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의 핵심 - '하나님의 창조와 주권 인정하기'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과 광고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추천 신학 논문

욥기의 핵심 - '하나님의 창조와 주권 인정하기'

개혁신학어벤져스 2023. 12. 30. 23:12

 욥기는 성경 중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룬 성경으로 평가되며, 문체도 수사학적이기에 매우 어렵습니다. 

 관련하여, 욥기의 중심흐름을 제대로 알기에 도움이 되는 논문을 소개합니다.^^

 * 욥기 중 많은 내용을 다룰 수 있지만, 큰 뼈대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 인정'입니다! 여기서 벗어나는 내용을 다루지 않아야 합니다. 각종 등장인물과 사건으로 인해 '여러 철학적 문제가 제기되더도' 그것들은 모두 피조물로서 창조자의 주권에 도전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지 못합니다. 곧, 욥기는 하나님과 욥의 무한한 차이를 인정하는 것을 1차적인 강조점으로 삼으며, 그 와중에 길흉화복을 욥에게 해당 깨우침을 주는 수단으로 삼습니다.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1장 1-5절과 42장 12-13절 본문을 중심으로.pdf
0.74MB

 관련하여, ABSTRACT(영문)과 그것의 번역부터 올립니다.

A Study on the Lists of Property and the Change of God’s Name in the Prologue and
the Epilogue of Job:
Focused on the Texts of 1:1-5 and 42:12-13


Jin Myung Kim, Th.D.
Assistant Professor, Dept. of the Old Testament Theology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meaning of Job 1:1-5 and 42:12-13. Especially the list of property of Job in Job 1:2-3 (prologue) is literally echoed in 42:12-13 (epilogue). These two texts make an 'inclusio' which is a rhetorical and literary structure, an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m. The change of the appellation of God (Elohim → YHWH) is the most important. What is the purpose of Job’s writer in regard to this change?


Most former interpreters of Job 1:1-5 have not taken much interest in the list of Job’s property (1:2-3; 42:12-13). The present study, however, explores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1:1-5 (2-3) and its theological meaning as an ‘inclusio’ of the proclamation of YHWH. The assumption is that the Hebrew tale of Job is connected with the common tradition (traditum) of the suffering-literature of Ancient Near Eastern texts and that it includes the process of Israelization of the tradition (traditio).


By using a rhetorical critical metho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exts in the book of Job (introduction, chaps. 1-2 (1:14-18); conclusion, 42:7-17 (12-13)),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lists
of Job’s property.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 dual function of Job 1:1-5 was identified not only as a small intro to the introduction (chaps. 1-2) but also as an intro to the whole book (chaps. 1-42). The conclusion was also reached that the writer of the book of Job tried to propose a religious message through this literary structure and rhetorical devices: ‘Elohim’ as a common god of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raditum) is Israel’s ‘YHWH,’ who is the Lord of life, the first and the last, the Creator of the world, and the real giver of blessings (traditio).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one of the purposes of writing this book is to deliver such a religious message to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his interpretation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timeless lesson of the book of Job and its identity as one of the religious canonical books in the Old Testament.

이 논문은 욥기 1:1-5 및 42:12-13의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미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욥기 1:2-3의 욥의 소유물 목록(서론)은 42:12-13(에필로그)에서 말소되어 있는데, 이 두 텍스트는 수사적이며 문학적인 구조인 '인클루시오'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하나님의 명칭 변화입니다(Elohim → YHWH). 이 변화와 관련하여 욥의 작가가 가진 목적은 무엇인가요?

이전 욥기 1:1-5 해석자들은 욥의 소유물 목록(1:2-3; 42:12-13)에 흥미를 두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재 연구는 1:1-5 (2-3)의 수사적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그 신학적 의미를 YHWH의 선포의 '인클루시오'로 탐구합니다. 가정은 욥의 히브리 이야기가 고대 근동 텍스트의 고민 문학 전통 (traditum)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전통의 이스라엘화 과정 (traditio)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수사 비평적 방법을 사용하여 욥기의 텍스트(서론, 장 1-2(1:14-18); 결론, 42:7-17(12-13))를 분석하여 욥의 소유물 목록과 관련된 텍스트를 비교했습니다. 이 연구 과정에서 욥 1:1-5의 이중 기능이 서론(chaps. 1-2)의 소개뿐만 아니라 전체 책(chaps. 1-42)의 소개로도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욥기의 저자가 이 문학적 구조와 수사 장치를 통해 종교적 메시지를 제안하려고 했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Elohim'은 고대 근동 세계의 공통 신이었지만(전통), 이스라엘의 'YHWH'는 생명의 주, 처음이자 끝, 세상의 창조주, 복의 진정한 주인으로 변환되었습니다(전승).

