 대한 해석 준비
- 사도 아포스톨로스에 대한 이해 증진
요약
00:01 ~ 04:23
관계 대명사의 해석
- 유음동사와 관련된 부분에 초점을 두면서 보면 됨
- 관계 대명사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05:31 ~ 09:19
유음 동사의 해석
- 주님이 보내실 그 사람이 죄도 죽음도 심판할 것이다라고 해석하면 됨
- 유음 동사 뒤에서 나타나는 현상들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니까 잘 분별해서 해석을 하면 됨
10:48 ~ 15:53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 끌이 나라는 단어는 부정 과거 능동태 부정사 형태임
-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대격 형태가 됨
- 일반적으로 의미상의 주어가 되는 대격은 부정사 앞에 그리고 그 외에 부석적인 것들은 부정사 뒤에 놓이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임
24:42 ~ 26:01
아우토스의 용법
- w 아웃도 메노 엔떼 에클레시아 메타투 큐류 까토스 케이노스는 유음 동사에 초점을 두면 됨
- 아우토스가 나오면 인증 대명사일 수도 있지만 특별 용법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
- 아우토스가 나오면 강의적 요법이나 동일한 대상을 지시하는 용법으로 해석해야 함
27:09 ~ 30:58
미래 능동태 직설법 단수 1인칭
- 미래 능동태 직설법 단수 1인칭이라고 보는 게 적절함
- 인칭 대명사로 해석할 수가 없음
- 특별 용법으로밖에 해석할 수가 없음
31:27 ~ 32:26
에메의 부정 과거 능동대 직설법 단수 3인칭
- 에메라고 해놨는데 오타가 나서 에메로 수정을 해달라고 함
- 앞에 나오는 매노 동사는 우리가 알고 있는 매너 동사의 부정 과거 능동대 직설법 단수 3인칭이 돼야 함
- 매트가 나오면 메따와 동일한 것임
33:13 ~ 37:12
헬라어의 구문상 차이
- 헬라어는 우리 말과 구문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고 생각하고 이 부분을 이해하시면 될 것 같음
38:22 ~ 39:49
예수의 부활
- 액센트를 보고 특이한 점이 있다고 느껴질 경우에는 변화가 있었다라고 보면 됨
- 예수께서 죽은 자들을 일으키실 것이다라는 뜻이 되는 것임
41:19 ~ 42:51
헤메라의 한정적 용법
- 헤메라가 여성 단수 역격이면서 명사 앞에 관사가 있고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으니까 한정적 용법이 됨
- 어떻게 해석이 되냐면 마지막 나래 이렇게 해석을 할 수가 있음
- 뒤에 따이라는 접속사가 나오고 이 단어는 여러 번 나왔기 때문에 한번 써보겠음
- 끌이 노에서 온 단어인데 억양부 액센트가 어디 붙었느냐를 보고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음
- 호띠라는 단어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첫 번째는 이유를 나타내서 왜냐하면이라는 뜻도 되고 다른 한 가지 뜻은 말하다 생각하다 등의 어떤 동사와 함께 쓰여서 영어의 대조를 이끄는 그런 표현으로 사용이 됨
43:56 ~ 48:16
호 큐리오스의 뜻
- 아웃 도스는 특별 용법일 가능성이 큼
- 호 큐리오스는 남성 단수 주격임
- 호 큐리오스는 주님이라고 붙이지 말고 그냥 그 주님 혹은 주인 정도로 번역하면 됨
- 뒤에 2가 나왔으니까 남성 나도 성격 뒤에 꼬스 무가 나왔죠. 이 단어는 꼬스 모스라는 명사에 남성 단수 성격이고 뜻이 세상이니까 그 세상의 주인 혹은 그 세상의 주님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됨
56:06 ~ 58:07
교회가 파송할 것
- 헤 에클레시아 아포스텔레이 뚜스 이디오스 아버스 둘루스 에이스 헤테로스 오글로스 뚜 마르듀레인 또 유앙겔리온은 교회가 파송할 것이다라고 해석하면 됨
59:25 ~ 1:00:39
아포스톨로스
- 아포스톨로스라는 단어는 사도라는 뜻임
