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헬라어교본-13(1/6)] 완료시제 개론
https://youtu.be/1pAiriVh9KM?si=O6OQyrqFUSUq17K3
주요 주제
- 핼러어 동사의 6가지 시제와 그 의미
- 현재 완료와 과거 완료의 차이점과 사용 이유
- 완료 시제가 사건 자체의 영향력을 강조하는 것인지, 현재 결과물을 강조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
다음 할 일
- 완료 시제에 대한 이해 향상을 위한 학습 계획 수립
- 헬라어 동사의 6가지 시제에 대한 학습 진행
- 완료 시제 형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자료 탐색
요약
00:00 ~ 02:39
핼러어 동사의 시제
- 우리가 지난 시간까지 12과까지의 내용을 통해서 명사도 배우고 동사도 배웠는데 특별히 동사와 관련해서는 동사의 4가지 시제를 배움
- 헬러어 동사는 6가지의 시자가 있다고 얘기했으니까 4가지를 배우면 핼러어 동사를 다 공부한 거라고 얘기할 수가 없음
- 13과에서 완료와 관련돼 있는 하나는 그냥 완료고 다른 하나는 과거 완료지만 어쨌든 완료라는 이름이 들어간 동사 시절을 배움으로써 핼러어 동사 하나가 가질 수 있는 6가지 시제를 우리가 모두 다 공부할 수 있다 혹은 공부하게 된다라는 걸 기억하면 좋을 것 같음
03:59 ~ 05:13
완료의 부정적인 이미지
- 완료에 대한 부정적인 삼박자가 맞아떨어져서 완료에 대해서 등한시하거나 소외를 시키는 경우가 많음
- 완료는 어렵다라는 인상이 남게 되는 경우가 있음
- 완료는 그냥 현재 미완료하고 미래 부정 과거가 한 동사에 나타나는 것처럼 완료와 과거 완료가 6개로 짝이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됨
06:20 ~ 07:34
헬러어 동사의 시제
- 헬러의 여섯 시제 한 동사의 6가지 시제의 구성이 된다라는 걸 이해하면서 한 번 쭉 공부에 열을 올려주시기를 부탁드림
- 헬러어 동사는 6가지 시제를 가지고 있고 앞서 현재 시제 3과와 7과에서 배웠고 13.1에 5동사의 완료 능동태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음
08:46 ~ 12:34
과거 완료 시제
- 과거 완료 시제는 시간적으로는 과거와 과거가 아닌 것으로 대비가 되지만 유사한 개념을 전달함
- 과거 완료 시제는 드물게 등장한다는 점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는 완료에 초점을 둔다고 이해하면 됨
- 완료 시제는 능동태 어간과 중간 수동태 어간이 다르다는 점에 주의해야 함
13:33 ~ 18:36
완료 능동태어관과 중간 수동태어관
- 완료 능동태어관과 중간 수동태어관이 형태적으로도 다를 수 있음
- 완료형의 의미에 있어서 동사형이 과거에 발생한 사건 자체의 지속적 영향력을 강조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 사건으로 인한 현재의 결과물에 강조점을 두는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음
- 헬라어에서는 과거에 발생한 사건 자체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에도 완료를 사용함
19:37 ~ 24:16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영향력
- 완료는 사건 자체가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음
- 완료는 현재 결과물이 있어야 되니까 지금까지도 예수님이 뭐 하고 있어야 된다는 개념으로 하면은 죽은 어떤 시신이 있어야 되는 거임
- 예수님은 어떻게 하셨음? 부활하셨음
- 우리가 생각하기에 현재 완료의 영어의 개념으로 볼 때에는 완전히 성경을 오독할 수가 있음