이 연구를 통해 이 책을 쓴 목적 중 하나는 이러한 종교적 메시지를 고대 근동 세계에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해석은 욥기의 시대적 교훈과 그것이 구약 성서의 종교적 정규 도서 중 하나로서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한, 의미 없는 부분이고, 이 책의 핵심으로서 세련되고 유의미한 부분은  
논쟁형태로 구성된 ‘시문’이라는 평가가 정당한 것일까?  
구약에 수록된 욥기가 기존의 전승(traditum)으로서 고대 근동의 수  
난문학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면2), 전승의 이스라엘화는 전승과정  
(traditio)에 해당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3) 지만 한 전승의 전달 과  
정은 신학적인 사고의 영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일어날 수 없으며, 이 과  
정은 문학적인 형식의 틀을 통해 전달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본 논문에  
차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자 하는 문제는 욥기의 ‘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서론과 결론의 본문이며, 여기에 사용되고 있는 수사학적  
치와 문학적 형식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으  
토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문학적 형식과 특징들 가운데 결합되  
는 신학적인 내용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라는  
문제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욥기타난  
‘소유’(재산)신명’(神名)의  
구:  
1장 1-5절과 42장 12-13절 본문을 중심으로  
김진명(장신대)  
구를 위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본문은 서론 가운데 특별히 욥의  
‘재산’ 혹은 ‘소유’목록 (2-3절)과 관련된 1장 1-5절이며4), 에 상응  
하는 구조를 나타내주고 있는 42장 12-13절의 비교 본문이다. 기존  
1. 서론  
2) 강사문은 욥기와 메소포타미아의 수난문학 (수메르 욥, 바벨론의 무죄한 수난자, 바벨론 신정론)의 비교 연구  
를 통하여, 수난문학이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경외신앙’을 결합시킨 점이 욥기의 핵심적인 특징  
이며, ‘하나님의 계시와 만남’이라는 특수성을 결합시킴으로서 욥기는 메소포타미아 수난 문학의 ‘이스라엘화  
(化)’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강사문, “욥기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수난문학,” 강사문,『구약의 역사  
클라인스(David J. A. Clines)는 현재 형태의 욥기를 바라보는 세 가  
지 방법들 가운데 하나로서, 마치 그림의 액자와 그림의 관계와 같이,  
‘틀’(frame) 과 ‘중심내용’(core)으로 구분해서 욥기를 이해하는 방  
법을 소개하였다. 여기서 틀에 해당하는 부분은 ‘산문’ 이고, 핵심에 해  
당하는 것은 ‘시문’ 부분이라는 것이다 (1:1-2:13, 틀(산문, 이야기) /  
3:1-42:6 중심내용(시, 논쟁)/ 42:7-17 틀(산문, 이야기)).1) 과  
연 이 분 방법에서 평가하는 바와 같이, 이 ‘틀’은 단순한 형식에 불과  
이해』(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 . 고대근동의 수난문학 작품들의 내용과 구약의 욥기가 가지  
-
2002 410 425  
고 있는 공통점과 특수성에 관한 연구는 이 논문을 참고할 수 있다. 욥기의 저자 문제와 저술 시기 등에 관한  
주제들은 김영진외 인공저,『구약성서개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을 참조할 수 있다. 본  
-
15 2004 485 497  
연구에서는 욥기의 본문 형성 시기와 역사에 대한 재구성의 문제 보다는 최종본문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문학  
적인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공시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3)  
'
' 과 '  
'의 개념은 전승과 전승과정의 의미로 휘쉬베인 (  
.
)이  
-
traditum traditio  
M Fishbane inner biblical  
와 연관된 유대적 주석 방법론을 설명하면서 활용한 개념이다 (  
.
