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헬라어교본-11(1/6)] 제1-2부정과거란 무엇인가?
https://youtu.be/0UHpXQ4hBdg?si=7MOWMZUT9ldxOh4f
주요 주제
- 부정 과거의 형태적 구분과 의미
- 부정 과거의 태 및 수화 인층 표현 방법
다음 할 일
- 시그마 알파 접사 활용 방법 학습
- 부정 과거 형태 이해
- 미완료 과거 어미 재활용 방법 파악
요약
00:01 ~ 01:11
부정 과거의 형태
- 부정 과거라는 것을 배우게 되는데 형태는 1과 2로 구분이 되고 어가는 능동태와 중간태 형태에만 적용되는 형태를 공부한다라고 보시면 됨
02:28 ~ 07:31
헬러의 과거 시제형
- 헬러의 과거 시제형은 아오 리스트라고 부름
- 아오 리스트라는 말은 영어로 보면 아우리sd라고 되어 있는데 규정되지 않은 이런 뜻임
- 아오 리스트라는 형태는 과거라고 얘기하지만 영어로는 아우리스트라고 부르니까 규정되지 않은 시제를 얘기하는 것임
- 아오 리스트는 사건이 발생했음만 지시하는 것임
08:24 ~ 09:40
부정 과거의 형태
- 부정 과거는 형태적으로 기본형 혹은 현재 광과 동일한 경우를 1 부정 과거라고 부르고 다른 경우를 이 부정 과거라고 부름
- 부정 과거는 어안이 현재 어감과 다르기 때문에 어안을 보고 부정 과거인 것이 드러남
- 태 및 수화 인층을 나타내기 위해 과거 대표 어미인 미완료 과거 어미를 재활용하면 됨
10:37 ~ 14:37
미완료 과거 어미의 재활용
- 미완료 과거에 어미를 재활용하면 된다는 것은 미래를 만들 때 배웠음
- 부정 과거도 2부정 과거 같은 경우에는 기본형과 현재 형과 구분이 되기 때문에 미완료 과거 어미를 재활용하면 됨
- 1 부정 과거 형태 같은 경우에는 부정어 어관과 현재 어간이 외형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미완료 과거 어미를 재활용하면 형태가 미완료 과거 형태랑 완전히 동일하게 됨
- 이런 문제 때문에 쉽게 말하면 기본형 어감과 부정 과거 어안 형태가 동일한 문제 때문에 그냥 미완료 과거 어미를 재활용할 수가 없어서 시그마 알파라는 독특한 접사를 붙여서 구분점을 만든다는 걸 여러분이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임
[성경헬라어교본-11(2/6)] 제2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
https://youtu.be/VpIn7Nh6S2w?si=mu98xt-2iaDjWPkS
주요 주제
- 2부정거거와 어안의 차이와 암기 방법
- 제2 부정 과거와 미완료 과거 형태의 구분 방법
- 단어 형태를 알고 있어야 하는 이유와 판단 기준
다음 할 일
- 단어 형태 암기 및 제2 부정 과거와 미완료 과거 구분 필요
요약
00:00 ~ 02:18
부정 과거의 활용형
- 부정 과거의 활용형을 공부하겠는데 어안을 외워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음
- 어간 하나만 외우면 어미를 붙이는 문제는 미완료고 어미를 재활용해서 만들면 되기 때문에 2부정거거가 더 쉽다고 생각함
- 어휘를 외우는 일은 어렵지만 어휘를 외워서 거기에 사 어미를 재활용해서 만드는 형태는 더 수월하기 때문에 2부정거거가 좋다고 생각함
03:54 ~ 05:04
엘람바본과 엘라본의 구분
- 미완료 과거 형태는 l을 붙이고 뒤에다가 기본형 어간을 써야 되니까 람바노에다가 미어역과 어미를 붙이면 됨
- 부정 과거는 앞에 l을 붙이고 어간이 라브가 되고 미활용하고 어미 재활용한 어미를 오늘 붙임
- 엘람바본과 엘라본이 나왔을 때 2부전 과거와 미완료 과거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함
06:16 ~ 07:25
에틸론의 특징
- l2로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가 주의해야 될 점은 맨 첫 철자가 모음임
- 모음 앞에 에틸론이 오는 것임
- 미완료 어미를 재활용해서 만든 것임
08:32 ~ 12:21
제2 부정 과거 능동대직설법
- 제2 부정 과거 능동대직설법은 과거 시장 접전 모험 피지원을 붙이고 부정 과거 어간은 기본형과 미완료 과거 능동태오미를 재활용해서 형태로 조업하여 만듦
- 제2 부정 과거 어안을 모를 때에 재활용된 미활여거 어미를 보고 해당 동사가 미완료 과거형으로 오인할 수가 있음
- 기본형과 제2 부정 과거 형태를 따로 암기를 해야 함
- 미완료 과거 어미가 재활용됐기 때문에 제2부정 과거인지 아니면 미완료 과거 형태인지를 암기를 하지 않았으면 모를 수 있음
13:27 ~ 14:17
부정 과거 형태의 특징
- 단어 형태를 다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미완료 과거 형태가 나오든 2부정 과거 형태가 나오든 우리가 1차적으로 기본형에서 나온 미완료 거거 형태인지 부정 거거 형태인지를 판단을 해야 됨