-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의 영향력이 오늘날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있는 것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완료 시제 형태를 써가지고 그의 죽으심 사건과 더불어서 그로부터 지속되는 영향력이 꾸준히 있고 그리고 사도께서 그 사건 자체를 강조하기 위해서 완료를 사용한 것임
[성경헬라어교본-13(2/6)] 완료 능동태 직설법
https://youtu.be/Enb2UarchuU?si=CN1ZJVtpyKi6XUTd
주요 주제
- 어간 형태의 변화와 그 의미
- 부정 과거 시제와 그 형태적인 특징
다음 할 일
- 제2 완료형 특징 및 탈락 이유 파악 필요
- 완료 시제의 형태와 어간의 관계 파악 필요
요약
00:01 ~ 01:13
지사법의 형태
- 완료 능동 때 지사법 형태가 어떻게 되는지 형태적인 것들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배워보도록 하겠음
- rrcc가 정형이고 랠리 깐이라는 형태는 파생형임
- r는 어간 형태가 바뀌지 않음
02:35 ~ 04:17
부정 과거의 형태
- 부정 과거 제일 부정 과거 같은 경우에 시그마 알파 붙이듯이 까바 알파를 붙임
- 어미는 까 가스 까맨 까떼 까시 이렇게 됨
- 깐이라는 형태도 나타날 수 있다고까지만 이해하면 좋을 것 같음
05:44 ~ 07:11
어간의 중복
- 어간에 첫 자음을 중복해서 l을 붙여주고 뒤에 깔를 붙여줌
08:03 ~ 12:10
완료형의 형태
- 완료 형태가 모든 동사의 원형에 가깝다라고 이해하는 사람들도 있고 미래의 형태가 원어형에 가깝다라고 얘기하는 경우가 많이 있음
- 어간 중복은 완료 어간의 첫 철자를 중복하고 삽입 모음 엡실런을 붙여 만드는 것임
- 완료 시제도 제2 완료형을 가질 수 있는데 까바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탈락한 형태를 제2 완료형이라고 함
13:32 ~ 18:11
어간의 변화
- 완료라고 해서 꼭 현재 형태와 어안이 동일해야 되는 건 아님
- 어간이 안 바뀌었는데 그냥 까바가 탈락을 해서 개 그라파가 됨
- 얘는 의미가 변경이 되고 의미가 변경이 되고 어간도 좀 바뀌고 까빠가 탈락한 형태임
- 이런 경우에는 그냥 외우면 좋음
[성경헬라어교본-13(3/6)] 완료 어간 중복 법칙
https://youtu.be/-gRGI7TE_9c?si=D-HiYuUdXH45UMl6
주요 주제
- 어간 중복 법칙과 그 형성 방법
- 자음 중복과 그 특징
- 이중 자음의 경우와 그 적용 방법
다음 할 일
- 이중 자음 적용 시 엡실론만 붙이는 규칙 검토
- 완료 형태 디퍼런트 형태 파악
- 자음 중복과 어간 중복 규칙 검토
-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 대한 이중 적용 검토
요약
00:00 ~ 02:59
어간 중복 법칙
- 어간 중복 법칙은 완료형은 어간 중복을 통해 어간을 형성하고 동사의 형태가 형성됨
- 중복 어간은 단어의 첫 철자를 중복하고 삽인모 엡실론을 첨가한 후 단어에 붙여서 만드는데 첫 철자가 단자음인 경우는 억안 중복이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음
- 염두에 두고 다음에 4가지로 정리해서 접근하는 것이 그나마 수월함
04:15 ~ 05:44
자음 중복
- 거센 소리로 시작되는 단자음 단어는 중복할 때 된소리로 바꿔서 철자를 표시해 줌
- 이중 자음 같은 경우에는 크시나 푸시 이런 것들이 이중 자음임
- 자음 중복은 자음 2개가 연속되는 것들을 이야기하는 것임
07:10 ~ 08:26
이중 자음의 표기
- 철자가 2개나 3개가 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삽입 모음 앱슐로만 붙이고 뒤에다가 나머지 어안을 표시해 줌
- 이중 자음이 오는 경우에는 엡실론만 붙여줌
- 완료 형태가 되면 디퍼런트 형태가 됨
09:43 ~ 14:31
이중 자음의 중복 회피 현상
- 이중 자음의 중복 회피 현상에 대한 예외로 그라파 동사 같은 경우에는 제2 완료형이라는 특징은 있지만 어쨌든 개만 이렇게 써준 경우가 있음
- 일반적으로는 위에 있는 규칙을 따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니까 주의해야 함