,
exegesis  
Interpretation in Ancient Israel New York Oxford Universit Press 1985  
은 욥기 본문 연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욥기 장 - 절과  
M
Fishbane Biblical  
(
:
,
). 본 연구자는 이 개념들  
-
절은 고대 근동 지역  
1
1 5  
42 12 17  
에서 공유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수난 문학의 전승 (  
)을 이스라엘화하는 과정 (  
)을 보여주는  
traditum traditio  
* 본 논문은  
년 장로회신학대학교(연구지원처)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2016  
본문들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논문의 본론 부분에서 설명해 가고자 한다.  
1)   
.
.
,
,
.
(
:
,
),  
4) 여기서 ‘재산’ 과 ‘소유’를 함께 언급한 것은 가축들과 함께 사람 (자녀)들이 함께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녀  
들은 물리적인 재산 보다는 욥에게 속한 사람이라는 어감을 표현하기 위하여 ‘소유’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David J A Clines Job 1-20,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17 Dallas Word Books 1989  
.
XXXV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02  
103  
기 주석서와 연구들에서는 이 본문들에 나타난 재산 목록의 문제  
렇게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 본문을 다루었던 대부분의 학자들  
론부의 재산 목록 내용에 대한 해설과 결론부에서 다시 등장하는  
재산의 증가와 회복 문제만을 설명하거나(F. Horst, N. H. Snaith, 이군  
호, 안근조)5), 순하게 언급하는 정도로 지나쳤으며, 이 주제와 본문에  
대하여 그렇게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J. G. Janzen, M. H. Pope, 우  
상혁).6) 운데는 ‘재산’의 문제 보다 ‘사람’의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본문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2-3절에 기록된 ‘재산’ 목록 자체를 언급조  
우도 있었다(G. Gutierrez, 박철우).7)  
체적으로 이어주는 문학적인 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며, 여기서 특별히  
주목해 보아야할 중요한 문제는 두 본문 사이에서 나타난 ‘신명’(神名)  
화 현상이다. 1장 1-5절의 신명인  
(엘로힘/하나님)이 42장  
~yhil{a/  
12-13절에서는  
(아도나이/주님)로 나타나고 있다. 과연 이러한 본  
hwhy  
문상의 변화들을 통하여 욥기의 최종본문에서 파악할 수 있는 문제와  
에서 해석할 수 있는 신학적미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욥기의 서론과 결론부의 두 본문에 나타난 최종본문  
상의 문학적인 특징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사비평적인 방법’을 사용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의 적용 결과를 토대로 본문의 신학적 의  
미를 해석하기 위한 주석적인 본문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  
러나 이 연구는 욥기 1장 2-3절과 42장 12-13절에 수록된 욥의 ‘소  
유’ 목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연구이기에, 욥기의 서론(1:1-2:13)  
타난 ‘야훼’와 ‘엘로힘’(1:21-22, 2:1 등)과 ‘샷다이’(전능자, 32:8,  
33:4 등)를 포함한 욥기 전체의 ‘신명’ 사용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지  
않았으며8), 해진 분량의 지면 관계상 고대 근동의 수난 문학에 대한  
비교 종교-문학적인 구체적인 내용들은 ‘공유된 전승’이라는 개념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개별적 설명을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다.9)  
하지만 이 ‘재산’ 목록의 본문은 욥기의 서론과 결론의 연관성을 구  
5)  
.
,
,
.
,
(
-
:
F Horst Hiob, Kapitel 1-19 1 Teilband Biblischer Kommentar Neukirchener Vluyn  
,
), . 호르스트 ( . )는 가축의 효용성과 낙타와 관련된 고고학적인 문  
Neukirchener Verlag 1983 10 F Horst  
제 ( . . )와 구약의 다른 본문들과의 연관성 등을 비교적 상세하게 해설하였다 (창  
W F Albright  
:
, 출 : -  
32 15 21 1  
:
등). 스나이드, 『욥기의 형성사』(김성애 옮김),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  
-
. 원제는  
.
.
22 16  
1989 15 16  
N H  
,
(
:
. . ). 스나이드는 장에 기록된 욥의 원래 재산과  
.