- 부정 과거 억관과 기본형 어안이 차이가 난다는 말은 단지 형태의 차이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적용해서 살펴봤던 이 단어처럼 에루쿠마 LT의 경우에서처럼 기본형에서는 디포넌트 동사인데 부정 과거 형태에서는 일반 동사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까지도 포함함
- 부정 과거에서도 어안의 특징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만 기억하면 됨
[성경헬라어교본-11(3/6)] 제1부정과거 능동태 직설법
https://youtu.be/KxV4E7JLfts?si=VriyvLHccYdKpuZ5
주요 주제
- 제1 부정 과거와 제2 부정 과거의 구분 방법
- 부정 과거 접사와 시그마 알파의 역할과 재활용 방법
- 부정 과거 시제에서 발생하는 자음접변 현상과 암기 방법
다음 할 일
- 제1 부정 과거와 제2 부정 과거 구분 작업
- OS 오메에 떼온 미완료 거미 재활용 계획 수립
- 부정 과거 형태에서 만들어진 건지 아닌지 암기 작업
- 미완료 과거 형태와 동일하게 만든 제1 부정 과거 형태 분석 작업
요약
00:00 ~ 01:03
제1 부정 과거와 제2 부정 과거
- 제1 부정 과거와 제2 부정 과거를 구분함
- 제1 부정 과거는 기본형 형태와 부정 과거 어간 형태가 동일함
- 부정 과거 접사를 붙이는 것이 조치가 됨
02:10 ~ 03:36
리오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
- 리오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가 r임
- 부정 과거 위에다가 l을 다 접두멈을 붙였음
- 태와 수와 인증을 나타내기 위해서 OS 오메에 떼온 미완료 거미를 재활용했음
- 이렇게 되면 뭐가 되냐면 미완료 과거 형태와 동일하게 됨
- 여기에 접사 시그마 알파를 붙인 이후에 어미를 재활용해서 온을 붙였다는 것임
05:03 ~ 06:24
제1 부정 과거의 형태
- 제1 부정 과거는 부정 과거 어간 위에 기본형 어간 현재 어간 이것이 다시 한 번 보면 1번 제1 부정 과거는 부정 과거 억안 리와 기본형 어간 형태가 동일한 동사를 말함
- 이때 제1 부정 과거 능동대 직설법은 부정 과거 시상 접두 모험 엡실론 제1 부정 과거 어간 얘는 기본형 어간과 형태가 외형적으로 동일함
- 구분을 위해서 시상 접사 시그마 알파를 넣고 미완료 과거 능동태 어미를 재활용해서 형태를 만든다고 보면 됨
07:41 ~ 12:59
미완료 미래 동사의 철차법
- 미완료 미래 동사를 만들 때 접사 시그마 알파가 붙었을 때 철차법상 주의해야 될 상황이 발생함
- 부정 과거 시상 접사 시그마 알파가 첨가될 때 미래 시대와 같이 철차법상 주의해야 될 상황이 발생함
- 부정 과거 시상 접사 시그마 알파와 어간의 특정 자음들이 조합될 경우 자음접변이 발생함
14:12 ~ 15:15
미완료 과거 어미의 재활용
- 미완료 과거 어미가 재활용된 것인지 아닌지를 암기하면 됨
- 부정 과거 형태에서 만들어진 건지 아닌지를 암기하면 됨
[성경헬라어교본-11(4/6)] 제1-2부정과거 중동태 직설법
https://youtu.be/HTy4-QVzn0c?si=jCPejHoY5HzqA58B
주요 주제
- 제12 부정 과거 중간태의 형태와 활용 방법
- 부정 과거 중간태의 어간과 어미 형태의 차이와 암기 방법
- 시그마 알파의 첨가와 변형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
다음 할 일
- 부정 과거 중간태형 이해를 위한 도표 활용
- 시그마 알파 첨가 이유 및 미완료 과거와 혼동 방지 방법 파악
- 부정 과거 어간 형태 변화 인지 필요성 강조
요약
00:00 ~ 01:23
제12 부정 과거
- 우리 교재 140쪽에 나오는 12.2 5동사의 제12 부정 과거 중간대 직설법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음
- 제12 부정 과거는 미래 시제와 같이 중간 태형과 수당 태형이 다름
- 어안도 바뀔 뿐만 아니라 어미 형태도 바뀌어서 전혀 다른 형태의 동사의 활용 형태를 갖는다라고 보시면 됨
02:33 ~ 03:32
부정 과거 형태의 어안
- 부정 과거 형태는 현재의 형태 기본형 형태와 부정과거형 형태의 어안이 외형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미완료 과거의 능동태를 재활용할 때 미완료 과거 형태와 헷갈리는 문제가 생김
- 시그마 알파를 넣어준다고 말씀드림
- 부정 악어 형태는 어안이 아예 다르기 때문에 이미 그 억압만 봐도 얘가 부정 악어인 줄 아니까 어휘 쉽게 말하면 태와 수화 인증을 나타내는 이 세 가지 형태 어미를 사용할 때에는 어간이 기본형과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그냥 미완료 과거 어미 형태를 재활용해서 만든다고 말씀을 드림