-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빈 모험 엡실론을 앞에다 붙이니까 모음이 어떻게 될까요? 길어지는 거임
- 아르코 에르카는 완료가 되면 약간 이상하게 바뀜
- 휴레카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휴레카는 휴를 했다라는 뜻임
- 모음의 이중 적용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성경헬라어교본-13(4/6)] 완료 중간 및 수동태 직설법과 과거 완료
https://youtu.be/CFR2XmJkBT4?si=Jz_PzcJ5_dCe_Odt
주요 주제
- 완료 중간 수동태 형태의 특징과 학습 방법
- 과거 완료와 수동태의 차이점과 사용 방법
- 동사의 6가지 시제 형태와 특징
다음 할 일
- 과거 완료와 수동태 형태 차이점 파악
요약
00:01 ~ 01:00
중간 수동태 형태의 관
- 완료 중간 수동태 형태는 명동태 형태의 어관이 따로 있고 중간 수동태 형태의 관이 따로 있음
- 중간태와 수동태 형태를 같이 배운다는 말은 어안을 같이 쓴다는 의미도 있지만 형태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함께 공부할 수 있다는 것임
- 리오 동사의 완료형 어간이 랠리가 되는 것은 어간 자체가 바뀌지 않는다는 특징 때문에 발생한 것임
02:37 ~ 03:59
완료 중간 수동태의 특징
- 완료 중간태 혹은 수동태형의 어미는 마이사이따이 메타스테 은따이임
- 완료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완료 중간대 수동태의 특징은 어간을 만들 때 자음 모음이든 어간 중복을 해주고 뒤에 어미가 붙는데 완료에서는 삽입 모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것임
- 완료 중간 수동태에서는 아예 모음을 넣지 않고 어미만 붙여서 만들었다라고 기억하면 됨
05:05 ~ 06:20
완료의 특징
- 마이사이따이 메타스테 은따이는 여러 번 반복해서 익숙하게 해놓으면 쉽게 마스터 할 수 있는 소리임
- 완료 중간 수동태형에서는 능동태형과 달리 접사 까바 알파가 없음
- 엡슬론이나 오미크론이 추가되지 않았다는 점이 우리가 알고 있는 완료의 특징과는 사뭇 다른 요소임
07:41 ~ 11:24
완료 시제
- 완료 시제는 시그마가 탈락하고 단축되면서 애가 됨
- 완료 시제는 수동태와 직설법 형태가 동일함
- 완료 시제는 수동태와 함께 사용되는 표현들이 있기 때문에 잘 구분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많음
12:49 ~ 13:54
과거 완료의 능동태 형태
- 과거 완료는 수동태 중간태 형태가 분명히 있을 텐데 거의 쓰지 않기 때문에 능동태 형태만 따로 공부함
- 과거 완료 어간은 자음 중복이 있는데 항상 붙여주지는 않음
- 어간 중복과 어미를 보고 과거 완료인지를 추측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임
15:33 ~ 16:58
과거 완료의 특징
- 과거 완료는 억압 모음이 a인 것이 특징임
- 각각의 부정 과거 제일 부정 과거는 사스 세 완료는 깎아 쓰기가 있음
- 과거 완료는 어안 중복이나 이런 것들이 중요한 특징임
18:16 ~ 19:40
동사의 완료 형태
- 동사의 6가지 시제 형태에 대해서 다룰 때 12개까지 배웠던 내용에서 남겨놨던 두 가지 완료 형태와 과거 의료 형태를 살펴봄
- 동사의 6가지 어간 형태와 시제를 다 배운 거라고 말할 수가 있음
[성경헬라어교본-13(5/6)] 동사의 6어간 및 어휘
https://youtu.be/3wgj5tWVpxU?si=_yoD2aj6gsxaw3sv
주요 주제
- 단어 선별 방법과 중요도
다음 할 일
- 빈도수 높은 단어 선별 작업
- 중요한 단어들의 어안 변화 파악
- 동사의 완료 형태에 대한 추가 검토
- 여성 부분에 대한 동사 개수 제한에 대한 확인
요약
00:00 ~ 02:02
단어 암기의 중요성
- 교재를 만들 때 350개에서 400개 정도의 빈도수가 높은 단어를 선별을 해서 연습 문제도 만들고 도표도 만듦
- 대다수는 많이 사용되는 단어들을 가지고 책을 만듦