,
Snaith The Book of Job London S C M Press 1968  
1
장의 증가된 재산을 비교하였다. 이군호,『욥기』(서울: 전망사,  
42  
), . 이군호는 재산 상태를  
/
-
1977 31 206 208  
소개한 본문으로  
1
- 을 설명하였고,  
2 3  
-
절 본문을 해설하면서 회복된 행복의 한 요소로 재산  
42 10 17  
의 문제를 언급한다. 목회와 신학편집부 엮음,『욥기』(서울: 두란노아카데미,  
), . 안근조는 욥기  
/
2008 104 346  
- 장과  
1 2  
-
절 주석에서 욥의 경제적인 번영과 회복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욥의 소유 목록을 설명하  
42 7 17  
였다.  
6)  
.
.
,
,
(
:
,
),  
/
. 잰슨은 욥기 장 - 절  
2 3  
J G Janzen Job Interpretation Atlanta John Knox Press 1985 35 269  
1
을 ‘목가적인 번영’에 대한 진술로 평가하였고, 절의 물질적인 선물들은 그의 삶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었  
11  
을 것이라는 정도로  
-
절과 연결시켜 언급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욥의 소유 목록에 대하여 적극적인  
12 13  
8) 슈미트 (  
.
.
)는 ‘엘로힘’이 구약에서  
회 사용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
.
,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
.
,
,
(
:
,
), . 팝도  
W H Schmidt  
2600  
W H Schmidt  
M H Pope Job The Anchor Bible 15 New York Doubleday 1997  
7
욥의 재산 목록이 ‘반유목민 족장’의 재산 (창  
:
,
:
)과 유사하다고 설명하지만, 더 이상의 주석적인  
"
~yhil{a,  
"
,
(
.),  
12 16 24 35  
Ernst Jenni Claus Westermann ed Theologisches Hand wrterbuch zum Alten  
,
.
,
(
:
해설을 전개하지는 않는다. 우상혁, “이야기로서 욥기 읽기,” 『구약논단』 집 (  
월),  
6
-
/
-
Testament Mark E Biddle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vol.1 Peabody  
39 2011  
88 89 102  
,
),  
-
. 링그렌은 구약에서 ‘엘로힘’의 형태가  
번 나타나며, 이와 관련된  
. 우상혁은 욥기를 하나의 전체 이야기로 공시적인 방법론을 적용한 내러티브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  
Hendrickson 1997 116 117  
2570  
회, ‘엘로힘’이 회, ‘전능자’로 번역된 ‘샷다이’가  
31  
103  
신명은 ‘엘’과 ‘엘로아흐’이고, 욥기에서는 ‘엘’이  
행하였다. 욥 기  
1
- 절을 ‘배경 내레이션’ 단락으로 구분하고,  
1 5  
-
절을 ‘마무리 내레이션’으로 분  
55  
4
42 7 17  
회 사용되었으며, 구약에서 회 나타나는 ‘엘로아흐’가 욥기에서 총 회 사용되었다고 분석하였다. .  
57 41  
류하여 이 단락들에 속한 내용으로서 욥의 소유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7)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욥기』(제 세계 신학연구소 번역실 옮김),(서울: 나눔사,  
H
),  
-
. 원제는  
.
G
, "~yhil{a,  
Ringgren  
"
,
.
(
:
.
3
1991 32 33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TDOT) vol 1 Grand Rapid W  
), ).  
.
,
-
(
,
(
:
,
). 구티에레즈는 욥기의 서문에 대해 언급하지만, 그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2 267 284 272  
Gutierrez On Job New York Orbis Books 1987  
의 소유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 다만 그의 인격과 성품과 됨됨이에 대한 평가를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9) 고대근동의 수난문학 작품들은  
.
,
W Beyerin Near Eastern Religious Texts Relating to the Old  
(
:
,
),  
-
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고대  
‘소유’의 문제보다 ‘사람’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철우, “소명기사 (이사야 장)의 관점에서 재  
Testament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8 133 141  
6
근동문학 연구에 있어서 참고할 만한 고전적인 자료들은 다음과 같다.  
.
,
고된 욥기  
-
장의 중심내용,” 『구약논단』 집 (  
. ),  
-
. 박철우는 욥기의 서론 ( - 장)과 결론  
1 2  
F Delitzsch Babel und Bibel  
38 42 52 2014 6 94 126  
(
: . .  
'
,
),  
.
