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헬라어교본-9(1/5)] 미완료과거 시제 개요 및 능동태형
https://youtu.be/9mL6ogH7eMg?si=TBrLh4FSZkBJ3xVu
주요 주제
- 동사의 미완료 과거 시제와 그 의미
- 현재 어미와 미완료 과거 어미의 재활용 원리와 특징
- 시제와 관련된 시간의 개념과 직설법이 아닌 시제에서의 재활용 규칙
다음 할 일
- 동사의 미완료 과거 형태와 의미 파악
- ab 동사의 미완료 과거 시제 정확하게 파악
- 동사와 관련된 형용사, 명사 학습
요약
00:01 ~ 02:24
미완료 과거의 의미
- 5 동사의 미완료 과거라는 시제에 능동태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을 우리가 이 시간에 공부하게 된다는 것임
- 미완료 과거라는 것은 현재나 미래와 다르게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한 동사의 시제를 배움
- 미완료 과거는 미래 완료 등을 나타내는 게 아니라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뜻임
- 미완료 과거는 시간적으로 과거 시간에 어떤 행위가 아직 완료가 되지 않은 것을 나타냄
03:31 ~ 08:13
미완료 과거 시제
- am 동사에 대해서 배우는데 a이미 동사의 미완료 과거 직설법은 형태는 미완료 과거인데 시간의 개념은 과거를 나타낸다는 예외적인 용법임
- ab 동사의 미열 과거 시제 배울 때 정확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음
- 두 가지만 염려를 하면 되는데 하나는 미완료 과거라는 이 과거 시제에 끝나지 않은 행위, 우리 말로 하면 과거 진행을 나타내는 그런 시간의 개념을 배운다라는 거 첫 번째 다른 하나는 형태가 현재나 미래와 다르게 미완료 과거니까 형태가 구분이 될 것이다라는 거 이 두 가지만 주의하고 나머지는 능동 때 중간 수동 때 직설법 이런 것들은 그대로 현재나 미래에서 사용되듯이 적용된다고 되기 때문에 여러분이 이 형태와 의미에만 조금 주의를 기울여라 라고 말씀을 드리겠음
14:09 ~ 16:30
미래 시제 어미의 재활용
- 현재 어미는 미래 비과거형 동사에서 수와 인증을 나타내는 어미로 재활용됨
- 미완료 과거 어미는 다른 과거형 동사 활용해서 재활용되는 특징이 있음
- 미래 어간 뒤에 시그마를 붙인 다음에 미래원에다가 현재 능동태 및 중간태 어미를 재활용해서 미래 시제를 만듦
17:49 ~ 21:11
직설법의 재활용 규칙
- 미완료 과거 어미가 부정 과거 어미에 재활용되는 원리로 동사의 활용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쉽게 해소할 수 있음
- 동사와 직접 관련돼 있는 것과 동사로부터 파생된 형용사, 동사로부터 파생된 명사에 대해서 배우게 될 것임
- 직설법에서는 시간의 개념이 6시제나 존재하지만 직설법이 아닌 경우나 분사나 부정사에서는 시간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시제가 존재하지는 않음
- 직설법이 아닌 시제와 직설법이 아닌 동서형과 파생된 분사와 부정사에서도 재활용 규칙이 적용됨
22:34 ~ 24:12
미완료 과거의 어형 활용
- 미완료 과거는 현재와 시간의 개념이 다름
- 미완료 과거는 현재형이나 미래형과 다른 어미 형태를 보임
- 미완료 가구가 공유하기 때문에 어형 활용에 공통점들이 존재함
[성경헬라어교본-9(2/5)] 미완료과거 능동태 활용과 용법
https://youtu.be/XztJmj8RuhA?si=ZS8DT0WyWf1TgVEy
주요 주제
- 미완료 과거 시제와 현재형의 차이
- 미완료 과거 시제와 능동태 직설법의 차이
다음 할 일
- 미완료 과거 시제 활용법 학습
- 미래 시자 형태와 어안 공유 암기
- 직접 복수 1인칭 해석 방법 파악
요약
00:01 ~ 01:39
동사의 어간
- 우리 116쪽 우리 9.1.1 미안하고 능동태 직설법 한번 공부해보도록 하겠음
- 동사가 ro 동사인데 현재 형태일 수도 있고 기본형 형태일 수가 있음
- 어간은 기본형 어간이라고 명칭을 붙였음
- 얘는 미완료 과거일 수도 있다는 걸 염두에 두시기를 바람
03:02 ~ 04:28
미완료 과거 시제
- 미완료 과거 시제는 접두모음과 미료가 어미를 붙여서 미완료 과거 시제를 만듦
- 미완료 과거 시제는 기본형 어간과 동일하니까 현재형에다가 만든다고 생각하면 됨
- 과거라는 말이 붙은 시제에는 직설법 같은 경우에는 앞에다가 l을 붙이고 뒤에 어미는 OS 오맨에데o을 붙여서 만듦
05:57 ~ 07:08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
-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은 외형적으로는 현재 어간과 동일함
- 과거 시상 접두 모험 엡실론는 모든 과거 동사에 일관되게 접두되며 해당 동사가 과거 시에 속한다는 것을 드러내줌
- 문맥을 고려해서 1인칭인지 3인칭인지를 결정해야 함
08:30 ~ 12:22
미래 시자의 형태
- 미완료 과거로 활용된 동사의 뜻을 확인하기 위해서 기본형을 찾을 때에는 미완료 과거 동사에서 과거 시상 접두모음 엡실론과 어미 OS 떼온을 제거하고 남겨진 어간에 현재 능동태 직설법 단수 인니칭 어미인 o를 붙여서 단어를 찾음