- 중요한 단어들 중에서 어안이 바뀌는 단어들이 꽤 있음
- 무조건 다 암기를 해야 됨
04:32 ~ 10:34
동사의 여성 부분
- 동사의 완료 형태가 성경에는 안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마 뺀 것으로 보임
- 동사의 여성 부분에 대한 개수가 제한돼 있는 게 아니라 훨씬 더 많은 개수의 동사들이 있음
[성경헬라어교본-13(6/6)] 제13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3WfWspca41M?si=HOMm93FHql6JUl_G
주요 주제
- 관사에 의한 성수격 일치의 중요성
- 형용사와 명사의 의미 이해를 위한 문제 풀이
- 왕국의 복음을 위한 해석의 차이
다음 할 일
-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하여 기록되었다라는 해석
- 왕국의 복음을 위하여 해석에 주의
- 관사에 의해 묶여져 있는 형태에 대한 이해
- 완료 수동태 형태에 대한 학습
요약
00:01 ~ 03:54
관사에 의한 성수격 일치
- 관사 형용사 명사가 모두 성수격이 일치하고 관사에 의해서 묶여져 있는 형태임
- 해석을 하면 의로운 아들이 풀었다 혹은 풀어주었다 다 가능함
05:27 ~ 06:41
전치사구 해석
- 전치사구 해석은 항상 뜻은 명사가 주지만 해석은 전치사로 한다는 개념을 잘 기억하면 좋을 것 같음
- 단어 형태는 조금 어떤 형태를 유추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서 이럴 경우에는 그냥 단어를 외우는 게 좋음
08:03 ~ 12:29
디다케의 의미
- 디다케라는 명사는 여성 단수 대교 형태로 가르침이라는 뜻임
- 떼스 디다 캐스는 악구 동사 뒤에 속격형 명사 속격형 목적어가 왔다고 볼 수도 해석하는 게 좋음
- 뒤에 나온 2라는 단어는 남성 혹은 중성 단수 성격으로 뒤에 나오는 이해수라는 명사가 남성 명사니까 남성 단수 수격이 된다고 보면 됨
- 휘메이스 al 까메 까데 또 꽃스모 베리 휘뚜테우의 경우에도 첫 번째 있는 단어를 잘 이해해서 해석하면 됨
13:45 ~ 16:01
하나님의 아들
- 뒤에 나온 석현 명사가 앞에 나온 수를 한정해 준다고 보면 됨
- 하나님의 아들에 대하여 말했다라고 해석하면 됨
- 관사를 붙인 이유는 문맥상 그렇게 붙인 것임
17:31 ~ 21:35
개그랍다의 의미
- 완료 수동태 형태가 많이 등장하지 않는데 개그랍다이라는 형태는 신약 성경에 구약 성경에서 기록되어지기를 이렇게 쓰잖아요. 그런 표현과 관련해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니까 익숙하게 해놓으면 좋을 것 같음
- 기록되어진 그 내용을 이야기하는 것임
- 관사 하나가 나왔는데 명사가 2개가 연속을 함
- 첫 번째 명사는 프로페타스임
- 관사가 남성 복수 대격이고 뜻은 선지자임
23:01 ~ 27:27
하나님의 말씀
-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하여 기록되었다라고 해석이 될 수도 있지만 이 사람들 때문에 하나님 말씀이 기록이 됐다라고 해석하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됨
- 아보스 로스 빼삐스 뛰 또 크리스토 에디 까이 메따뚜 유앙겔리유 뽀류에따이 에이스 톤 코스몬은 명사와 동사와 관련돼 있는 것들을 붉은색으로 칠하고 파란색으로 칠한 것임
- 아포스 또 로스는 남성 단수 주격이고 사도라는 뜻임
- bbs는 완료 시제 배우면서 여러 번 반복적으로 보듯이 어간 b가 중복되고 캔이 와서 믿다가 됨
- 얘는 역격형 목적어를 취함
27:56 ~ 33:42
복음의 복음과 함께
- 복음의 복음과 함께라고 해석하는 것이 적절한 것일 수 있음
- 복음과 함께 그 세상 안으로 간다라고 해석하면 됨
- 파이디아 개고낸 하이야 디아도 유왕 갤리우 또 이예수 디아도 또 대 타우 마제 호 오클로스는 완료 형태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음
34:56 ~ 37:00
중성 복수 주격
- 중성 복수 주격인 하기아라는 단어는 거룩한이라는 뜻임