,
(
: - )의 밀접한 연관성을 지적하고 한권의 책으로 욥기를 읽어야 한다는 점과 소명의 관점에서 욥이 한  
Leipzig J C Hinrichssche Buchhandlung 1902 S Langdon The Babylonian Epic of Creation  
42 7 17  
사람의 성숙한 사명자로 거듭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해석하였다. 소명의 주제에 초점을 맞춘 이 연구 역시  
욥의 소유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다.  
(
,
),  
.
.
,
(
,
:
Oxford 1923 F M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Cambridge London Harvard  
,
).이 주제와 내용은 확장된 형태의 후속적인 연구에서 다루기로 한다.  
University Press 1973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04  
105  
양식’에 해당한다.11)  
(이쉬 하야/한 사람이 있었다)로 시작되는  
hy"h' vyai  
2. 욥기 1장 1-5절의 내용과 짜임새  
장은12) 장은 일반적으로 접속사와 함께 정형화된 형태로 시  
작하는 구약의 역사적 이야기 양식과는 다르게, 이미 계속되던 어떤 사  
건과도 연관성이 없는 독자적인 시작을 보여주는 문장 형식이라고 할  
다.13)  
1) 사역  
1 람이 있었는데, 그름은 욥이었다.  
그는 완전하고 정직하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이며, 악에서 떠난  
람이었다(1b).  
1절 후반절의  
(브하야 하이쉬 하후/(그리고) 그가 바로  
aWhh; vyaih' hy"h'w>  
2 그에게서 태어난 이들은 일곱 명의 아들들과 세 명의 딸들이었으  
며,  
그런 사람이었다)도 정관사가 결합된 ‘인칭대명사’ <하후>를 사용한 강  
조용법의 문장이며, 이어서 욥에게 적용된 수식어구들은 ‘ ’(탐/완전  
~T'  
3 유는 칠천 마리떼, 삼천 마리의 낙타들,  
리의 소, 오백 마리나귀였으며, 종들도 매우 많았고,  
든 사람에 으뜸가는 사람10)었다(3b).  
4 들들은 가에, 집에서 잔치를 벌였고,  
그들의 이들도 함시도록 초청하였다.  
5. 그리고 그들의 잔칫날들이 차례로 돌아가고 나면, 욥은 보내어 그  
결케 하였는데,  
한), (야샤르/정직한)라는 두 개의 형용사와  
rv'y"  
(위레 엘로힘/  
~yhil{a/ arEywI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과  
(워사르 메라으/(그리고) 악  
[r"m( e rs"w>  
에서 떠난 자)라는 두 개의 명사구이다.14)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 악에  
는 서술적 호칭은 욥기 1장 8절과 2장 3절에서 총 3회 사용  
되었으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라는 표현은 창세기 22장 12절(아브  
15)  
라함)과 전도서 7장 18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1절은 욥에 대한 소  
개와 평가에 해당하며(A), 이 내용은 3절 하반절(3b - B)과 5절 하반절  
(5b - C)의 욥에 대한 평가 문장들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욥기 1장 1-5절 본문의 내용과 짜임새는 다음과 같이 요약  
볼수다.  
그는 아침에 일찍 일어나 그들 모두의 숫자대로 번제를 드렸다. 그  
했다.  
“혹시라도 내 자녀들이 그들의 마음으로 하나님을 저주하고, 죄를  
지었을 문이다.은 항렇게 행하였다(5b).  
2) 본문풀이  
11)  
.
,
.
,
.
.
(
.) (  
:
W Gesenius Gesenius Hebrew Grammar E Kautzsch A E Cowley ed Oxford Clarendon  
욥기 1장 1-5절은 맛소라 본문상으로 보았을 때 ‘개방단락’( )으로  
פ
,
), , - .  
Press 1990 106 d e  
12) 부정관사가 없는 히브리어 낱말 <이쉬>의 어감을 살려 여기서는 ‘한 사람이 있었는데’로 번역하였다. 이 본문  
을 <개역개정역>에서는 ‘사람이 있었는데’로 번역하였고, <표준새번역>에서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로 번역하  
였다. <공동번역>과 한국천주교주교회의의 <성경>에서는 ‘한 사람이 있었는데’로 번역하였다.  
단락 구분이 가능한 본문을 이루고 있다. 1절의 “우스 땅에 한 사람이  
있었는데”라는 문장은 문학적으로 이야기의 첫 부분을 시작하는 ‘서론  
13)  
.
.