- 뒤에 나온 에이스라는 단어는 대기업과 함께 사용돼서 어디 어디 안으로라는 전치사고 LS라는 단어는 형용사인데 로스라는 형용사에서 왔고 남성 복수 대격임
- 오글루스라는 단어는 오클로스라는 명사에서 왔고 남성 복수 대격이고 물임
1:01:57 ~ 1:07:51
중성 단수 소격의 기능
- 중성 단수 소격은 목적을 나타내는 부정사의 기능임
-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라고 해석하면 됨
- 관계대명사가 나오면 선행사와 수가 일치하는 명사를 찾으면 됨
1:09:17 ~ 1:11:38
호띠의 기능
- 호띠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지만 흉표가 나오면 왜냐하면이라고 해석하라 그랬음
- 텔레산은 형태적으로는 a가 나오고 산이 나왔으니까 얘는 제1 부정하고 형태가 맞음
- 텔로 동사는 부정 거거 형태를 보고 이렇게 생각을 했지만 현재적으로 나오는 어떤 형태는 이 형태들이 등장하지 않음
- 좋은 사전 대사사전 같은 데 보면은 이렇게 표시를 해놓은 경우가 종종 있음
1:13:00 ~ 1:17:14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될 수 있는 경우는 문맥이 허용하지 않음
- 관계 대명사 절은 하나님께서 세상 안으로 보내신 원래는 그 보내신 자가 누구예요? 아들이잖아요. 아들 앞에다가 넣어줘야 됨
1:18:32 ~ 1:20:05
우라노스의 뜻
- 우라노라는 표현은 우라노스라는 명사에서 봤음
- 우라노라는 표현은 남성 반수 역격이고 뜻은 하늘임
- 메다가 나오면 일반적으로 속격 대촉이 오는데 뒤에 뚜가 왔으니까 속격과 쓰여서 누구누구와 함께임
- 누구와 함께냐 하면 남성 난소 성격이니까 주님과 함께임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1과(1/5)] 제3곡용 명사/형용사 정의
https://www.youtube.com/watch?v=qlUP47yMCyQ&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4
주요 주제
- 제3고용 명사와 형용사의 특징과 이해 방법
- 분사의 용법과 불규칙 명사에 대한 이해와 공부 방법
- 명사의 패턴과 유형에 대한 이해와 공부 방법
다음 할 일
- 제3고용 명사와 형용사에 대한 형태적 이해 완료
- 분사의 용법에 대한 학습 계획 수립
- 제3고용 명사와 형용사의 유형 및 패턴 파악
요약
00:01 ~ 02:04
제3고용 명사와 형용사
- 제3고의 명사와 형용사가 개수도 많고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다루기가 어려워서 두 개의 파트로 나눠서 다루기 때문임
- 제3고의 명사와 형용사를 전체를 다 완성하려면 26과 뒷부분에 가서 마저 공부하면 제3 고객 명사와 형용사에 대해서 형태적인 공부는 다 끝난 것이라고 얘기할 수 있음
- 제3고용 명사와 형용사를 공부할 때는 제1고용 제2고경 형용사가 있고 제3고용 형용사도 존재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하면 제3고용 명사나 형용사가 어휘를 새로 외워야 되고 어휘를 다시 외워야 된다라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구조는 쉽게 말하면 제1고용 제2 고용과 구분되는 제3의 어떤 명사 패턴을 혹은 형용사 패턴을 나타난다는 것만 이해를 하면 됨
03:20 ~ 04:33
분사의 용법
- 분사의 용법이 굉장히 복잡하고 고민할 부분이 많음
- 분사의 용법이 복잡해서 따로 떼놓은 것임
- 불규칙되거나 불구용하는 명사나 형용사에 대해서는 27과에서 따로 배움
05:44 ~ 07:08
제3 고용의 명사 유형
- 제3 고용은 제12 고용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제3 고용에 속한 명사들은 고격형에 따른 단일형이 아니라 대략 5가지의 유형들로 세분화될 수 있음
07:59 ~ 10:25
명사의 패턴
- 명사의 패턴이 하나로만 결정되어 있지 않고 고용에 따라서 재산 고용이면 어미는 하나지만 패턴이 하나는 아님
- 우리가 적어도 5가지 정도의 어떤 유형 혹은 패턴들을 염두에 둬야 됨