- 형용사인데 성숙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는데 명사 앞에는 관세가 있고 형용사 앞에는 관사가 없음
- 서술적 용법으로 해석하면 주어가 거룩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석하면 됨
- 뒤에 디아라는 전치사가 등장하는데 속격 대격 다 쓸 수 있는데 속격과 함께 쓰이면 무엇무엇을 통하여인데 얘는 공간을 나타낼 수도 있고 중재를 나타낼 수도 있음
38:10 ~ 43:48
디아의 의미
- dia가 앞에서는 속도 가스였는데 이 경우에는 대경학에 쓰여서 얘는 이 경우에는 무엇 무엇 때문에 정도가 해석이 되고 뒤에 보니까 뭐가 나왔냐면 뚜또라는 게 나옴
- 중성 단수 대격이 되는 이유는 dia가 대격과 함께 쓰이니까 대격으로 보는 게 맞음
- 휴렉과 뗀 알레테이안 앤 때 디다케 또 이해수 에고 운 헤카스댄 또 엔돌론 누락소 헤오스 데스 에스카 데스 헤메라스는 문장 하나하나를 분해해서 자연스럽게 적용을 하면 큰 어려움이 없음
45:11 ~ 46:44
여성 단수 대격
- 각각의 것은 여성 단수 대격이고 각각의 것을 내가 이렇게 해석을 하는 것임
- 라소라는 단어에서 왔고 얘는 미래 공동세 디지털법 단순 1인증이고 얘는 실행하다 이런 뜻임
48:05 ~ 53:53
에스카토스 에온
- 주어가 인칭 대명사랑 강조가 되니까 내 자신은 이렇게 해석할 수 있음
- 에스카토스 에온이라는 단어에서 온 에스카 테스는 형용사임
- 얘가 형용사니까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에 있는지 없는지를 봐야 함
- 얘가 여성 단수 수격이니까 얘는 날이라는 뜻 둘 다 됨
- 얘는 나를 한정하는 한정적 용법이라고 볼 수 있음
55:20 ~ 1:01:32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
- 왕국의 복음을 위하여는 어떤 왕국이냐 어떤 내용이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짐
- 우리가 그 율법의 죄 안으로 온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위하여라고 해석할 수 있음
- 우리가 그 율법의 죄 안으로라고 한 것은 목적과 관련된 뉘앙스가 있음
- 우리가 왔다라는 말이 포함돼야만 적절하게 해석이 됨
1:02:50 ~ 1:07:53
헬러의 규칙
- 헬러에서는 자유롭게 사용하는 어떤 규칙들이 있음
- 헬러에서 사용하는 단어들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문제를 풀어봄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14과(1/4)] 관계대명사의 형태 - YouTube
주요 주제
- 관계대명사의 형태와 성격
다음 할 일
- 관사와 관계대명사의 성격 이해
- 관계대명사의 형태와 모음에 강기식과 악센트 적용
- 관계대명사의 성, 수 일치 확인
- 중성 단수형에서 명사류의 오수형 적용 검토
요약
00:00 ~ 02:25
관계 대명사의 성
- 관계 대명사는 지시하는 명사의 성과 수가 일치해야 함
- 관계 대명사는 선행 명사의 성과 수가 일치되고 격은 관계대명사가 속한 문장의 의미에 따라 자유롭게 적용하면 됨
- 관계 대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이 다 따로 있고 주격, 대격이 동일함
04:12 ~ 12:44
관사류의 오형태
- 관계대명사의 형태는 제12 고경 어미와 동일함
- 관계대명사의 어미는 모 모음으로 구성된 어미만 사용되고 각 형태의 모음에 강기식과 악센트가 붙어 있음
- 중성 단수형에서 명사류의 오수형이 아니라 관사류처럼 오형태를 따름
- 관사는 명사와 함께 성수격이 일치시켜서 사용되기 때문에 남성 여성 중성 단복수 주속 여대 형태가 다 존재함
- 관사와 관계대명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관사와 관계대명사에 갖고 있는 성격을 잘 이해하면 됨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14과(2/4)] 관계대명사의 용법 - YouTube
주요 주제
- 관계대명사의 해석 방법과 의미 파악