, 윗글, . 나단의 비유 (삼하 : ), 모르드개에 대한 소개 (에 : ) 비교. ;  
.
,
M H Pope 12 1 2 5  
3
R Gordis The Book  
,
:
,
),  
;
.
.
,
of Job New York 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of America 1978 10 C L Seow Job 1-21  
(
/
:
,
), 참조.  
10) lAdG"(가돌/큰)은 위대한 사람을 표현할 때 사용된 용례로 확인해 볼 수 있다.  
.
,
.
.
,
.
.
Michigan Cambridge Grand Rapids 2013 252  
14) ‘악에서 떠난 자’에서 <사르>는 히브리어 동사 <수르>의 남성 분사형이다.  
15) .),  
F Brown S R Driver C A  
,
(
;
:
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on of the Old Testament London Oxford Oxford University  
,
),  
.
.
.
(
(
:
,
), .  
Press 1981 153  
G E Weil ed Massorah Gedolah Rome Pontificium Institutum Biblicum 1971 378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06  
107  
5절의 ‘하나님을 저주하고’라는 번역문에서 ‘저주하다’로 번역한 히  
고향  
(에레츠-우츠/우스땅), 이름 bAYai(이욥/욥)  
1:1  
1a 소개  
1b 평가  
#W[-#r<a,(.  
브리어 동사는 ‘ ’(바라크)이다. 히브리어 인쇄본성경(BHS)의 비평  
%r;B'  
(탐/완전한),  
(야샤르/정직한)  
rv'y"  
~T'  
A
장치에서는 ‘저주하다’라는 뜻의 <칼랄> 동사에 대한 완곡어법으로 해  
설하였지만, <표준새번역> 성경에서는 각주에 ‘서기관의 대치’로 설명  
해 놓았다.17) 여기서 사용된 동사 <바라크>가 42장 12절에서 문맥상  
‘복을 주다’라는 대비되는 뜻의 단어로 다시 사용되었다는 점은 욥기의  
서언과 결어 부분의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는 수사적인 장치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원형:야레/경외하는 자),  
(원형:수르/떠난 자)  
rWs  
arey"  
(바님/아들들), (바노트/딸들)  
~ynIB' tAnB'  
1:2  
1:3  
자녀  
(촌/양떼)-7000,  
!aoc  
(그말림/낙타들)-3000  
~yLim;G>  
3a 가축  
소유  
(바카르/소)-500겨리,  
(아토노트/암나귀들)-500마리  
tAnAta]  
rq'B'  
*
(아브다 랍바 므오드/매우 많은 종)  
dao+m. hB'r: hD"bu[]  
~d<q<)-ynEB.-lK'mi lAdG" aWhh; vyaih'  
3b 평가  
B
(하이쉬 하후 가돌 미콜-브네-케뎀/모든 동방 사람들 중에 으뜸가는 사람)  
이쉬 요모)/ 각자 그의 날(=정해진 날에))  
또한, 욥기는 성문서의 책들 가운데서 ‘공간적 배경’에 대한 언급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서두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데18), 1절 첫 문장의  
*
Am=Ay vyai(  
hT,v.mi  
(미스테/  
잔치)  
(브에레츠-우츠/우스 땅에) 라는표현은 에돔과 연관된 장소로  
#W[-#r<a,(b.  
1:4  
1:5  
(원형:할라크/갔다),  
%l;h'  
(원형:아사/벌였다)  
(원형:샤타/마셨다)  
hf'['  
해석되기도 했으나(창 36:28, 대상 1:42, 애 4:21), 정확한 위치는 알  
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19) 기서 강조되는 점은 ‘우스’라는  
장소가 팔레스타인 지역의 경계를 넘어서는 곳이며, 이를 통해 유대인  
유대인의 민족적인 제약을 넘어서는 보편적이며 무시간적인 가르  
(원형:아칼/먹었다),  
lk;a'  
ht'v'  
(원형:샬라흐/보냈다),  
(원형:카다쉬/성결케 했다)  
vd;Q'  
xl;v'  
5a  
hl'[o  
(올라/번제)  
(원형:샤캄/일어났다),  
(원형:알라/제사드렸다)  
hl'['  
~k;v'  
~ymi(Y"h;-lK' bAYai hf,[]y: hk'K'  
(카카 야아세 이욥 콜-하야밈/욥은 항상 그렇게 행하였다 (=살았다))  
5b 평가  
C
17)  
.