- 우리가 이런 큰 그림을 가지고 도표를 한번 통해서 곡 활용 형태를 한번 보도록 하겠음
04:46 ~ 06:18
능동태와 중간태의 차이
- 능동태 할 때는 에로코마 동사의 2부정과고 형태인 l톤을 했는데 자동사이기 때문에 중간 형태를 만들 수가 없어서 이 경우에 먹다 동사를 가지고 한번 이 부분을 살펴보려고 함
- sto라는 동사의 부정거거관이 파악을 하는 것이 특징이고 그래서 여기에다가 이제 중간에 어미를 붙여서 그냥 만든 것임
- 능동태든 중간태든 가장 중요한 것은 어간 형태가 바뀐 것을 우선 인지하고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더불어서 이제 미완료 가구 어미가 재활용이 되니까 능동 때 미완료 과고 어미 그리고 중간대 미완료 가구 어미를 잘 외워놓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라는 것을 말씀을 드림
07:49 ~ 11:25
부정 과거 중간태형
- 부정 과거 중간태형은 기본형과 다름
- 부정 과거 어간은 능동태에서 사용된 어간을 사용함
- 시그마 알파를 첨가해 주고 미완료하고 중간 터미를 재활용함
- 시그마 알파에서 알파와 뒤에 나오는 오미크론이 만나는데 이 경우에는 규칙에 따라 축약되는 게 아니라 관습에 따라 싸맨 이렇게 축약이 됨
12:49 ~ 14:03
부정 과거 중간태의 어미
- 부정 과거 중간태의 어미는 사소 사또 사메타사스 테 산토 이렇게 외워서 붙여서 사용하면 우리가 크게 이 일부 정하고 중간에 이 직선법 형태를 정복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 같음
- 부정 과거 접사 시그마 알파의 뒤에 미완료 과거 중간체 어미를 재활용해서 오메누에또오메타스 때 온도를 붙여서 만듦
- 부정과 거형이 미완료 과거형과 혼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시그마 알파를 넣음
15:14 ~ 17:30
수화 인증의 특징
- 시그마 알파가 첨가된 것이니까 억울해할 필요가 별로 없음
- 미활력하고 중간태 어미가 수화 인증을 나타내기 위해 재활용될 때 부정 과거 시상접사 시그마 알파와 일단의 변형을 일으킴
- 미완료 과거 어미의 모음에 모음이 더 이상 오미크론이 아니라 알파로 변경됨
- 알파로 원래 변경될 수가 없음
- 근본적으로 원래 모음이 없는 어미 형태를 붙였기 때문에 그렇다라고 말하는 게 원래는 조금 더 정확한 설명임
[성경헬라어교본-11(5/6)] 제1-2부정과거 디포넌트 동사, 제2부정과형 도표 및 어휘
https://youtu.be/Yf32VM662Rw?si=RxYtj9twDLxxtAzE
주요 주제
- 디포넌트 동사의 정의와 부정 과거형의 형태적 연관성
- 동사의 시제와 형태적 변화에 대한 이해와 암기 방법
- 문장 해석과 해석에 필요한 어휘 학습 방법
다음 할 일
- 부정 과거형의 디포넌트 동사 형태 파악 필요
요약
00:00 ~ 01:05
디포넌트 동사의 정의
- 디포넌트 동사의 정의는 중간태 혹은 수동태 형의 능동 의미 동사임
- 부정과 직설법은 기본형과 부정 과거형은 형태적 연관성은 없고 오직 뜻만 공유함
- 부정 과거형이 일반형인지 디포넌트형인지는 기본형과 상관없이 부정거거관의 특성에 따라 결정됨
02:02 ~ 03:13
에르코마이의 부정 과거
- 에르코마이라는 동사는 현재 기본형에서는 디퍼런트 형태이지만 부정 과거 형태에서는 디플런트 속성을 공유하지 않음
- 미래에서도 그대로 적용됨
- 현재 미래 부정거거가 중요한 시간이 바뀌는 세 가지가 있는데 어가는 뜻은 공유하지만 각각이 독립된 어간이라는 것을 잘 기억해 놓아야 함
04:23 ~ 09:23
부정 과거 어간의 특징
- 부정 과거 어간이 기본형 어간과 동일한 경우도 있음
- 부정 과거 형태에서도 1 부정 과거 형태를 이루면서 디포넌트가 되는 동사가 있음
- 현재형에서 일반 동사형이면 부정 과거에서도 일반 동사형, 현재형에서 디포넌트 동사형이면 부정 과거에서도 디퍼런트 동사형이 된다는 규칙을 만들 수 있음
- 이러한 현상은 모두 우연임
10:24 ~ 11:34
람바노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
- 람바노 엘라본이 부정 과거 형태에서 형태를 취하는데 온도가 바뀌었으니까 람바노 동사에 2부정거거 중간대 직설법 복수 3인칭이라고 분해를 하면 됨
- 해석은 그들이 그 자신들을 취했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 기노마이 동사의 부정 과거 형태는 기노마이 에게 노맨이 됐음
- 에게 누라는 단어는 귀노마이 동사의 부정 과거 직설법 디포넌트 단수 2인칭이 돼서 너는 되었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12:25 ~ 15:00
동사의 시제
- 동사를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4가지 정도의 시제를 익숙하게 해야 함