- 격동화 현상과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의 의미 파악
다음 할 일
- 관계대명사의 의미 파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의 형태 고려
- 관계대명사의 격동화 현상 이해
요약
00:00 ~ 00:52
관계대명사의 특징
- 관계대명사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른 대명사들과 달리 한국어에서 표현되지 않기 때문임
- 관계대명사가 어떤 명사를 지시하는지를 찾아서 그 뜻을 위에다 적어놓고 이후에 관계대명사가 속해져 있는 관계절을 해석을 해서 주 문장과 관계조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문장을 번역하면 됨
02:01 ~ 03:19
관계대명사의 여성 단수 대격
- 관계대명사가 포함되어 있는 문장을 우선 해석한 다음에 주절과 연결시키면 됨
- 관계대명사를 분해하고 무엇을 지시했는지 찾는 게 중요함
- 관계대명사의 여성 단수 대격은 마리아를 가리킴
04:35 ~ 06:07
마리아의 인도
- 관계대명사 절의 의미가 안으로 들어가야 함
- 마리아가 말씀을 가르친다와 내가 마리아를 인도한다를 합쳐야 함
- 내가 인도하는 마리아를 생략하고 마리아가 말씀을 가르친다로 해석하면 됨
07:35 ~ 10:53
관계대명사의 격동화 현상
- 관계대명사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 격동화 현상과 선행서 없는 관계대명사라는 두 가지 용법이 관계대명사와 관련해서는 어려운 부분임
- 격동화 현상은 관계대명사가 격동화 현상을 겪게 되는 규칙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12:13 ~ 18:08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 대명사
- 격동화 현상으로 인해 형태는 변경됐지만 의미는 여전히 목적어로 사용돼야 함
- 격동화 현상이 일어난 이유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의미가 분명한데 읽기 위한 발음을 유사성을 만들어주거나 하는 어떤 의도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됨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 대명사는 선행사 없이 단독으로 등장하여 사용되기도 함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 대명사는 선행사를 포함한 것으로 보고 각각의 성에 따른 형태를 고려해 문맥에 따라 번역을 하면 됨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14과(3/4)] 소유형용사(형태와 용법)와 어휘 - YouTube
주요 주제
- 소유 형용사의 기원과 변화 형태
- 소유 형용사의 기능과 의미
- 요한계시록 3장 2절에서 언급된 푸시케와 로소본의 의미와 기능
다음 할 일
- 요한계시록 3장 2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 소유 형용사의 의미에 대한 분석
- 연습 문제에 대한 노트 작성
- 성수격에 따른 변화 형태 파악
요약
00:00 ~ 01:12
소유 형용사의 특징
- 소유 형용사는 인칭 대명사 속격의 특징을 담고 있는 형용사임
- 인칭 대명사 강세영 속격형인 mo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인칭 대명사의 속격형보다 소유자의 의미가 조금 더 강화됨
- 소유 형용사는 성수격에 따라 변화 형태가 존재함
02:05 ~ 03:46
형용사의 복수형
- 형용사이기 때문에 2010 2곡을 따라간다는 점 주의하면서 따라 읽어봤으면 좋겠음
- 남성형부터 한번 따라 해보겠음
- 남성이 한번 따라해보겠음
05:04 ~ 06:28
중성형의 단수와 복수
- 중성형은 단수와 복수가 항상 일 주격과 대격이 항상 동일하니까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한번 따라가 보겠음