- 미래 형태만 해도 현재 형태와 어안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사전에서 뜻을 못 찾을 수가 있음
- 미래 시자를 배울 때에는 현재와 미래 형태를 같이 암기해야 됨
13:34 ~ 15:58
미완료 과오
- 미완료 과오는 과거에 붙이는 거니까 기본용 어간을 쓰고 어민은 엣떼를 쓰면서 앞에 과거 접도 몸을 가질 수 있는 형태임
- 미다 동사를 미안하고 능동 때 직접 복수 1인칭에 맞춰서 해석하면 되는 것임
[성경헬라어교본-9(3/5)] (미완료)과거시제에서의 시상 접두모음 규칙
https://youtu.be/yPL9j9MtCfo?si=tui-5T7ycK45ART_
주요 주제
- 시상 접두 모음 규칙과 그 변형 형태
- 미완료 가공을 추측하는 방법과 그 형태적 특징
- 합성 동사와 합성 도사의 형태적 구분 방법
다음 할 일
- 시상 접두 모음 규칙 적용 방법 학습
- 합성 동사의 과거 시상 접두 모인 이 슬론 적용 방법 학습
- 에타 또는 a 형태 변형에 대한 이해 향상
- 시상 접두 모음 규칙 적용 시 주의사항 파악
요약
00:01 ~ 02:08
시상 접두 모음 규칙
- 시상 접두 모음 규칙은 모음과 모음이 만날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간에 시상 접두 모음이 접두될 때에는 단순히 l을 붙이면 됨
-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간에 시상 접두 모음이 접두될 때에는 접두모음 엡실론과 어간의 첫 철자 모음 철자가 만나서 변형을 일으킨다는 걸 주의를 기울여야 함
03:15 ~ 04:23
미완료의 형태
- 미완료를 만들 때는 앞에 ESL을 붙여준다라고 외웠을 때 이걸 보면 당황할 수가 있음
- at로 시작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 형태적으로 시상접도 모음 엡실론과 첫 번째 철자가 아일 경우에 에타로 길어지기 때문에 그렇다라고 외우면 됨
05:31 ~ 06:39
에스티온의 미완료 가공
- sto는 a하고 애하고 만나서 에타가 돼서 sto가 됨
- 에곤 에스티온은 에타가 되어 있어서 미완료 가공을 추측할 수가 있음
- 생소한 단어가 나오면 a에서 만들어진 건지 a에서 만들어진 건지 따져봐야 함
07:43 ~ 11:02
오메가의 특징
- 에타가 아니라 a라는 형태로 약간 변형돼서 활용이 되었다라고 얘기함
- a로 바뀐 이 형태는 불규칙이 아님
- a하고 o하고 만나면 오메가로 바뀌는 것이 특징임
- 오메가나 에타가 나오고 어미가 우리가 익숙한 게 나오면 미완료 과거거나 과거 형태의 직서법 형태라고 이해하면 됨
12:15 ~ 13:25
엡실론의 형태
- 엡실론이 붙을 때 어간의 첫 모음자가 에타인 경우에는 그냥 에타가 되고 2호인 경우에는 2호의 장음이 되고 ws론이 될 경우에는 위실론 장음이 되고 오메가가 올 경우에는 오메가로 길어짐
- 앞에 나오는 이스큐온이랑 휘브리존 같은 경우에는 에타나 오메가로 길어지지도 않기 때문에 미완료가고 해서 된 건지 아니면 다른 형태인지를 우리가 구분하기가 어려움
14:26 ~ 19:18
합성 동사의 과거 시상 접두 모
- 합성 동사의 경우 과거 시상 접두 모인 이 슬론이 전치 sv에는 붙지 못하고 l을 붙일 수 없음
- 합성 도사 같은 경우에는 단어 맨 앞에 엡실론이 없으니까 또 우리를 당혹케 할 수 있음
- 합성된 단어가 전치사라면 전치사가 끝나는 철자 맨 뒤에 a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서 적용하면 됨
[성경헬라어교본-9(4/5)] 미완료과거 중간/수동태 직설법 및 "이다"(Be) 동사형
https://youtu.be/CQrZlftETbw?si=4hFDXJpLq_PiXcZq
주요 주제
- 미완료 과거 중간태형과 수동태형의 형태와 해석 방법
- 디퍼런트 동사와 ab 동사의 차이점과 중요성
- 헬라어 문법과 어휘의 중요성과 공부 방법
다음 할 일
- 헬라어 성경 강독집 원문 공부
- ab 동사의 미완료 과거형 암기
- 미완료 과거 형태의 형태와 해석 고려
요약
00:00 ~ 01:04
미완료 과거 형태의 수동태
- 미완료 과거 형태에서도 형태적으로는 중간 태형과 수동태 형태가 동일하니까 주의해서 형태를 외우고 해석할 때에는 그것들을 잘 고려해서 문장을 해석해야 함
01:59 ~ 03:35
미완료 과거 중간태형
- 미완료 과거 중간태형 혹은 수동태형에 해당하는 어미를 붙여서 미완료 과거 중간 혹은 수동태를 만듦
- 뜻은 수동태형으로 해석을 함
04:53 ~ 08:25
능동태와 수동태의 형태
- 능동태에서 이미 배웠기 때문에 만드는 원리는 우리가 이미 능동태에서 다 배웠기 때문에 또 기본형 어가는 우리 현재형을 통해서라든지 아니면 또 미완료 어간이라는 어간을 통해서 우리가 외웠기 때문에 어미만 우리가 기억을 해서 이 미활류 과거 중간 수동터 형태를 만들고 다만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문맥을 통해서 구분하면 됨
- 중간태인지 수동태 형태인지는 문맥을 통해서 구분하면 됨
- 디포넌트 동사는 기본형에서 디포넌트 동사임
- 미완료 과거라는 것이 기본형이라는 게 현재 어간도 되고 미완료 어간도 된다 그랬음
- 현재적 디퍼런트가 되면 미완료 과거에서도 디퍼런트가 된다라는 거를 기억해야 함