- 어미를 재활용해서 외워야 될 분량을 최소화시키고 있음
- 부정 과거형이 활용이 되면 에필론이 붙는 문제, 전치사가 있어서 합성 동사가 되는 경우에 엡실론 때문에 발생하는 변화가 자주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외워야 함
16:11 ~ 21:24
기노스코의 부정 과거 형태
- 동사나 문장이 등장할 때 익숙하게 함으로써 문장을 해석하고 하면 수월함이 있음
- 기노스코의 부정 과거 형태인 에그노에 대한 형태는 에그노 에그노스, 에그노 에그노맨 에그노 에그노스라는 형태를 여러분이 한 번 더 복습을 하고 잘 익숙하게 해놔서 혹시 문장에 나오면 이거를 이렇게 기억해내시기를 부탁하는 마음에서 언급을 해 봄
- 기초 문장 연습하기 전에 어휘 한번 살펴보고 11과를 마무리하겠음
[성경헬라어교본-11(6/6)] 제11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4vnKmjZ7EqU?si=YRJeoWrEE58USftF
주요 주제
- 단어의 기본형과 뜻
- 중성 단수 주격과 대격의 의미와 해석
- 목적절을 이끄는 경우의 번역 방법
다음 할 일
- 미완료 과거형과 제2 부정 과거형의 구분 방법 학습
- 엘라본이라는 단어 앞에 엡실론이 붙고 뒤에 온이라는 미완료 혐의가 붙어서 미완료 혹은 제 부정 과거인 람바노에 대한 학습
- 교회가 죄를 발견했다는 것은 복음이 그것에게 말했기 때문이라는 문장에 대한 해석 진행
요약
00:01 ~ 03:31
n때 헤메라
- n이라는 단어는 역격과 함께 사용되는 전치사인 거임
- n이라는 단어는 장소랑 쓰이면 어디 어디에 그리고 시간과 쓰이면 시간 그리고 언제 정도로 해석하면 됨
- n이라는 단어는 헤메라라는 명사에 여성 단수 역경 형태임
- n때 헤메라라는 표현은 날개인데 여기에 역격이 온 이유는 앞에 나온 전치사 n 때문임
- n때 헤메라라는 표현은 그날이라는 말을 하고 굳이 전체사까지 묶어서 쓰자면 그날의 정도로 해석하면 됨
04:52 ~ 06:30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
- 형용사로서 정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고 관사로 묶여 있으면 한정적 용법이 돼서 써봄
- 명사를 한정해 주면 되는 것임
- 부정 과거가 왔기 때문에 파괴했다라고 해석하면 됨
07:57 ~ 13:38
필스 듀어 동사의 목적어
- 필스 듀어 동사는 역격형의 목적어를 취함
- 역격용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왔을 때 역격용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왔기 때문에 역격용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가 온 것임
- 미완료 과거형과 제2 부정 과거형의 경우 미완료 과거 어미가 재활용됨
- 발로는 던지다니까 던졌다가 되고 문맥상 주님을 던진 것임
15:20 ~ 21:28
형용사의 한정적 용법
- 형용사가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를 함께 쓰이면 관사가 앞에 있으니까 한정적인 용법이 됨
- 형용사가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고 관사가 앞에 있으니까 한정적 용법이 되니까 여기다 써보겠음
23:02 ~ 24:21
후토스의 성수격
- 후토스는 기본형으로 남성 단수 추격임
- 지지사가 나오면 성수격을 우선 분해하고 남성 단수인 명사가 있으면 지지 형용사, 없으면 지시 대명사로 해석함
- 지시 대명사인 하나님은 문맥상 자연스럽게 바꿔주면 됨
25:39 ~ 29:43
엡실론 접도 모음
- 엡실론 접도 모음이 모음과 모음이 만나면 단축이 되는 현상이 있음
- 시그마나 이런 게 없으니까 엡실론 붓고 이게 왔으니까 미완료 어미가 온 것처럼 보이는 거임
- 얘는 기본형이 귀 노스코 동사에서 온 거임
- 호데 호이 마테 따이 엘리본 휘마스 뚜스 아르투스 에파 개때 n 때 오이키아 헤몬은 호데 호이 마테 따이 엘리본 휘마스 뚜스 아르투스 에파 개때 n 때 오이키아 헤몬임
31:12 ~ 33:59
미완료 과거 어미의 구분
- 미완료 과거 어미가 오면 진짜 미완의 과거일 수도 있고 제2 부정거형일 수도 있다는 걸 기억해야 함
- 구분할 수 있는 법은 외우는 수밖에 없음
- 에파 개떼는 에떼가 너이니까 너희가 먹었다 정도로 해석하면 됨
35:59 ~ 42:16
불레뽀 동사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
- 단어의 기본형은 블랙 4 동사임
- 이 동사에 제 2 부정 과거 능동태 직설법이고 단수 1인칭 복수 3인칭 다 가능함
- 이 단어는 뜻이 무엇이냐면 보다니까 그들이 보았다 이렇게 됨
- 다음 단어는 알라인데 얘는 그러나 이렇게 해석하면 됨
- 블레 신이니까 얘는 우신이 왔으니까 OSA 오메네 때 우신임