- 2인칭 같은 경우에는 우리말로 하면 너의 너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우선은 단어가 좀 바뀌겠지만 만들어지는 원리는 똑같음
08:23 ~ 09:59
소유 형용사의 특징
- 소유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처럼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와 함께 사용됨
- 소유 형용사는 한정적 혹은 관용적 요법 서술적 요법 및 독립적 요법으로 사용됨
- 소유 형용사는 명사를 한정해 주는 기능이 있음
11:18 ~ 14:23
소유 형용사의 의미
- 소유 형용사가 갖고 있는 어떤 의미 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 요한계시록 3장 2절에 보면 요한계시록 3장 2절에 보면 소유 형용사가 갖고 있는 어떤 의미 때문에 생기는 문제임
15:52 ~ 18:18
푸시케의 의미
- 푸시케는 일반적으로 혼 영혼을 가리키기도 하지만 히브리적 표현에서는 삶을 가리킬 때가 있음
- 로소본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관계 대명사와 관계 부서를 보면 호는 관계 대명사처럼 관계 대명사는 명사와 관계자를 연결하는 거지만 관계 부사는 어떤 장소 명사와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연결해주는 기능을 함
- 연습 문제는 책에다 쓰는 것도 좋지만 노트를 해서 써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함
[성경헬라어교본-14(4/4)] 제14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ECsTbRF7BY4?si=9uoEeg_YG6uHPu3b
주요 주제
- 관계대명사의 해석 방법과 그 중요성
- 관계대명사의 선행사와 그에 따른 해석 방법
- 관계대명사의 동화 현상과 그 해석 방법
다음 할 일
- 관계대명사의 선행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역할, 관계대명사의 해석에 대한 정리
- 관계대명사의 동화 용법, 동화가 되지 않더라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 해결
- 떡들이 나의 것이다 혹은 나의 소유이다라는 해석 연습
요약
00:00 ~ 03:58
관계 대명사의 한정
- 관계 대명사는 대명사이기 때문에 항상 성과 수가 일치하는 명사를 한정함
- 관계 대명사가 남성 단수명사를 한정한다고 보면 됨
05:19 ~ 10:17
관계대명사의 한정
- 관계대명사가 있는 절이 원래 주문장에 있는 절을 한정해줘야 되니까 빨간색으로 된 관계대명사 절을 명사를 꾸며주는 것처럼 바꿔주면 됨
- 우리 말로 이상한 표현이 되니까 묶어서 여기다 넣어버리는 것임
- 해석은 내가 풀었던 그 사람은 하나님의 그 종이다라고 해석을 할 수가 있음
11:31 ~ 13:58
댄의 대격
- 목적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걸 우리 앞서서 한번 공부했음
- 댄은 여성 단수 대격이고 오익기양과 짝을 이루게 됨
- 얘는 oe 키아라는 명사 요구에서 왔고 여성 단소 대격이고 뜻이 집임
- 얘가 대격이 온 이유는 전수사 때문임
- 얘는 관계 대명사니까 성구와 서로 일치해야 함
- 얘는 여성 단수니까 앞에 보니까 여성 단순 변호사가 집밖에 없음
- 얘는 집을 소유했다 이렇게 해석이 됨
15:31 ~ 18:46
오이도맨 따로 소바 돈 떼끄논 하 에파곤 스 아르투스 n 또 또뽀
- 오이도맨 따로 소바 돈 떼끄논 하 에파곤 스 아르투스 n 또 또뽀를 함께 읽어보고 풀어보도록 하겠음
- 오이도맨 따로 소바 돈 떼끄논 하 에파곤 스 아르투스 n 또 또뽀를 보면 a 도맨은 엡실론이 붙고 오명이 붙으니까 미어처럼 생겼는데 얘는 미어구가 아니라 블랙보 동사의 부정 과거 부정 과거 능동태 직설법 복수 1인증 형태가 됨
- 얘는 뜻이 보다임
- 떼끄논이라는 중성 명사에서 만들어진 떼끄논 우 또라는 중성 복수 속격이 되고 어린이죠 아이가 좋을 것 같음
