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법은 말그대로 ‘종교적 의식을 규정한 법’이다. 하나님은 고대 이스라엘인들에게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구속사역과 하나님의 속성을 상기시키기 위해, 의식법을 부여했다. 관련하여, 레위기가 의식법을 대표적으로 다룬다. 예컨대, 유월절에 어린 양을 잡아 그 피를 문설주에 바르기, 성소에 들어가기 전에 정결을 유지하기, 가난한 동족에게 십일조하기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의식법은 고대에나 현대에나 신앙인들에게 문자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강제되지 않는다. 구약성경조차 의식법을 문자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강제한 바가 없다. 다만, 의식법은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신앙인들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의식법 자체가 거부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의식법을 신앙인들에게 항상 부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성찬식을 의식법으로 주신 예를 들 수 있다.
* 의식법은 소위, '율법'과 개별적인 개념입니다. 둘을 혼동하거나 혼용하지 않아야, 제대로 각각을 정의해야 합니다.
'연구소 > 오픈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태복음과 '이두( ἰδοὺ - Look[보라])' - 문학적 표현의 예로서 (0) | 2022.12.09 |
---|---|
하나님의 아들(Son of God)이란? - 인자(Son of Man)와 다른 개념으로 (0) | 2022.12.09 |
예수님의 생애와 이동경로(타임 테이블) - 사복음서의 행적과 사건을 중심으로, 연대기 성경과 문자주의적 해석에 대한 비판 포함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