- 불레뽀 동사의 현재 능동태 직설법 복수 3인칭이고 우리 말로 하면 그들이 본다 이렇게 됨
- 그들이 누구냐 뒤에 보니까 하이가 나왔죠. 여성 복수 주격이니까 얘가 주어임
- 여성 단수 주격 명사 아들 파이라는 단어가 나왔는데 얘는 d 이 형태의 여성 단수 주격이 되고 뜻이 자매니까 그 자매들임
- 하우 따이가 왔는데 얘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하우다이라는 철자임
- 하우다이라는 이 철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지형 지시사 근증지지사 후토스 하우떼 또또 해서 온 것임
43:44 ~ 50:06
복음의 의미
- 중성 단수 주격 혹은 대격인 복음은 문맥상 주격이고 뒤에 나오는 명사 유앙 갤리온과 함께 묶여서 중성 난수 주격이고 뜻이 그 복음은 이렇게 해석이 됨
- 레고 동사의 기본형은 레고 동사이고 제2 부정 과거 능동태 직설법 단수 3인칭이 됨
- 그가 혹은 그녀가 혹은 그것이 말했다는 문맥상 주어는 복음이니까 굳이 말하면 그것이 주어가 되겠지만 복음이 말했다라고 해석하면 됨
- 교회가 죄를 발견했다는 것은 복음이 그것에게 말했기 때문임
51:29 ~ 55:27
엘라본의 의미
- 목적절을 이끄는데 이 경우에는 목적자를 이끌 만한 조건이 안 되니까 왜냐하면이라고 번역을 하면 됨
- 중성 복수 축적이 되고 우리가 굳이 말하자면 중성이니까 그것들임
- 그들이 정도로 해석을 하면 좋음
- 엘라본이라는 단어 앞에 엡실론이 붙고 뒤에 온이라는 미완료 혐의가 붙어서 미완료 혹은 제 부정 과거인데 이 단어의 기본형은 람바노임
- 얘는 제2 부정 과거가 되고 능동태 직설법인데 o이 붙으면 단수 1인칭도 되고 복수 3인칭도 되지만 다우다가 주어가 되니까 복수 3인칭이 되는 것임
56:22 ~ 1:03:41
에코 동사의 어간 변화
- 에코 동사는 어간이 스크로 바뀜
- 알레테이아라는 명사에 여성 단수 대격 알레 테이가 옴
- 호돈이라는 명사에 남성 복수 대격 아델 포이가 옴
- 호띠가 아니기 때문에 시간으로 해석해야 함
[성경헬라어교본-12(1/5)] 부정과거 수동태 직설법
https://youtu.be/aQntEllir2A?si=h_FOF6qWJyY3uktw
주요 주제
- 부정 과거 수동태와 미래 수동태 직설법의 차이와 원리
- 부정 과거 수동태의 어간 형태와 특징
- 부정 과거 수동태의 형태 구분과 어미 활용 방법
다음 할 일
- 부정 과거 수동태와 미래 수동태 직설법 함께 공부 계획 세우기
- 부정 과거 수동태 어간 형태 이해
-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에 맞는 동사의 수와 인칭을 나타내는 어미 부착
요약
00:01 ~ 00:49
부정 과거 수동태 직설법
- 부정 과거 수동태 직설법을 배운다는 말은 부정 과거 능동태와 중간태를 따로 배운다는 말임
- 부정 과거 수동태와 미래 수동태 직설법을 함께 공부한다는 말은 동일한 어간에다가 조치를 취해서 부정 과거 수동태를 만들거나 미래 수동태를 만든다는 것임
01:56 ~ 02:11
부정 과거 수동태의 어간
- 부정 과거랑 미래를 한꺼번에 배우는 것이 무리한 것이 아닌가 생각할지 모르지만 어안을 공유하기 때문에 가능함
- 부정 과거 수동태 어간의 형태는 기본형 어간임
- 외형적으로 동일하다고 해서 내용이 다 동일해지는 건 아님
03:25 ~ 04:31
어간의 형태가 동일한 경우
- 외형적으로 동일할 수는 있지만 다른 경우도 많고 원리적으로는 원래 다른 것임
- 각각의 어안이 갖는 고유한 특징이 있음
- 어간이 현재 어간 부정 과거 어간 미래 어간 완료 어간 어떤 어간이 나올 때 어간의 형태가 동일하든 어간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든 간에 각각의 어안은 독립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음
05:38 ~ 09:10
부정 과거 수동태의 특징
- 부정 과거 수동태형에서도 제12 부정과거형이 존재함
- 부정 과거 수동태 어간의 변경과는 무관하게 부정 과거 수동태는 어간이 동일할 수도 있고 어안이 다를 수도 있음
- 테타 엡실론이 부정하고 수동태 그리고 또 나중에 보겠지만 미래의 수동태에서도 나오는데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특징임
- 테타 엡실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부정 과오라고 이야기함
10:14 ~ 15:25
부정 과거 수동태 어간
- 부정 과거 수동태 어가는 현재나 미래나 부정 과거 능동태나 부정과고 수동태나 모두 억관이 바뀌지 않는 동사임
- 부정 과거 수동태 접사가 TT ESL이라고 했는데 첨가된 형태임
- 부정하고 수동 타워 간 얘는 기본형과 동일하고 뒤에 접사를 뭘 붙였냐면 테타 엡실론을 붙였는데 여기에 흔적이 남아 있는 것임