-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각각의 유형 안에도 변형이 있음
- 크게는 5가지 유형들로 존재한다라고 이해하시면 됨
11:38 ~ 15:09
자음 철자법 현상
- 어간자음이 축약되는 형태가 있고 어간자음이 탈락하는 형태도 있고 어간자음이 유지되는 형태가 있음
- 자음 철자법 현상 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 1유형 2유형 3유형은 주교에서는 시그마가 붙고 3류형은 과로임
16:15 ~ 21:20
자음 철자법에 따른 불규칙 명사
- 자음 철자법에 따른 것이지 결단코 불규칙 명사가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두었으면 좋겠음
- 4유형 같은 경우에는 형태를 외우는 게 아니라 소리로 익숙하게 해서 사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임
- 5유형은 어간 시그마 종결형으로 이름을 붙여봤음
- 이 책자 형태로는 세 가지 형태가 있음
22:32 ~ 24:58
불규칙 명사의 기준
- 성은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 남성, 중성으로 구분됨
- 제3구경 명사가 불규칙 명사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은 어미의 어떤 패턴과 어간의 특징이 잘 맞물려 있다는 의미에서 불규칙이 아니라고 하는 것임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1과(2/5)] 제3곡용 명사의 어미와 어간자음 축약형 곡용형
https://www.youtube.com/watch?v=GEyOgq_hTW8&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5
주요 주제
- 명사의 유형과 그에 따른 암기 방법
- 명사의 유형에 따른 발음과 철자법의 중요성
- 구개음과 자음 축약형 명사에 대한 이해와 암기 방법
다음 할 일
- 명사의 유형 5가지 숙지
- 명사의 시그마와 시그마 eo다 주의
- 구개음과 자음 축약형 명사에 대한 학습
- 패턴 유형에 따른 단어 암기
요약
00:00 ~ 02:58
명사의 유형
- 명사의 재산 고용 명사의 유형을 크게 5가지 정도로 나눔
- 명사의 유형을 나눌 때 주의해야 될 점은 앞에 있는 형태가 기본적인 패턴임
- 명사의 유형이 다양할 수 있으니까 주의하라고 말씀드리는 것임
04:12 ~ 05:36
복수 역격형의 변형
- 엘피스 엘피도스 바실리스 바실 레오스 에트노스를 외워서 익숙하게 하면 됨
- 복수 역격형에서 심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둬야 함
- 단수 주격형 어미의 시그마와 복수 역격형 어미의 시그마 eo다를 주의해서 외우고 그 부분에 초점을 둬야 함
06:37 ~ 10:57
명사의 유형
- 명사의 가장 주의점은 여성 단수 추격형 그리고 남 중 복수 역격 형태에서의 우리 시그마가 굉장히 우리로 하여금 당혹하게 만들 수 있는 요소가 있다는 것임
- 철자법이 그냥 적용됐다고 이해하시면 되는 것임
- 가장 쉬운 방법은 단어를 우선 외워놓으면 나머지는 이것만 주의해서 적용하면 제3 고객 명사에 어떤 유형에 따른 고용 형태를 우리가 다 마스터할 수 있을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음
12:04 ~ 13:12
구개음의 특징
- 구개음은 혀뿌리가 딱딱 치면서 나는 소리임
- 구개음은 잘 쓰지 않는 근육인데 계속 하고 이렇게 하니까 당기는 거임
- 그래서 아프게 되는 것을 구개음이라고 함
14:03 ~ 16:23
자음 축약형 어간
- 구개음이나 양순음으로 끝나는 자음 축약형 어간 자음 축약형 명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음
- 이론을 안다고 해서 공부하는 거는 효과가 별로 없음
17:43 ~ 19:26
패턴 유형별 단어
- 패턴 유형 안에 속해 있는 단어를 기본적인 걸 외우시면 좋음
- 기본적인 거를 여러 번 반복적으로 읽어보는 게 가장 좋음
- 복수 형태도 사실은 차이가 없음
20:42 ~ 24:13
규칙 동사의 특징
- 규칙 동사는 어간에 어미만 붙인 것임
