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론 soteriology' 태그의 글 목록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구원론 soteriology 6

베르까우어(G. C. Berkouwer) 신학 요약(입문)

베르까우어에 대한 좋은 소고입니다. '칼빈, 바르트, 로마 가톨릭'와 '베르까우어' 신학적 특징을 4가지 조직신학 분과 각각의 차이점으로 전개(구원론, 교회론, 기독론, 성례론)합니다. 베르까우어의 책이 더 많이 번역되면 좋겠습니다. CLC에서 몇 권을 한 것을 빼면, 거의 없습니다. * 20세기 칼빈주의 3대 신학자라고 말하지만, 한국교회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소고는 간단하고 핵심적 내용을 다룹니다.(PDF와 HTML 버전을 올립니다.) 로마 가톨 릭 교회 와 바르트를 비 판하는 칼빈 주의 자 베 르까우어 의 개 혁 신 학 최 윤 배 1 . 서 론 1996년 1월 25 일 포르하우뜨 ( Voorhout ) 에 서 소천 한 네 덜 란드 개 혁 교 회 의 교의 학자 헤 리 뜨 꼬르넬 리 스 베 ..

보건의료사역을 통한 COVID-19로부터의 교회 공동체의 안전과 선교 통로 확보 – 역사 속 전염병 대응 사례 분석과 신속진단검사의 사역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미래실천목회연구소 2021..

많은 고민 끝에 지난 저의 기고문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지난번에 미래실천목회연구소에 기고한 글입니다. 글의 발표는 가을쯤으로 늦춰질 것 같으며, 이에 원고의 내용에 추가해야 할 사항이 많을 겁니다. 이는 2021년 4월 2일에 제출하였습니다. 기고문을 올린 이후, 하나님께서 사회적인 변화를 활발히 인도하셨습니다. 기고문은 최근 오세훈 시장의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던 항원신속진단검사키트와 서울대학교와 다른 관공서에서 도입하려는 신속 PCR검사를 많이 언급했습니다. 제가 주장하였듯 불행 중 다행으로 각종 신속진단검사가 범사회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한편으로 한국교회가 저의 글을 통해 많이 준비할 수 있었을 텐데 일부 준비할 수 있는 것들을 놓친 것 같아, 많이 가슴 아픕니다. 하지만 앞으로도 여전히 해야..

개혁주의 성령론 - 존 오웬

오래된 책이지만, 개혁신학의 구원론에서 성령의 역할을 거의 모두 다룬 책입니다. 구원론에 관해서 성령의 존재와 역할이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아주 쉽게 저술된 책이라,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성령은 누군가의 원하는 바를 이루는 도구나 아무 생각 없이 부를 수 있는 호칭이 아닌 삼위일체 하나님의 위격입니다. 구원받은 사람은 일상에서 성령을 부를 때, 성령님이라는 호칭을 꼭 부르게 될 것입니다. 책을 통해, 성령님께 경외와 감사를 드리는 계기가 되기를 원합니다.^^ 개혁주의 성령론 국내도서 저자 : 죤 오웬 / 이근수역 출판 : 여수룬 2000.05.30 상세보기

어거스틴의 절망과 행복과 자유와 의지에 대한 관점 - 저작을 중심으로 간단히

가톨릭교회의 박승찬 교수님이 절망과 행복과 자유와 의지에 대한 어거스틴의 접근방법을 소개하셨습니다. 이는 어거스틴의 다양한 저작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때, 객관적으로 또한 비평적으로 개혁신학에서 수용할 수 있습니다. 본 강의에는 가톨릭교회의 신학적 전제가 잘 드러나지 않으며, 어거스틴을 이해하는데에 매우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실제로 그리스도인의 삶에 적용하기에도 적절하기에 5개의 강의를 한번에 업로드합니다. 다만, 개혁신학과 일부 다른 관점도 전제하기에 중요한 점만 짚겠습니다. 어거스틴에게 사랑은 믿음의 결과물로서만 다루어져야 합니다. 개혁신학은 가톨릭교신학과 달리 인간의 내면을 상하층의 2층으로 나누지 않고, 조직신학체계를 구성합니다. 이는 각자의 구원론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단..

신화(Theosis, Deificatio)에 대하여 - 동서방 공통 초대 공교회를 중심으로

신화교리는 최근 10년내에 가톨릭신학자에 의해 많이 다루어졌습니다. 저는 Th.M 졸업논문에서 신화교리와 그것에서 파생된 기도신학과 수도운동을 개혁신학으로 편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관련된 핵심 초대공교회 교부 에바그리우스를 통해 충분하고 논리적인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이를 증보 및 수정하여 책으로 출간하였습니다. 개혁신학은 신화교리를 각 교부와 시대에 따라 체계적으로 연구해야 합니다. 이를 성공적으로 완료한다면, 개혁신학은 초대교회가 다룬 다양한 신학적 가르침(삼위일체론, 기독론, 성령론, 기도론, 수도운동, 예배론, 성례론, 종말론)을 계승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신화교리는 초대공교회의 신학과 예배를 이루는 근간입니다. 개혁주의 신학자와 성도들은 오해하거나 경시하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

어거스틴에 대하여 - 개론 강의

어거스틴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와 소개는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그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와 개별적으로 가톨릭신학에서 어거스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다만, 언제나 그러하였듯 교파와 상관없이 1차문헌은 그를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의 키워드에 보이듯, 참 많은 것들을 정리한 교부입니다. 동서방에서 모두 관심을 갖는 중요한 위치를 가졌습니다. *개론적인 내용이고 잘 정리가 되어 있기에, 영상을 추천합니다. 교파는 다르지만 신부님께서 참 학문적이시고, 강의를 잘 하시는 것 같습니다. 신부님께서는 가톨릭교회에서 큰 존경을 받는 분임을 알려드립니다.^^ www.youtube.com/watch?v=0-fRuDA-sIY&list=PLEhqJpoxdCALe6qAjP5HEIDTc9QW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