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 (contemplation)' 태그의 글 목록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관상 (contemplation) 2

Theology as Christian Epopteia in Basil of Caesarea - OLGA ALIEVA(요약, 비평)

이 논문은 바실리오 카이사레아가 그의 저작(특히 *Spir.*)에서 기독교 교리를 “침묵 속에” 그리고 “신비 속에” 보존한다고 표현한 것을 중심으로, 그가 비성경적 전승(파라도시스)을 통해 전달한 신학적 내용, 즉 기독교 체험(epopteia)의 의미와 기능을 분석합니다. 기존에 바실리오의 표현이 엘리트주의나 비공개 규율(디스클리피나 아르카니)로 해석되던 것과 달리, 저자는 바실리오의 교리를 플라톤 철학의 3단계 체계(정화, 교육, 관조)에 입각하여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논문은 바실리오가 ‘dogma(교리)’와 ‘kerygma(선포)’를 구분하는 방식에 주목하면서, 성경적 증거뿐 아니라 비성경적 전통에 기반한 신학적 진리가 어떻게 점진적으로 계승되고 해명되는지를 밝힙니다. 특히, 바실리오에게 ..

Evagrius of Pontus, Scholia on Proverbs

"Evagrius of Pontus, Scholia on Proverbs"는 이집트 사막의 수도사로서 폰투스의 에바그리우스가 잠언을 해석한 작품을 번역한 저작입니다. 이는 그리스도교 동방의 해석 전통에 중요한 창구를 제공합니다. 에바그리우스는 신학적이고 관상적인 관점으로 잠언의 구절들을 해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혜"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신의 지혜를 의미하며, 이는 영적인 훈련과 깨달음으로 얻어진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그는 "의인"과 "악인"을 통해 사람의 마음과 영혼의 상태를 논하며, 경건한 삶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번역본은 2010-2011년에 처음 작성되었고, 2022년에 개정되었습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에바그리우스의 번역과 해석을 보다 정확하고 실용적인 형태로 재구성합니다. 잠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