- 패턴이 있다는 걸 알고 잘 외워서 나머지 단어에 적용하면 됨
- 철자가 누락된 것은 양해를 구하고 따라 읽어보고 설명으로 넘어가겠음
[성경헬라어교본-21(3/5)] 제3곡용 명사의 어간자음 탈락형 곡용
https://www.youtube.com/watch?v=vd-ZSWpnjgw&list=PLANVvIsFCBBynpwHV8Bj3x4-WQlgXvvIS&index=96
주요 주제
- 어간 자음 탈락형의 정의와 관련된 명사
- 시그마가 주격에서 탈락한 형태인 파생형의 종류와 특징
- 치조음이 시그마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과 관련된 단수 주역과 단수 주격과 복수 역교형의 시그마 출현
- 시그마가 주격에서 탈락한 형태인 파생형의 호격형과 음가 처리를 위한 따우의 존재
다음 할 일
- 닉스 단어의 CC 결합 이유 분석
- 시그마 탈락 형태 파생형으로 설명
- LPs와 LPC 두 패턴 주의 깊게 분석
- 호격형과 시그마 탈락 형태와의 관계 파악
요약
00:01 ~ 02:59
어간 자음 탈락형
- 어간 자음 탈락형은 치조음으로 끝나는 명사를 얘기하는 것임
- 치조음이라는 단어는 e의 뿌리 쪽에서 나는 소리임
- 치조음으로 끝나는 어간이 치조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 시그마가 등장을 할 경우에 어간에 있는 자음이 탈락하는 현상과 관련되어 있는 패턴과 관련되어 있는 명사가 있음
03:44 ~ 08:46
닉스의 의미
- 철자형으로 철자상으로 LBS 이렇게 된 거임
- LBS lb dos LBD lb 다 lb 데스 lb 돈 LBC LP DS 그러면 여기서 LPs 되는 이거랑 여기 LPC 되는 혹은 LPC 되는 이거 두 개를 주의하시면 됨
- 닉스라는 단어가 나왔는데 얘는 CC가 나왔으니까 뭔가 합쳐진 건데 얘를 왜 어감 자음 탈락형에 넣느냐 그 이유가 있음
09:19 ~ 10:45
파생형의 두 번째 형태
- 파생형 두 번째는 시그마가 주격에서 탈락한 형태임
- 파생형으로 한 번 다루는 것임
- 따우가 시그마에서 탈락한 현상이 그대로 반영된 것임
11:57 ~ 15:42
시그마의 특징
- 치조음이 시그마 앞에서 탈락되는 현상이 있다는 걸 이미 설명을 드렸고 단수 주역과 단수 주격과 복수 역교형의 시그마가 나온다는 점이 우리가 주의해야 될 현상을 야기했다고 말할 수 있음
- 카리스와 같이 대교에서 카리다가 아니라 카린이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걸 염두에 두면 좋겠음
- 호격형은 어떻게 되느냐 LPs의 호격형은 lb 카리스의 호격은 카리 이렇게 된다는 것까지 체크하면 됨
- 아르콘이라는 단어를 따라 읽어보고 생각해 보겠음
16:57 ~ 18:05
철자 탈락 보상
- 철자가 탈락됐으니까 보상을 해줘야 함
- 따우가 맨 뒤에 오는 경우는 고유명사임
- 따우가 맨 뒤에 오는 경우는 음가 처리를 하기 위해서 남겨놓은 것임
[성경헬라어교본-21(4/5)] 제3곡용 명사의 어간자음 탈락형 곡용(계속) 및 제3곡용 형용사와 어휘
https://youtu.be/9AV1nR3ef3s?si=PEXm0vPi8km8hfPC
주요 주제
- 오노마의 속격 형태와 그 규칙
- 형용사의 형태와 특징
- 관사와 명사의 사용과 특징
다음 할 일
- 메가스, 메갈로, 메갈로이스, 메갈라가 중성 복수 역의 형태로 분해되는 과정 이해
- 메갈레스, 메갈론, 메갈, 라이스 메갈라스의 고용 형태와 어안 형태 학습
- 주께 형태와 단소 소격 형태를 함께 외워서 단어를 사용하는 방법 학습
요약
00:00 ~ 01:10
오노마의 속격 형태
- 오노마의 속격 형태는 단어의 기본 어안을 잘 보여줌
- 오노마의 뜻은 따오가 있음
- 아르콘 명사가 뒤에 아무것도 안 붙는데 따우가 단어 맨 뒤에 올 수 없기 때문에 탈락함
- 오노마의 어미가 붙지 않는 이유는 모음이 길든 짧든 철자가 아라서임
02:22 ~ 03:21
장모음의 액센트 처리
- 두 음절 명사에서 액센트가 두 번째 음절에 올 경우에 그것이 장모음일 경우에 서 컴플렉스트로 처리해 준다는 규칙이 있음
- 첫 음절에 아 이 모이 짧을 경우에는 무조건 뒤에서 두 번째 음절인 우리 말의 첫 번째 음절에 장모음이 오면 거기에 액센트가 또 붙어 있으면 무조건 서 컴플렉스로 처리해 준다는 규칙이 있음
04:26 ~ 08:17