,
(
:
,
),  
. 맥칼  
M McCarthy The TiQQune Sopherim Göttingen Vanderhoeck und Ruprecht 1982 192  
티는 이것을 서기관의 개정과 구별되는 원래적 완곡어법으로 보았다.  
18) 잠언과 전도서는 ‘인물’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하고, 다니엘은 ‘시간’(여호야김 년)’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하  
3
며, 룻기는 ‘시간과 공간과 인물’(사사들이 치리하던 때에… 모압 지방에…그 사람의 이름은 엘리멜렉이요…)  
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하였다. 이러한 서두 형식은 예언서들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예언서  
2-3절은 욥의 ‘자녀’와 ‘가축’과 ‘종들’의 목록으로서 그의 ‘재산’ 혹  
소유’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다. 4-5절은 ‘정해진 날’과 ‘잔  
치’와 ‘제사’에 관한 기록이며, 여기서도 사용된 동사들은 두 개씩 짝을  
이루고 있는 특징(가다/벌이다, 먹다/마시다, 가다/성결케 하다, 일어  
나다/번제를 드리다)을 보여주며16), 이 분은 욥의 ‘삶’에 관련된 내용  
리해 볼 수 있다.  
의 양식 비교 연구는  
.
/
.
.
.
,
(
:
C Westermann tr H C White Basic Forms of Prophetic Speech London  
,
)을 참고할 수 있다.  
Luther Worth Press 1967  
인물  
말라기  
요나  
시간적 배경  
공간적 배경  
시간, 공간, 인물  
스가랴(다리오왕 2년)  
학개(다리오왕 2년)  
스바냐(요시야 시대)  
나훔(엘고스 사람…)  
미가(히스기야 시대, 모레셋 사람)  
아모스(웃시야 시대, 드고아 목자)  
오바댜  
호세아(여로보암이  
요엘  
이스라엘 왕이 된 시대에)  
19)  
.
.
.
,
(
:
,
), .  
;
D J A Clines Job 1-20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17 Dallas Word Books 1989 10 J  
.
,
(
:
. .  
,
,
),  
E Hartley The Book of Job Grand Rapids W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8 1991  
16)  
.
.
,
(
:
,
),  
.
.
65  
C A Newsom The Book of Job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3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08  
109  
달하이다.20)  
1장 2-3절의 ‘자녀-가축’의 목록은 42장 12-13절에서 정확하게 일  
치하는 낱말들을 사용하였고, ‘가축-자녀’의 목록으로 순서를 바꾸어  
기록하였다. 가축의 숫자는 2배수로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지만, 자녀의  
숫자는 아들 일곱과 딸 셋으로 동일한 숫자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 본문은 그렇게만 해석할 수 없는 문제가 남아 있다. 왜냐  
하면 이 본문에 포함된 욥의 소유 목록을 수록한 2-3절의 본문이 42장  
12-13절과 문자적인 일치와 더불어 구조와 내용에서도 밀접한 연관성  
여주면서 서로 상응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문의 정확한 기능과 의미 해석을 위해서는 1장과 42장 사이의 연관된  
본문을 검토한 후에 주석적인 결론릴 필요가 있다.  
(바님/아들들)-7,  
~ynIB  
(바노트/딸들)-3  
tAnB  
1:2 자녀  
3 가축  
a
b
(촌/양떼)-7000,  
!aoc  
(그말림/낙타들)-3000  
~yLim;G>  
(바카르/소)-500겨리,  
(아토노트/암나귀들)-500마리  
tAnAta]  
rq'B  
3. 욥기 전체 구조 속에서 1장 2-3절과 42장 12-13절의 상호 관계  
와 기능  
(촌/양떼)-14000,  
(그말림/낙타들)-6000  
~yLim;G>  
!aoc  
42:12 가축  
13 자녀  
b'  
a
(바카르/소)-1000겨리,  
(아토노트/암나귀들)-1000마리  
tAnAta]  
rq'B  
(바님/아들들)-7,  
~ynIB'  
(바노트/딸들)-3  
tAnB'  
베스터만(C. Westermann)은 욥기의 전체 구성을 1-2장의 ‘서론’  
과 42장 7-17절의 ‘결론’으로 구분하였고, 그 가운데 놓여 있는 3장  
과 29-31장이 ‘고난의 문제를 다루는 시문’이며 욥기의 애가로서 특  
성을 갖고 있다고 강조하였다.21) 팝(M. H. Pope)도 1-2장을 ‘서언’  
(prologue)으로 보고, 42:7-17을 ‘후기’(epilogue)로 구분하였다.22)  
문체에 있어서도 욥기의 서론과 결론은 ‘산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위치한 본문들은 ‘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확연하게  
구분할 수 있다(32:1-5 산문 제외). 문체와 내용에 있어서 서로 상응하  
징을 보여주는 욥기의 서론과 결론에 나타난 연관성은 특별히 욥  
의 ‘소유’와 관련된 목록의 용어와 본문 구성에서 서로 일치하는 특징  
여준다.  