09:33 ~ 11:01
디퍼넌트 동사의 개념
- 디퍼넌트 동사는 어형으로나 이런 것들로 어려움이 하나도 없음
- 디퍼넌트 동사냐 아니냐가 핵심 개념이 됨
12:21 ~ 14:45
리어 동사에서 온 것 같은 동사
- 분해할 때 주의하라는 내용이 우리 2번에 등장하고 있음
- 리어 동사에서 온 것 같다는 느낌이 들면 공부를 열심히 한 것임
- 리어 동사에서 온 것 같다는 느낌이 들면 명사로 보지 말고 동사로 볼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함
15:53 ~ 20:20
헬라어 성경 공부
- 헬라어를 공부할 때 가장 기본적인 어형이나 어휘들을 외워놓아야만 자주 나오지 않거나 생소한 것들을 해결해낼 수 있는 여유가 생김
- 헬라어 문법 책을 다 배울 때쯤 돼서 어휘를 능숙하게 외움으로써 헬라어 성경을 읽으면 됨
- 헬라어 성경 강독집을 가지고 강독한 내용도 올려놨으니 원문 공부를 하고 싶을 때는 사이트에 방문해서 보면 됨
21:21 ~ 26:11
ab 동사의 미완료 과거형
- ab 동사는 미완료 과거 형태인데 해석은 그냥 과거의 의미를 나타냄
- ab 동사는 결여 동사라고 부름
- ab 동사의 미완료 과거형은 불규칙이기 때문에 무조건 외워야 함
[성경헬라어교본-9(5/5)] 제9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noExjhvZHyM?si=aZa5h-0K_7GbmwHG
주요 주제
- 중성 단수 주격과 대격의 의미와 사용 방법
- 복음의 해석과 관련된 문제
- 사도의 가르침에 대한 해석과 관련된 문제
- 인칭 대명사의 형태와 의미
- 역격을 이끄는 전치사와 관사의 의미와 중요성
다음 할 일
- 세례 받았다 뉘앙스의 바티존또 동사 해석
- 사도의 가르침에 대한 복음 해석
- 6번 문제 풀이
- 모험과 모이 만나는 현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진행
- 램프 s다이라는 단어의 미래 형태에 대한 연구 계획
- 호라라는 단어의 남성 복수 주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진행
- 모험과 모이 만나는 현상과 관계식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계획
요약
05:09 ~ 06:43
n의 의미
- n은 부사임
- 뒤에 나온 ST이라는 동사는 이다 동사의 현재 직설법 단수 3인칭 형태임
- 뒤에 나온 SN이라는 단어는 전치사고 역격과 함께 사용됨
- 뒤에 나온 아웃 때라는 단어는 인칭 대명사 3인칭이고 여성 단수 역격임
08:07 ~ 13:57
수동태 직설법 복수 3인칭
- 역적이 온 이유가 뭐냐라고 물어보면 앞에 나온 전치사 n 때문이니까 얘도 그냥 그 집이라고 해석을 하고 그 집 안에 이렇게 해석을 하면 됨
- SD는 주어가 그 혹은 그녀라고 했는데 문맥상 이 둘로스가 주어기 때문에 그가 이렇게 해석을 하면 됨
- 2번 문제를 읽어보고 풀이해 보겠음
- 2번 b디 존도 호이 오클로이 휘보2 안트 로프 앤 때 탈라세는 수동태 직설법 복수 3인칭이 되고 뜻은 세례 받았다 이런 뉘앙스가 됨
- 바티존또의 주어는 그들이 아니라 이 무리들을 얘기하는 것임
- 바티존또의 뒤에 나온 휘보라는 전치사는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나타내는 경우로 사용이 되고 얘는 그 사람에 의하여라고 해석을 해야 됨
15:21 ~ 19:46
람바노 동사의 미완료
- 람바노 동사에서 만들어진 미완료는 엡실론이 붙어 있음
- 람바노 같은 경우에는 앞에 아무것도 없으니까 바로 붙였는데 이 경우에는 발로 동사 앞에 x라는 전치사가 붙어 있어서 사이에 붙여놨다고 이해하면 됨
- 미활력과원은 기본형 어관을 쓰니까 람다가 두 개가 있는 형태 그대로 썼고 이 뒤에다가 미완이 OSA 할 때 그 a의 n가 붙은 형태를 붙인 것임
21:21 ~ 22:42
에클레시아스의 의미
- 에클레시아스라는 단어의 의미는 교회 밖으로 해석을 하면 됨
- 아웃다스라는 단어는 인칭 대명사 3인칭이고 여성 모두 대격임
- 인칭 대명사니까 얘는 대명사로서 여성 복수 명사를 찾아야 됨
- 앞에 보니까 여성 복수가 되는 단어는 다스 b을 넣을 수밖에 없음
23:23 ~ 26:43
동사의 시제 형태
- 호의가 나왔기 때문에 얘는 복수 3인칭으로 보고 미완료 과오 형태로 해석을 하면 됨
- 제자들이 취하고 있었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 제자들이라고 얘기했는데 이 경우에 앞에 나온 동사 엘람바논과 연관이 되는 거임
- 동사가 특이한 동사도 나오고 동일한 동사가 다른 시제 형태를 갖고 있다는 점을 주의하면서 풀이를 해보면 됨
28:02 ~ 29:21
아쿠어 동사의 속격형 목적어
- 아쿠어 동사는 속격형 목적어를 취함
- 속격형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쓰여서 이것이 목적어가 될 수도 있다라는 걸 염두에 두고 다음 단어를 보면 됨
30:43 ~ 36:37
알라의 한정적 용법
- 소리라는 것이 n의 목적어가 돼서 소리를 이렇게 해석을 하면 됨
- 아쿠 동사의 소격형 목적어로 해석을 하면 됨
- 알라라는 단어는 접속사고 완전하게 대조를 나타냄
- 역격과 함께 사용되는 전치사임
- 헤메라가 명사니까 얘는 한정적 용법이 됨