마명사의 파생형
- 하이마와 스토마 같은 경우에는 이중모음과 장모음이기 때문에 액센트가 왔을 경우에 가 짧기 때문에 서컴플렉스가 온 것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음
- 마로 끝나는 명사는 모두 중성 명사임
- 마명사의 파생형은 마로 끝나는 명사는 패턴이 다 똑같음
09:29 ~ 12:19
형용사의 주격과 속격
- 형용사들이 몇 개 있는데 b스와 반 같은 경우에는 b스랑 b는 3구형을 하게 되니까 주께 형태와 소켓 형태의 어 주교 형태와 속형 형태가 다름
- 속격 형태의 원래 어안이 있는데 주격에서의 어떤 특징 때문에 주격과 속격이 다를 수 있음
- 외형적으로 여성 같은 경우에는 일곡용이니까 그냥 어미만 바뀌어진다고 생각하면 됨
13:38 ~ 14:50
바스바싸반
- 바스바싸반이라는 형용사는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형용사임
- 브라키스라는 형용사도 313 00 한다고 보시면 됨
- 브라케약 브라케아s 브라케이아 브라케이 안 브라케아 브라케이 온 브라케이아이스는 일곡용이니까 이런 패턴으로 바뀜
- 중성형은 주격과 대결 형태가 동일하다는 걸 염두에 두면서 따라가겠음
16:36 ~ 19:10
b스 관사 명사의 뜻
- b스 관사 명사가 쓰이는 경우에는 명사가 진짜 명사냐 아니면 분사에서 만들어진 그런 명사냐에 따라서 전체냐 아니면 뭐 뭐 마다냐 이렇게 뜻이 됨
- 바스가 관사 없이 쓰일 경우에는 모모마다 이렇게 사용될 수 있다는 걸 여러분이 보시면 됨
20:26 ~ 23:13
메가 메갈레 메가 폴리스 폴렛 폴리라
- 메가스 메갈레 메가 폴리스 폴렛 폴리라 이 두 가지 형용사가 나오는데 얘네들은 그냥 12 고용 형용사임
- 주격 형태가 단수 주격 단수 대교 형태로 남성과 중성의 단수 주격 단수 대교 형태가 다른 어떤 고용 형태와 어안 형태가 좀 다른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는 형용사임
- 메가스는 여성형에 있는 어간에다가 어미를 붙여서 만든 것임
- 메갈로 메갈로 메간 메갈로이 메갈론 메갈, 라이스 메갈라스는 중성은 항상 주격과 대격이 동일하니까 그 점을 염두에 두면서 메가 메갈로 메갈로 메가 메갈라 메갈론 메갈로이스 메갈라가 됨
25:07 ~ 29:08
관사의 형태
- 오노마 c는 중성 복수 역의 형태로 분해하면 됨
- 상고용 명사나 형용사는 주격 형태와 주격 형태와 원래 단어의 원래 어간 형태가 있음
- 주격 형태에서 약간 변형이 일어났기 때문에 주께 형태와 단소 소격 형태를 같이 외워서 단어를 써먹어야 됨
- 관사는 명사에 동반되거나 형용사와 함께 짝을 이루어 사용됨
- 관사는 삼국 형태가 없음
[성경헬라어교본-21(5/5)] 제21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1YMTa91izyk?si=R6bT8ri4saH60Q8_
주요 주제
- 관사의 역할과 중요성
- 신화와 가족법의 사용
- 조건문 인식과 그 핵심 내용
다음 할 일
- 관사 사용에 대한 이해
-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 분해 학습
- 조건문 인식에 대한 학습
요약
00:00 ~ 02:42
재산 고객 명사의 주격과 수격
- 재산 고객 명사와 관련된 기초 문장 연습을 함께 풀어보겠음
- 재성 공유 명사는 주격과 수격을 함께 외워야 함
03:56 ~ 09:24
관계 대명사의 특징
- 관계 대명사는 대명사니까 성과 수가 일치하는 명사를 가리키면서 문장을 이루는데 원래는 뭐뭐뭐 뭐 한 자 정도인데 여기서 관계 대명사가 남성 단수니까 앞에서 남성 단수 명사를 찾으면 됨
- 관계사절 관계대명사 절은 우선은 형용사처럼 한정하는 것처럼 해석이 되지만 우리 말로는 어쨌든 문장적으로는 독립적으로 해석을 해야 됨
- 관계 부서들 안에 코스부터 헤마스까지가 또 연결돼 있으니까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해석을 해보면 됨
10:16 ~ 15:21
아웃도스의 특별 용법
- 아웃도스는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랑 쓰일 경우에는 대명사가 아니라 특별 용법으로 사용됨