- 어쨌든 엡실론 부정 수동태어간 테타 엡실론인데 요까지만 우리가 보면 얘는 우리가 분명히 부정 과거 수동태형인 것을 알 수가 있음
- 부정 과거 수동태인 것을 아니까 동사의 수와 인칭을 나타내는 어미를 붙여주기만 하면 됨
- 능동태 어미를 재활용했다는 걸 기억할 필요가 있음
16:58 ~ 23:11
부정 과거 수동태의 형태
-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는 어간의 형태와 상관없이 모두 일부정과 수동태 형태로 구분이 됨
- 부정 과거 수동태용의 미완료 과거 어미를 재활용하는데 이것이 중간태 수동태 어미를 재활용하지 않고 능동태 어미를 재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함
- 부정 과거 수동태 시상접사 테타 엡실론이 첨가될 때 자음자 테타의 음가 트는 강한 기식을 포함한 소리이기 때문에 공기가 팍 하고 터져 나오는 거센 소리를 나타내는 소리임
- 자음동화 같은 게 일어난다고 이해하면 됨
[성경헬라어교본-12(2/5)] 제2부정과거 수동태 직설법과 디포넌트 동사
https://youtu.be/wRXDbRR9uno?si=8jZPw4F23MtjhHDV
주요 주제
- 테타의 탈락과 부정거 수동토 형태의 인지 방법
- 디포넌트 동사의 정의와 형태적 구분 방법
- 중간태형과 수동태형에서 각각의 디포넌트 형태의 존재 여부와 의미적 차이
- 중간 형태와 수동태 형태를 각각의 경우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파악하는 방법
다음 할 일
- 아보 크리노마이 동사의 중간 형태와 수동태 형태 적용 방법 학습
-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의 디포넌트 형태 파악
요약
00:00 ~ 02:43
부정거 수동태 형태
- 제2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는 테타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결정이 된다고 했으니까 테타만 탈락한 것을 인지하면 됨
- 부정하고 수동 타워 하이 그라프는 부정과 수송대 접사이의 철자인 테타가 탈락한 형태임
- 그라포 동사의 부정거 수동토 형태인 에그라펜은 소리도 그렇고 우리가 조금 인지하기가 수월함
04:14 ~ 05:32
부정거 수동태의 특징
- 모음이 엡슬론만 남아 재활용되는 미완료 능동태 어미와 함께 만나서 s MN 바로 이 형태로 바뀌게 된다는 걸 기억하면 됨
- 전 과거 수동태형과 제1부정 과거 수동태형의 차이는 시상접사의 자음자 테타가 존속하는지의 여부와 관련돼 있음
- 2부정거가 수동태가 돼서 이런 특징을 갖는다라고 파악해내면 됨
06:50 ~ 07:56
부정 과거의 디포넌트
- 부정 과거에서 디포넌트를 배웠는데 디포넌트 형태의 정의는 중간태형 혹은 수동태형에서 만들어진 중간태형 혹은 수동태 형태를 가진 능동 의미 동사가 디포넌트 동사임
- 부정 과거 형태는 수동태형과 중간태 형태가 외형적으로 구분이 되니까 각각의 디포넌트 형태가 존재할 수가 있음
09:25 ~ 12:55
디퍼런트 동사
- 디퍼런트 동사라는 것 자체가 형태는 그냥 중간 때 혹은 수동 때와 동일하지만 뜻만 능동의 의미를 갖는 단어들을 디퍼런트 동사라고 함
- 보리오마이 동사가 부정 과거에서도 중간태 혹은 수동태용에서 디포넌트가 된다라는 걸 알고 있으면 에보 텐이 등장하면 얘는 수동 태형이 됐지만 디퍼런트 동사구나라고 기억해서 이거를 나는 같다라고 해석을 하면 됨
- 기노마이 동사가 부정과 수동 타워관이 돼요. 그러면 이 개내에다가 접사를 붙여서 만드는데 어간이 바뀌든 어간이 바뀌지 않든 간에 전부 다 1 부정 과거 형태가 됨
- 디포넌트가 되는 거는 이것이 꼭 현재가 디포넌트니까 부정 과거가 디포넌트가 되는 건 아니라고도 말씀을 드렸고 어쨌든 얘네 둘은 어안이 비록 바뀌지만 얘는 어간이 완전히 동일하고 얘는 어간이 바뀌지만 기노마이 동사는 현재에서도 기본형에서도 디포넌트고 부정 과거 수동 태형에서도 디포넌트가 되는 그런 단어라는 것만 염두에 두고 한번 따라 읽어보면 좋을 것 같음
14:08 ~ 16:25
아보 크리노마이 동사의 중간 형태와 수동태 형태
- 중간 형태와 수동태 형태를 각각의 경우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펴봐야 함
- 아보 크리노마이 동사는 중간 형태와 수동태 형태를 다 갖는 동사임
- 아보 크리노마이 동사가 부정 과거 형태에서 시그마가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나서 참조에 집어넣었음
[성경헬라어교본-12(3/5)] 미래 수동태 직설법
https://youtu.be/I7hh5Dy4ZBg?si=__3rGRLCVZyE4DWj
주요 주제
- 미래 수동태형과 부정 과거 수동태형의 형태적 차이와 활용 방법
- 미래 수동태형과 부정 과거 수동태형의 어안 공유와 시간적 차이
- 시제 수동태 어휘의 활용과 시제 수동태형의 의미적 차이
다음 할 일