- 얘는 굳이 해석을 하면 마지막의 마지막 어쩌고 저쩌고가 됨
37:06 ~ 41:20
에곤 또 휘온 2 아보스 똘루 에이스 텐 오이 끼안 까 n 아웃 때 안 메타 아웃 2
- 에곤 또 휘온 2 아보스 똘루 에이스 텐 오이 끼안 까 n 아웃 때 안 메타 아웃 2는 미완료 과거에서 앞에 엡실론을 붙여주는 현상 때문에 길어졌다라고 볼 수 있음
- 아오 동사는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이고 이 단어는 미완료니까 어미가 OS on o이 되는데 복수 3인칭일 수도 있고 단수 11층일 수도 있음
- a군이라는 것도 복수 3위층으로 분해해보도록 하겠음
- as라는 전치사는 대격과 함께 쓰이면서 어디 어디 안으로라는 뜻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장소와 관련해서는 그리고 어떤 목적과 관련해서는 위하여로 해석하면 됨
- n이라는 전치사는 역격과 함께 쓰여서 어디 어디에 혹은 언제라는 시간 그리고 모로서라는 수단 따위를 나타냄
42:44 ~ 44:07
ab 동사의 과거형
- ab 동사는 미열 리버 형태가 있지만 과거 진행으로 번역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과거형으로 번역함
- 메다도 전치사인데 역과도 속격과도 쓰이고 대교과도 쓰이는데 뒤에 보니까 아웃 2가 나왔음
- 이 경우에는 속격과 함께 쓰인 거라고 보시면 됨
- 문맥상은 이 휘온이 중요한 단어니까 아들로 보는 게 적절할 것 같음
45:38 ~ 49:52
아르도스의 의미
- 6번 문제를 읽어보고 풀이해보도록 하겠음
- t스는 남성 복수 대격 관사임
- 아르 도스라는 단어는 아르토스라는 명세에서 왔음
- 아르 도스라는 단어는 떡 혹은 빵이라는 뜻임
- STN은 sto 동사에서 온 미완료 과거 형태임
- sto 동사는 먹다라는 뜻임
- 호라는 관사는 남성 남도 추격임
- 호띠는 호도스 우 헤라는 형태에서 만들어졌고 고욕은 2고용이니까 제2 고용 여성 명사임
- 호띠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목적절 목적절로 등장하고 하나는 말하다 동사임
51:05 ~ 55:17
ESL의 의미
- 6번 문제를 같이 읽고 풀이해 보겠음
- 첫 번째 단어는 to스인데 관사고 남성 복수 대격이니까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바로 뒤에 나옴
- 아르토스라는 명사의 남성 복수 대격이고 뜻은 떡 혹은 빵을 나타냄
- STN이라는 단어는 동사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뒤에 OSA에서 미완료 혐의가 왔고 앞에 에타가 온 건 과거에서는 ESL을 붙여서 과거를 표시하는데 이 단어가 모험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길어진 것임
- 동사에서 무조건 앞에 에타나 이런 게 나오면 이런 경우에는 과거 시제에 속하는 것임
56:36 ~ 59:30
에타의 예외
- 에타는 에타가 되지 못하고 a가 된 예외적인 현상임
- 에타가 되지 못하고 a가 된 이유는 따로 있음
-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 단수 3인칭으로 가지다 소유하다임
- 부정어를 쓴 이유는 우구라는 말을 함께 묻여놨기 때문임
1:01:00 ~ 1:03:39
레고 동사의 미완료 과거
- 미완료 과거는 현재형과 기본형에서 디포넌트일 경우에 자동적으로 디포넌트가 됨
- 미열육하고 직설법 디포넌트 복수 3인칭은 능동의 의미로 해석하면 됨
- 엘레곤은 레고 동사에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 복수 3인칭임
- 페이는 속교과도 쓰이고 대교과도 쓰이는데 뒤에 보니까 댄스 디다케스가 나왔잖아요. 그래서 얘는 속교과 함께 사용됐고 무엇 무엇에 대하여라는 의미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음
1:05:04 ~ 1:07:37
사도의 가르침에 대해 말하고 있는 무리들
- 사도의 가르침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를 해석하면 무리들이 혹은 무리가 교회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다.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에 대해 말하고 있었다라고 해석하면 됨
- 호 까꼬스 코스 모습 우 에이캔 또 유왕 갤리온 n 다우 때 때 헤매라 알라 n 개인의 아웃도 램프 s 다이 조금 길지만 하나하나 또 풀어보면 어렵지 않음
1:09:01 ~ 1:11:55
중성 단수 주격과 대격
- 중성 단수 주격도 되고 대격도 되는 나쁜 세상은 문맥상 대격임
- 복음을 해석하면 됨
- n이라는 전치사는 역적과 함께 쓰이고 여러 번 했으니까 어디어디에 혹은 언제 혹은 뭐뭐로서 수단을 나타낼 수 있음
1:13:20 ~ 1:16:44
인칭 대명사의 성수격
- nos AO는 원칭 지지 대명사 혹은 형용사 형태는 여성 단수 역교 형태임
-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으면 형용사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명사가 됨