- 격으로 주격으로 사용되는 것 같은 경우에는 동사의 수원 주화와 얘가 성숙하게 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 특별용법임
- 관사가 함께 나오지 않기 때문에 강의적 용법으로 사용된다고 보면 됨
16:45 ~ 22:30
카리띠 형태
- 카리띠 같은 형태 카리스 카리토스 이 형태를 외우는 게 일차적인 관심임
23:35 ~ 27:39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
-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는 분해해 보면 현재 능동태 부정사임
- 부정사와 함께 쓰이는 거니까 장차 삶을 영위할 것이다 혹은 걷게 될 걸을 것이다 이렇게 해석이 됨
- 관계대명사 호스가 나왔으니까 얘를 주어처럼 해석해야 됨
- 관사를 보니까 니끄띠가 성숙격이 여성 단수 역역임
28:59 ~ 30:24
관사의 역할
- 관사는 해당 명사는 해당 관련된 언어의 정체성을 분명히 드러내주는 역할을 함
- 관사는 여성 명사에서 온 것임
- 프로스라는 단어는 전치사면서 대기업 관계에 쓰여서 누구누구를 향하여 혹은 누구누구에게로 해석이 됨
- 뒤에 남성 단수 대격 큐리온이 왔는데 주님이니까 그 주님을 향하여 혹은 그 주님에게로 해석을 하면 됨
31:46 ~ 36:33
신화의 가정법
- 아르콘데스라는 단어가 남성 복수 주격일 거라고 예상할 수 있음
- 아르콘이라는 명사의 남성 복수 추격이 되는 것임
- 신화는 일반적으로 가정법과 함께 사용됨
- 신화는 목적이나 결과절을 이끈다고 보면 됨
- 신화가 결과적으로 해석되기를 원할 경우 쉼표를 찍음
36:58 ~ 39:19
엘라베의 뜻
- 호스가 맨 앞에 나오면 독립적으로 사용돼서 주어 절을 이끈다고 말할 수 있음
- 엘라베는 람바노라는 동사에서 왔고 부정 과거 능동태 직설법 단수 3위층임
- 하이마는 중성 명사 재산 고경 중성명사고 남성 중성 단수 대격이면서 뜻이 피임
- 주님의 피를 취한 자는 이렇게 해석을 할 수가 있음
40:09 ~ 45:51
카리스의 의미
- 카리스라는 단어는 여성 단수 대격에서 카린이 되는 독특한 단어임
47:16 ~ 51:11
관사의 개념
- 관사가 하나 나왔다는 건 얘네가 둘이가 어떤 복합적으로 묶여 있는 개념이다라고 이해할 수가 있는 거임
- 모든 교회는 몸들이요 잎들이다라고 해석하면 됨
- 데이가 나왔는데 얘는 대우 동사에서 왔지만 형태로 그냥 사용되는 비인칭 동사임
- 운이라는 접속사는 그러므로라는 뜻인데 얘가 후치사임
- 에클레시아라는 명사랑 성숙경이 일치해서 함께 사용되는 형용사임
51:57 ~ 56:04
조건문 인식
- 모든 교회는 주님의 몸들이요. 이들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됨
- 조건문 인식 조건법 인식이 등장한다라는 것이 또 한 가지 특징이기 때문에 염두에 두고 공부한다 생각하면 됨
- 조건문에 대해서 살펴볼 건 아니기 때문에 꼭 이 부분이 여기에 있었어야 되느냐라고 생각할 수는 있지만 한번 복습하는 차원에서 다른 연습 문제와 관련해서 연습 문제가 나온 거니까 한번 풀어보도록 하겠음
57:31 ~ 1:01:58
조건문
- 조건문 20 조건부 인식의 핵심은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을 언급하는 것임
- 조건문 226쪽을 참조해 보면 좋을 것 같음
- 9번 문제를 함께 읽어보고 내용을 생각해 보자고 함
1:03:22 ~ 1:09:16
신화의 목적
- 신화는 가족법과 함께 사용됨
- 신화는 목적이나 결과를 나타냄
- 신화는 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음
- 신화를 목적으로 해석할 때는 앞에 목적 절리를 넣어야 함
'신학 자료 > 원어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22과) (0) | 2025.02.18 |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7~19과) (1) | 2025.02.18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5~16과)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