- 제12 미래 수동형 연구
- 램프 테소마이 형태 분석
- 제1, 제2 미래 수동태형 분류 기준 검토
- 어간 공유에 대한 이해 향상
요약
00:00 ~ 02:30
미래 수동태 어간의 형태
- 미래 수동태형은 별개의 어간을 사용함
- 미래 수동태 어간의 형태는 기본형 어간과 동일한 형태임
- 외형이 다를 수 있고 동일할 수 있지만 그 안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가지 형태적 특징은 기본적으로 다름
03:41 ~ 04:57
미래 수동태형의 차이
- 부정 과거에는 앞에 es론을 붙이지만 미래에는 안 붙인다는 것, 부정거거 수동태에서는 수동태 형태에 맞는 접사를 붙이는 반면에 미래에서는 미래 수동태에 맞는 접사를 붙인다는 점이 확연한 차이가 있음
- 미래 수동태형에서도 제12 미래 수동형이 존재함
- 미래 수동태 시상 접사 테타가 존재하는 경우는 어안 형태가 기본형과 동일화된 아니면 어간 형태가 변경되든 상관없이 그것을 제1 미래 수동태형이라고 얘기함
- 테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떠한 경우든 간에 그것이 제2 미래 수동태형이라고 분류가 됨
06:11 ~ 09:43
미래 수동태형과 부정 과거 수동태형의 어간 공유
- 미래 수동태형과 부정 과거 수동태형을 한 과에서 배우는 것은 어간을 공유하기 때문임
- 미래 시대와 과거 시대의 어안 공유가 어렵게 느껴질 수가 있음
- 미래 시대와 과거 시대가 어안을 공유할 수도 있다는 것만 염두에 두고 어간을 공유한다는 것은 시간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제1이냐 제2냐 디퍼넌트냐 아니냐라는 것들을 공유한다라고만 이해하면 됨
11:06 ~ 13:52
램프 테소마이의 수동태 형태
- 램프 테소마이 같은 경우에는 미래 능동태 중간태 형태와 동일함
- 미래 수동태 접사 테타 에타 시그마 접사 미래 접사를 활용해서 만들면 무조건 제1 밀의 수동태 형태가 됨
15:10 ~ 20:46
제2 미래 수동태형
- 부정 과거 수동태와 미래 수동태는 어안을 공유하기 때문에 제2 미래 수동태형이라고 부르더라도 부정 과거 수동태 어안인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2 미래 수동태형도 제2 미래를 형성함
- 부정 과거 수동태와 미래 수동태는 어간의 형태가 기본형과 동일하든 동일하지 않든 상관없이 미래 수동태형에서 시상 접사 테타가 탈락한 형태를 가리키고 따라서 음절 s만 남아 재활용되는 시제 수동태 어휘 현재 시제 수동태 어미와 조합돼서 활용이 됨
[성경헬라어교본-12(4/5)] 미래 직설법 디포넌트 및 동사의 4어간과 어휘
https://youtu.be/0rGtUe2v1xQ?si=977Dg22H-NpeAYHb
주요 주제
- 동사의 시제 형태와 디포넌트의 의미
- 동사의 시제 형태와 어간 변화의 특징
- 단어의 활용형과 블랙 옵소마 AD oft 이 형태의 의미와 암기 방법
다음 할 일
- 레고 에 af 에러레텐 패턴 학습
- 에페소의 어가 패스 파악
- 12.3에 나오는 단어들 네 가지 형태 학습
- 동사의 기본적인 4가지 시제 이해
요약
00:00 ~ 00:58
포리마 동사의 수동태
- 포리마 동사는 모든 동사 시제 형태에서 디포넌트임
- 보류 테소마 보류 테스 테스 류테세스테 뽀류테 세다이 보류테 소메타 뽀르테 세스테 뽀류테 쏜따이 테 쏜따이 형태는 우리가 아까 제1부장 과거 미래 수동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는 건 이미 느끼셨을 것임
- 얘가 수동 타용해서 만들어진 디포넌트이기 때문에 뜻은 능동이 된다는 것 기억하시면 됨
02:30 ~ 08:02
미래 수동태의 특징
- 미래 수동태에서도 존재하는 동사는 미래 중간태형에서도 디포넌트가 되고 수동태에서도 디포넌트가 되는 동사임
- 미래 수동태 부정 거거 수동태 미래 수동태에서 어안 형태가 기본형과 완전히 동일한 것들도 있었지만 기본형과 완전히 다른 경우도 있었고 어떤 경우는 동일하고 어떤 경우는 다르고 또 예를 들면 이것이 기본 아니 일반 동사인지 디퍼런트 동산지 이런 어떤 특성에 대해서도 변화가 있는 것도 있고 우연치 않게 동일한 것도 있고 이런 굉장히 복잡한 어떤 단어들마다 특징이 있었다는 걸 살펴봤음
08:50 ~ 10:37
동사의 시제
- 동사의 기본적인 4가지 시제를 배웠다면 어간을 입으로 외워서 문장에서 분해하고 해석해낼 수 있어야 함
- 어간이 바뀌는 경우에는 조금 더 신경을 쓰고 잘 외워야만 쓸 수 있기 때문에 동사들을 기본적으로 다 외워야 함
11:35 ~ 13:35
수동태의 어미
- 어미는 부정하고 수동태 어미를 썼지만 어가는 미래의 수동태어강도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네 가지를 외우면 중간에 만들 때는 중간태 어미, 미래를 만들 때에는 미래의 어미를 붙여서 활용을 하면 됨
- 단어를 한번 따라 읽어보고 암기하도록 하겠음