- 인칭 대명사 3인칭 중성 단수 대격이 되는 아웃도가 왔는데 얘는 복음을 나타내는 인칭 대명사임
- 램프 s다이라는 단어는 미래 형태에다가 다이가 붙은 것으로 미래 형태임
- 기본형은 람바노 동사에서 온 미래 직설법 디포넌트 단수 3인칭임
1:18:50 ~ 1:23:10
휘뽀의 의미
- 우리라는 표현은 성수격이 일치하지만 관사가 없으니까 서술적 용법이고 일종의 보어처럼 사용돼서 우리는 악하다 정도로 해석을 하면 좋음
- 휘뽀는 기본형이 전치사이고 속격과 함께 쓰이고 누구누구에 의해서 수동태에서 행위자를 나타내게 되거나 다른 어떠한 추가적인 의미를 나타내는데 대부분은 수동 때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냄
- 모험과 모이 만나는 현상과 관계식 때문에 휘페몬이 된 것임
- 해몬이라는 단어는 인칭 대명사 1인칭 남성 여성 섞여 있고 복수 속격이고 우리의인데 휘버와 함께 쓰이니까 우리에 의하여 이렇게 해석을 하면 됨
1:24:35 ~ 1:29:18
관사의 성수격
- 역격을 이끄는 전치사가 나오면 역격 관사가 나오고 여성 단소 역격이고 형용사니까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는지 없는지도 중요하고 관사가 앞에 있는지 없는지도 중요함
- 관사는 앞에 있으니까 다른이라는 뜻이고 뒤에 호라라는 단어가 나옴
- 호라라는 단어는 여성 단수 역격이고 뜻은 단은임
- 호라라는 단어는 남성 복수 주격이고 뒤에 나오는 단어도 남성 복수 주격과 관련이 있음
[성경헬라어교본-10(1/6)] 지시사와 지시대명사
https://youtu.be/B1vzn3q1aZE?si=e71U3xA99F0nGrSp
주요 주제
- 지시사의 정의와 아웃도스 용법
- 지시대명사의 종류와 특징
- 지시대명사의 사용 방법과 문법적 허용 여부
다음 할 일
- 지시대명사와 명사의 기능 구분 정리 필요
요약
00:01 ~ 02:29
지시 대명사와 지시 형용사
- 지시사에서는 지시 대명사와 지시 형용사가 제시됨
- 지시 대명사와 지시 형용사 모두 지시와 관련돼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시사라는 표현으로 묶어서 설명함
- 아웃도스 특별 용법은 아웃도스가 더 이상 대명사가 아니라 다른 그 무엇으로 사용되는데 풀어서 얘기하자면 형용사처럼 사용되는 용법임
03:42 ~ 04:59
아웃도스의 특별 용법
- 아웃도스라는 것이 대명사가 아니라 형용사처럼 사용돼서 성과 수와 격이 일치하는 명사랑 함께 쓰이는 용법이 아웃도스의 특별 용법임
- 중성 복수 주격 용법은 문법적 허용일 수도 있고 핼러 중성 복수 주교 형이 갖고 있는 특징일 수도 있는데 복수고 주격이지만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된다는 내용을 다루는 내용임
- 지시사를 설명하는 10.1에 있는 부분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음
06:16 ~ 07:33
지시대명사의 개념
- 지시대명사는 대명사로만 사용되지 않고 명사를 한정해 주는 기능으로도 사용됨
- 명사를 한정해 준다는 의미에서 지시대명사는 더 이상 지시 대명사가 아님
- 지시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거니까 명사와 함께 사용됐다는 건 더 이상 대명사가 아니라는 것임
08:53 ~ 11:13
지시대명사의 종류
- 지시대명사는 헬러어에서 두 가지 종류가 있음
- 근칭 지시대명사와 원칭 지시대명사가 있음
- 후방 지지 대명사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근칭 지지 대명사와 원칭 지지 대명사만 살펴봄
12:21 ~ 18:05
근친지지 대명사의 특징
- 지시대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 중성형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음
- 남성과 여성 단복수 모두가 강기식으로 시작되고 있음
- 중성은 따우가 붙어 있다는 게 특징임
- 근친지지 대명사를 배울 때는 단복수 남녀 중 주격 형태를 모두 잘 익숙하게 해놓으면 근층 지지 대명사는 쉽게 정복할 수 있음
[성경헬라어교본-10(2/6)] 근칭 및 원칭 지시 대명사
https://youtu.be/vLWNnjMguDI?si=CoY9a71uuQXvU7ha
주요 주제
- 관사와 지시대명사의 관계와 역할
- 중성 단수 주격 대격의 어미와 형태의 특징
- 원칭과 근칭, 근친의 개념과 용법
다음 할 일
- 근칭 지시대명사와 관사 관련성 파악
- 핼러어 원칭 지지 대명사 개념 이해
- 중성 단수 패턴 공부
- 원칭과 근칭 개념 이해
요약
00:00 ~ 01:15
근칭 지시대명사와 관사
- 근칭 지시대명사와 관사는 근칭 대명사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것임
- 근칭 지시대명사가 가까이 있는 사물을 지시하는 것처럼 관사도 앞에 한 번 나왔던 명사를 뒤에서 받을 때 한정하는 기능이 있음
02:18 ~ 03:16
관사의 한정
- 관사는 가까운 명사로 한정함
- 지시대명사를 알면 관사와의 관련성도 생각해 볼 수 있음
- 지시 대명사가 더 이상 대명사가 아니라 지시 형용사로 쓰일 때 관사가 나오면 나중에 보겠지만 관사가 절대로 지시 형용사 앞에 올 수가 없게 됨