- 포스 h호라는 관계 대명사에 문맥에 따라 결정을 하게 되는데 어쨌든 중성 관계대명사를 써보면 것들임
- 것들이라고 했을 때 이것이 사람을 가리켜야 되는 것임
20:06 ~ 22:55
관계대명사의 역할
- 관계대명사 하에 나머지 것들이 다 걸림
- 장소에서 먹었던 아이들의 얼굴들을 보았다라고 해석이 가능함
23:16 ~ 27:02
아델 패스의 동화 현상
- 헬라의 관계 대명사에 동화 현상을 담고 있어서 어려울 수 있음
- 코가 나왔고 남성 단수 추격이며 뒤에 나오는 단어 피오스는 여성 단수 속격 델 패스는 여성 단수 속격 형태임
- 아델 패스는 자매이고 아델페는 형제가 됨
- 아델 포스는 형제고 아델페는 자매가 됨
- 아웃도스는 인칭 대명사 3인칭 남성 단수 추격이며 마리아의 자매의 아들이 아니라 동격의 같은 성격임
- 아웃도스는 인칭 대명사 3인칭 남성 단수 추격이며 형용사 용법으로 성수격이 일치하면 됨
28:22 ~ 31:08
관계대명사의 동화
- 관계대명사의 선행사가 속격 혹은 역격이고 관계 대명사가 문장에서 배격 즉 목적어 역할을 할 때 대격이 속격 혹은 역격으로 동화한다라는 규칙을 기억해야 함
32:24 ~ 40:02
관계 대명사의 서술적 용법
- 관계 대명사는 이런 느낌으로 해석을 하면 됨
- 관계 대명사는 서술적 용법이 될 수밖에 없음
- 떡들이 나의 것이다 혹은 나의 소유이다 이렇게 해석이 돼야 됨
40:29 ~ 43:22
아델 포의 피스 to 동사의 현재 능동태 직사유법 복수사 미칭
- 삐스 띠 우신은 역격형 목적어를 취함
- 아델 포에서 온 피스 to 동사의 현재 능동태 직사유법 복수사 미칭은 남성 단수 역격임
- 호테우스는 관계 대명사고 남성 난소 대격임
- 호띠는 접속사인데 왜냐하면도 되고 평화의 하나님께서 뭘 하셨느냐에 FS임
44:50 ~ 50:33
하나님의 평화의 하나님
- 하나님께서 우리의 목숨을 인도하시기 때문이다라는 말에다가 혼 호테호스 s ans FMs이라는 이 말이 합쳐진 거라고 보시면 됨
- 우리는 하나님께서 어떤 하나님 평화의 하나님께서 보내셨던 그 형제를 믿는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 7절은 해 깨팔레의 운 데스 에클레시아스 에스틴 이에소스 호휘오스뚜 태우 호스 앞에 타낸 휘페르톤 휘의 때론 푸시콘인데 얘는 여성 단소 대격이고 뜻이 뭐냐면 목숨 혹은 혼임
- 교회의 머리는 예수님 곧 하나님의 아들이시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59:39 ~ 1:03:45
마리아의 교회
- 우리는 그 주님께서 마리아와 함께 말했던 고신 그 교회에 교회를 발견했고 그녀에게 갔음
- 해석해 보니까 발견했고 그곳으로 갔다 해서 이것이 교회를 가리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듦
- 둘 다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설명함
1:04:59 ~ 1:06:23
관계대명사의 격
- 선행사가 속격일 경우 관계대명사는 대격이 됨
- 선행사가 수격일 경우 동화가 일어남
- 형용사적 용법으로 해석하는 게 정석임
1:07:40 ~ 1:09:07
관계대명사의 동화 용법
- 관계대명사까지 고려해서 해석을 해보면 악한 자들이 내던졌던 그 종의 집이 파괴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 자신이 그것 밖으로 나가고 있었다라고 해석할 수 있음
- 관계대명사의 동화 용법, 동화가 되지 않더라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한 번 잘 해놓으면 계속 도움이 되니까 끝까지 노력해 주시기를 바람
'신학 자료 > 원어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5~16과) (0) | 2025.02.18 |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1~12과) (0) | 2025.02.18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9~10과) (0)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