- 단어에 활용형이 혼합돼서 쓰여지고 있기 때문에 블랙 옵소마 AD oft 이 형태를 기본 형태로 외움
15:48 ~ 19:00
레고 에 af 에러레텐
- 레고 에 af 에러레텐 이 패턴이 가장 기본적인 것이라고 여러분이 보시면 됨
- 에페소의 어가는 패스임
- 에페싸가 돼서 마치 싸 싸을 때처럼 보이지만 얘는 어미만 일 부정 과거 형태의 모자를 재활용한 것임
- 12.3에 나오는 단어들 네 가지 형태를 기준으로 해서 이 단어들을 익숙하게 해놓는 것이 여러분의 향후 공부를 위해 굉장히 유익함
[성경헬라어교본-12(5/5)] 제12과 기초문장연습 풀이
https://youtu.be/nTyZgD_Sty4?si=sg5ThRiynyquKobD
주요 주제
- 중성 복수 주격의 규칙과 변화
- 동사의 어안 형태와 변화
- 형용사의 의미와 용법
다음 할 일
- 중성 복수 주격 규칙 적용 방법 학습
- 그라프 동사의 제2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 암기
- 생명의 복음이 저 사도에 의해 기록된 사실 확인
- 에카레맨 동사의 능동적 수동적 의미 차이 파악
요약
00:01 ~ 04:40
중성 복수 주격의 특징
- 중성 복수 주격은 단수 동사가 쓰일 수 있다는 규칙이 적용됨
06:19 ~ 11:01
동사의 어안 형태
- 동사의 어안 형태는 각각이 다 변화되는 것을 외워야 함
12:35 ~ 13:45
그라프 동사의 제2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
- 그라프 동사의 제2 부정 과거 수동태 형태는 에그라프 에그라 페가 돼야 됨
- k w라는 단어는 우리 이미 앞서서 배웠음
- k 노스 AO에서 원칭 지지사임
15:23 ~ 21:36
생명의 복음
- 생명의 복음이 저 사도에 의해 기록되었다라고 하면 됨
- 역격과 함께 사용되는 예가 나왔음
- 수동태 형태가 오면 의미가 더 좋을 수도 있었겠지만 우리가 무엇을 발견할 것이냐 진리 가운데서 생명이 뭐 예를 들면 이 경우에는 주님을 발견하거나 이런 대상이 암시되어 있다라고 보시면 됨
22:10 ~ 28:58
호이 뽀네로이 둘로의 x 블레 테산 스 에클레시아스 또 때 윈 운해 에클레시아 에게네테 학이야
- 호이 뽀네로이 둘로의 x 블레 테산 스 에클레시아스 또 때 윈 운해 에클레시아 에게네테 학이야는 남성 복수 주격 형용사로 악한이라는 뜻임
- x가 붙은 거는 우리가 x라는 전체사가 앞에 붙은 거라고 이해하면 되고, ESL이 있으니까 과거임
- 태산이 붙었으니까 테스 탭 테 테테산 되니까 얘는 부정 거가 수동태인 거임
- 발로 동사에 제1 부정 과거 수동태 직설법 복수 3인칭이 됨
- 그들이 던져졌다는 말은 그 종들이 던져졌다는 말임
- 그 교회는 그나 그녀가 되었다로 해석하면 됨
30:09 ~ 36:08
형용사의 성수격
- 에스카토스 에스카토에서 형용사고요. 뜻은 마지막 의라는 뜻임
- 얘는 남성 단수 역격임
- 형용사가 나왔는데 관사가 있으니까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으면 한정적임
- 얘를 저라고 넣어주면 됨
- 얘는 마지막 때에 혹은 그 마지막 시간에 이렇게 해석을 하면 됨
36:19 ~ 41:35
하나님의 천사들
- 하나님의 천사들이 악한 세상 안으로 미래 수동태니까 보내질 것이다라고 해석하면 됨
- as는 대격과 함께 사용돼서 어디 어디 안으론데 뒤에 댄이 와서 여성 단수 대격이 왔고 바실 레이 안이 와서 굳이 써보면 여성 단속 대격이 옴
- 하나님의 왕국 안으로 이렇게 해석하면 됨
- as는 인칭 대명사로 3인칭이고 남성 난소 속격이니까 우리 말로는 그의가 됨
43:35 ~ 46:28
아웃돈의 여성 복수 성격
- 하마르디온 아웃돈 까이 엑소스 테산 no 로고 BS al tis of 아웃 o는 하마르티온과 아웃돈이 성수격이 일치해서 특별 용법이 됨
- 아웃돈이 여성 복수 성격일 수가 있어서 죄 자체들로부터로 해석이 가능함
52:57 ~ 58:25
에카레맨의 특징
- 에카레맨은 앞에 엡실론이 있고 뒤에 MN이 온 형태로 테다가 떨어진 형태임
- 에카레맨은 기본형이 카이로 해서 왔고 부정 과거 수동태 직설법 복수 1인칭임
- 에카레맨은 능동적 수동적 의미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독특한 동사임
- 에카레맨은 성수격이 일치하는 명사가 있고 앞에 관사가 없으니까 강의적 용법으로 해석하면 됨
'신학 자료 > 원어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13~14과) (0) | 2025.02.18 |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9~10과) (0) | 2024.09.26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6-8과) (4) | 202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