04:42 ~ 10:11
중성 복수 주격 대격의 어미
- 중성 복수 주격 대격의 어미가 아기 때문에 우따 또 동일하게 대격도 따우따라고 붙여준 것임
- 중성 단수 주격 대격에서 그 어미가 관사와 동일한 어미 형태인 o 형태를 갖고 있음
11:07 ~ 15:37
중성 단수의 패턴
- 중성 단수의 패턴은 명사류에 속함
- 중성 단수의 패턴은 비록 형용사더라도 온으로 끝나는 형태를 가리킴
- 근칭 GBD 대명사 말고 핼러어에는 원칭 지지 대명사가 있음
16:32 ~ 22:39
인칭 대명사의 개념
- 지시 대명사 부분을 공부하면서 원칭과 근칭 근친과 원칭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번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아서 언급함
- 원칭 둘 다에게 멀리 있는 것을 가리킬 때 3인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음
- 인칭 대명사가 주격 형태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는 핼러어의 용법이 있음
- 원칙 지지 대명사는 형태의 변화가 없이 어미만 변경해서 외우면 됨
[성경헬라어교본-10(3/6)] 후방 지시 대명사와 지시사의 용법
https://youtu.be/IUfU9mPeAOQ?si=P0rIdApQNbD21_HZ
주요 주제
- 후방 지시 대명사의 기능과 사용
- 지시 대명사와 지시 형용사의 차이와 용법
다음 할 일
-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형태 동일성 및 기능 파악 필요
요약
00:00 ~ 01:19
후방 지시 대명사
- 후방 지시 대명사라는 것은 지시 대명사인데 호헤토라는 관사 뒤에 d라는 접속사를 붙여서 호대 해대 또od라는 형태를 만들어서 후방 지지 대명사라는 기능을 하게 한다는 것임
- 후방 지지 대명사라는 것은 원래 대명사니까 앞에 있는 그 무엇인가를 가르쳐야 되는데 일반적으로 뒤에 있는 내용을 이끄는 어떠한 지지 대명사의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이 후방 지지 대명사임
- 신약성경 시대에는 아주 많이 사용되지는 않음
02:29 ~ 04:21
후방 지지 대명사
- 후방 지지 대명사는 성경에 한두 번씩 등장함
- 고전 핼러에서는 일반적으로 전방만 가리키는 것으로 쓰였음
- 성경 핼러어나 꼬이네 핼러어 시대에 와서는 전후방 모두를 가리키게 됐다고 알려져 있음
- 후방 지지 대명사는 관사 플러스 대의 형태로 만들며 수화 격에 따른 고격은 관사의 고용에 준함
05:35 ~ 10:17
지시 형용사의 용법
- 지시 대명사 용법은 일반적인 대명사 용법과 관련해서 준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따로 따지지 않았음
- 지시 형용사는 지시 대명사가 아닌 지지 형용사로 사용될 경우에 일반 형용사처럼 관련된 명사와 성수격이 일치하여 함께 해석함
-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기능을 살펴보려면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근접한 곳에 있는지 없는지를 따져보면 됨
- 지시 형용사는 지시 대명사에서 전용된 형용사임
11:32 ~ 12:43
지시 형용사의 용법
- 지시 형용사의 용법이 일반적으로 쓰이는데 어형 배열이 일반 형용사와는 차이가 있음
- 지시 형용사의 용법이 나왔을 경우에 이것이 비록 한정된 용법으로 쓰이더라도 관사가 지식 형용사 뒤에 놓이게 되었다는 점을 잘 기억해 주시기를 바람
[성경헬라어교본-10(4/6)] "아우또스" 특별용법(형용사적 용법)
https://youtu.be/2iQ70xzaXNQ?si=ZE91l4rkqOUZYU6Q
주요 주제
- 아우토스의 특별 용법과 인칭 대명사의 형용사로서의 전용 용법의 연관성
- 아웃도스의 형태와 용법의 분화
- 아웃도스의 동일 대상 표현 용법과 강의존 용법의 구분
다음 할 일
- 동일 대상 표현 용법과 구분 방법 모색
- 아우토스 특별 용법에 대한 추가 연구 진행
- 강의존 용법에 대한 정리
요약
00:00 ~ 02:07
아우토스의 특별 용법
- 아우토스 특별 용법은 3인칭 인칭 대명사가 형용사처럼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형용사의 기능을 하는 용법임
- 인칭 대명사의 형용사로서의 전용 용법이라고 이해하면 됨
- 인칭 대명사의 형용사로서의 전용 용법과 연관성은 없음
03:04 ~ 04:03
아웃도스의 특별 용법
- 아웃토스의 특별 용법에 사용되는 아웃도스는 3인칭 인칭대명사형인데 형용사로 전용될 수 있는 이유는 그 형태에 있어서 일반 형용사처럼 남성형 여성형 중성형이 존재하기 때문임
- 아웃도스의 형태는 인칭 되면 32층 형태와 완전히 동일함
- 아웃도스가 특별법으로 사용될 때 의미가 두 가지로 분화되는 것은 용법을 반영하는 것임
05:13 ~ 11:29
아웃도스의 특별 용법
- 아웃도스는 특별 용법으로 사용된 아웃도스는 형용사처럼 성과 수와 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함께 사용되어 언어적 배열에 따라 언어적 배열이라는 건 뭐예요? 관사 명사 아웃도스 이렇게 세 가지가 나왔을 때 특정한 배열을 따르게 된다는 것임
- 특별 용법은 다음 두 용법들 중 하나에 속함
- 동일 대상 표현 용법은 아웃도스가 와서 우리가 얼핏 보기에는 모처럼 보임
- 동일 대상 표현 용법은 아웃도스가 와서 인칭 대명사처럼 보이지만 아웃도스도 남성 단소 주격 뒤에 나오는 큐리오스도 남성 단소 주격 그리고 관사도 나왔잖아요. 이 아우토스가 명사를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명사와 짝을 이루어서 함께 나왔으니까 얘는 더 이상 대명사가 아니라 특별 용법이라고 보는 게 적절함
- 동일 대상 표현 용법은 아웃도스 앞에 관사가 오면 동일 대상을 지시하는 용법임
- 동일 대상 표현 용법과 구분하기 위해서 강의존 용법은 아웃도 사페에 관사를 놓지 않는다라고 정도까지만 정리하면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 같음
[성경헬라어교본-10(5/6)] "아우또스" 특별용법(형용사적 용법) 계속과 어휘
https://youtu.be/9nOueFxCgVU?si=Uzc2yoqfT1gPYdUO
주요 주제
- 강의적 용법과 동일 대상 표현 용법의 사용 제한
- 인증 대명사와 강의적 용법의 차이
- 아웃도스와 강의적 용법의 사용 방법과 의미
다음 할 일
- 강의적 용법과 동일 대상 표현 용법 제한적 등장 파악
요약
00:00 ~ 01:00
강의적 용법
- 강의적 용법은 동사 어미에 포함된 주어와도 사용될 수 있음
- 동일 대상 표현 용법도 제한적으로 등장함
- 강기정 요법은 굉장히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함
02:04 ~ 03:13
성경 핼러의 주교 형태
- 인증 대명사가 표현하지 않아도 되는데 주기 형태가 나오면 강조가 됨
- 아웃도스는 인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
- 성경 핼러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교 형태가 주어로 사용되지 않는다는 잠정적 합의가 있음
04:20 ~ 07:40
아웃도스의 용법
- 아웃도스는 3인칭 인칭 대명사 남성 단수 주격임
- 아웃도스는 특별 용법으로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함께 사용돼서 그 앞에 관사가 없을 때 강의적 용법으로 사용됨
- 숨어 있는 주어의 성숙격이 아웃도스와 어떤 관계를 이루는지 살펴봐야 함
08:54 ~ 11:03
너라는 말에 얽매이지 마세요
- 너라는 말에 얽매이지 말고 너는 남성 혹은 여성 단수 주격의 표현이구나라고 이해하라고 함
- 숨어 있는 주어와 동사에 숨어 있는 주어와 성수역을 일치시켜서 사용된 용법인 것을 기억하고 적용하면 됨
12:20 ~ 16:10
중성 복수 주격의 단수형 동사
- 중성 복수 주격이 단수형 동사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고 허용되는 규칙 정도라고 이해하면 됨
- 동사는 복수형이 나와야 되는데 발견하다 동사에 현재 능동태 직설법 단수 3인칭형이 나왔다는 것은 주어는 복수인데 동사는 단수 사위칭이라는 것임
- 형용사로 쓰일 때는 동일 지식 표현 동일 대상 표현을 하거나 강요적으로 사용됨
[성경헬라어교본-10(6/6)] 제10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H3HLjm28F4w?si=4ThrVemEvEs7XVAy
주요 주제
- 헬라어의 대명사와 형용사의 사용 규칙
- 중성 복수 주격과 단수 동사의 사용 가능성
- 인증 대명사와 주어의 복수 형태
다음 할 일
- 중성 복수 주격 명사와 단수 동사 사용 가능성 검토
- 헬라어 교본 10과 복습
요약
00:01 ~ 03:12
지지사
- 헬라어 교본 10과 기초 문장 연습을 함께 풀어보도록 하겠음
- 지시 대명사 혹은 지시 형용사 같은 게 나오니까 이 점을 주의하면서 문제를 보도록 하겠음
- 첫 번째 단어는 h도스임
- h도스는 남성 단수 주격 형태임
- 지지사는 대명사도 될 수 있고 형용사도 될 수 있음
- 지지사는 남성 단수 주격임
- 지지사는 명사와 지시사가 나오면 지지사가 항상 우선권을 갖는다는 규칙이 있음
04:44 ~ 06:33
해 아들패의 보호
- 해 아들패가 보호가 된다고 보시면 됨
- 뒤에 에스틴이 나온 거는 이미 앞에서 살펴봤던 이 형태와 동일하다고 보시면 됨
- n 글래시아 an HRS 따 스 아르스 이렇게 됨
08:06 ~ 09:44
휴리스코 동사의 의미
- 휴리스코 동사는 발견하다 의미니까 그나 그녀가 발견한다 이렇게 해석하면 됨
- 중성 복수 주격이면 그 아이들이 되겠고 중성 복수 대격이 되면 그 아이들을 이렇게 됨
- 이 경우에 문맥이 결정해 줘야 되니까 하나는 댓글 수밖에 없으니까 삭제를 해야 되는 것임
11:04 ~ 15:53
중성 복수 주격 명사의 단수 동사 사용
- 중성 복수 주격 명사는 단수 동사와 사용될 수 있는 헬라어에 동사 어형 규칙이 있음
- 중성 복수 주격에 한해서 단수 동사가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음
- 중성 복수 주격이니까 앞에 있는 동사가 단수여도 별 큰 문제가 없다고 될 수 있는 것임
17:24 ~ 20:37
엘레겐의 의미
- 근층 지지사 중에서 대명사니까 앞에 나오는 명사들 중에 남성 단수 명사와 관련돼 있는 걸 찾아야 됨
- 엘레겐이라는 단어는 기본형이 레고 동사에 미완료 과거 능동태 직설법 단수 3인칭임
- 아웃 도이스는 우리 앞에서 살펴봤던 아웃 도스 오해 인칭 대명사 3인칭 남성 복수 역격이니까 우리 말로 하면 그들에게가 됨
- 뒤에 나온 빼리라는 단어는 속격과 함께 쓰여서 무엇 무엇에 대하여라는 의미임
22:29 ~ 26:17
동사의 단수 2인칭
- 4번 문제는 문장이 굉장히 짧지만 어려운 내용이 있어서 신중하게 잘 풀어야 함
- 동사는 단수 2인칭인데 주어는 3인칭이 나와서 어려움이 생김
- 동사가 2인칭이면 주어도 2인칭이 나와야 하는데 동사는 임의로 바꿀 수가 없음
- 동사가 2인칭이면 주어도 2인칭이 나와야 하는데 동사가 임의로 바꿀 수가 없으면 앞에 나오는 아웃대를 보고 성이 여성이구나라고 알 수 있음
27:49 ~ 29:48
사랑의 복음
- 사랑의 복음을 해석하면 됨
- 뒤에 나오는 단어 코스는 남성 단수 역경이 됨
- 얘는 세상에게 이렇게 해석하면 됨
30:17 ~ 36:44
d 패스의 여성 단수 속격 관사
- d 패스는 여성 단수 속격 관사임
- d 페라는 여성 단수 속격이니까 자매라고 해석하면 됨
- ab 동사의 현재 직설법은 그 아들이 어떻게 됐느냐 바로 그 아들이 어떻게 됐느냐 바로 그 아들이 어떻게 됐느냐 바로 n임
- am 동사의 미완료 과거 직설법 단수 3인칭은 그 아들이 뭐 뭐 뭐였다 혹은 있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됨
- am 동사의 미완료 과거 수동태 직설법 단소 3인칭은 그나 그녀나 그것이 선포되고 있었다라고 해석하면 됨
- 남성 단수 주격 뒤에 나오는 단어는 남성 단수 속격 명사인 로고스임
- 남성 단수 속격 명사가 앞에 있고 앞에 관사가 없으니까 얘는 강조적 용법, 강의적 용법임
- 여성 단수 역격 바실레이아는 여성 단수 역격이고 그 왕국에겐 뒤에 따우 떼가 나왔는데 따우 떼는 남성 단수 역격임
38:11 ~ 41:45
따우데의 의미
- 따우데라는 단어는 후토스 하우떼 뚜또라는 지시사에 여성 단수 역격인데 지 지사는 대명사일 수도 있고 형용사일 수도 있다고 얘기했는데 이 경우에는 성숙격 일치하는 명사가 바로 앞에 있으니까 지시 형용사고 바로 이런 뜻임
- 이 왕국에게라고 해석을 하시면 되는 것임
- 이런 점들을 다 고려해서 해석을 해보면 자매의 아들이 거기에 있었다. 그 말씀 자체가 동일한 자에 의해 왕국의 선포되고 있었다 이렇게 해석이 가능함
43:08 ~ 48:24
호띠의 의미
- ns라는 표현이 온 단어는 k nos AO에서 원칭 지지사임
- 이 원쟁 지지사의 남성 복수대격은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으면 대명사가 되고 없으면 형용사가 됨
- 호띠는 접속사로 이런 뜻임
- 아웃도는 인칭 대명사 3인칭 단수 남성 단수 역격으로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주변에 없으니까 인증 대명사를 가리킨다고 보면 됨
49:50 ~ 56:21
지시 형용사의 개념
- 지시 형용사는 호이 뽀네로이 앙겔로이를 한정해 주는 거라고 이해하면 됨
56:50 ~ 58:30
선한 자들의 천사들
- 천사들이 한을 밖으로 내쫓긴 것처럼 신적 수동태로 보면 하늘 밖으로 내던져지고 있었다라고 해석할 수 있음
- 선한 자들은 천사들로 하나님과 함께 있었다라고 해석할 수 있음
59:43 ~ 1:01:14
성수역의 일치
- 성수역이 일치하는 명사가 없으니까 대명사처럼 보이지만 주어가 복수 1인칭임
- 우리 말의 우리라는 표현이 남성 복수 주격과 일치한다고 봄
- 우리 자신이 소유할 것은 중성 단수 대격 유앙 갤리온임
1:02:39 ~ 1:05:57
우리 인칭 대명사
- 우리의 마음은 인증되면서 1인칭 복수 형태인 우리 인칭 대명사가 있음
- 우리의 마음은 d 다 스 꼬 동사에 미래 능동태 직설법 단수 복수 1인칭이 됨
- 우리는 복음을 소유할 것이고 너희에게 가르칠 것이다라고 해석이 가능함
1:07:38 ~ 1:14:10
중성 복수 주격
- 중성 복수 주격은 단수 동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
- 중성 복수 주격은 집이라는 뜻의 오익본과 함께 사용됨
- 오익본은 여러 번 나왔음
- 오익본은 집이라는 뜻의 남성 난소 대격임
- as 대교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다에서 as는 대격임
- as 대교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다에서 뒤에 나온 단어는 집이 아니라 저 집이라고 해석하면 됨
1:14:43 ~ 1:16:36
미완료 과거의 시작
- 미완료 과거가 시작을 나타낼 때가 있음
'신학 자료 > 원어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1~12과) (0) | 2025.02.18 |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6-8과) (4) | 2024.09.26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4-5과)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