휘쉬베인(M. Fishbane)은 ‘전승’을 전달하는 유대 서기관들의 역  
할 가운데는 ‘표제어’(레 6:2, 7; 7:1, 11)와 ‘간기’(刊記, colophon)  
(7:37-38, 11:46-47)를 붙이는 작업이 있었고, 예를 들어 ‘수미상응  
구조’(inclusio)를 이루는 전도서 1장 2절과 12장 8절에 덧붙여진 12  
장 9-12절이 서기관들의 간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분석하였다.23) 이  
러한 구조 분석은 욥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욥기 1장  
2-3절과 42장 12-13절을 일종의 ‘수미상응구조’로 보고, 나머지 42장  
14-17절의 추가적인 설명 부분을 ‘간기’로 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  
다. 이렇게 보았을 경우에 욥기 1장과 42장의 ‘소유’ 목록에 해당하는  
‘자녀’와 ‘재산’의 목록은 최종 본문 상에서 문학적으로 서론과 결론을  
밀접하게 연결시켜주는 수사적인 장치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욥의 자녀들을 언급한  
20)  
21)  
. .  
.
, 윗글, ; 이군호,『욥기』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  
-
주년 기념 성서주석,  
100  
(서울: 대한기독교  
16  
D J A Clines  
서회, ),  
1998 84 85  
.
,
(
:
,
), - .  
C Westermann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Job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1 1 13  
베스터만은 장을 대화부분으로, 장을 하나님의 응답 부분으로 구분하고, 장은 욥기의 가운데  
-
-
4 27 38 42 28  
위치한 본문으로 파악하였다.  
, 윗글,  
23)  
.
,
(
:
,
),  
M Fishbane Biblical Interpretation in Ancient Israe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5  
22)  
.
.
-
.
-
.
M H Pope  
15 16  
24 43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10  
111  
‘사람’의 문제도 문학적인 구조의 문제로 다룰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볼(C. J, Ball)은 욥이 재난으로 자녀를 잃었다가 다시 얻게 되는 가족관  
계 문제를 ‘문자적 역사’로 다루는 것보다는 ‘히브리어 알파벳의 숫자  
값’과 연결 지어 해석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아들 일곱 명과 딸 세 명의  
1-5절의 본문은 욥의 ‘소유’ 목록에 해당하는 본문들의 상호적 연관성  
을 통해 ‘수미상응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 책 전체의 이야기 전개를  
위하여 욥이라는 인물이 누구인가를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  
면 1-5절에서 묘사하는 욥에 대한 평가는 책 전체의 구조 안에서도 이  
야기 전개를 위한 ‘서론적인 소개’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다.26)  
숫자는 그 숫자 값을 합하여 ‘10’이 되는 욥( )의 히브리어 이름 철자  
bAYai  
들과 연관된 ‘완전함’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하  
였다.24)  
1장 1-5절 해석을 진행하면서 확인해야 할 또 다른 문제는 어떤 ‘신  
명’이 사용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1절에서 처음 주어로 등장하는 신명  
이렇게 해석할 경우에 욥의 자녀 상실과 회복이 기록된 서문과 결어  
장은 사람의 ‘부모-자녀’라는 ‘인격적 관계’의 문제라는 관점보다  
‘소유’의 문제와 관련된 ‘비인격적 차의 수사학적인 구조와 문학적 장  
치의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또 다른 면에서 보면, ‘수’의 변경  
없이 기록된 아들들과 딸들에 대한 문제는 사람과 관련된 고통의 주제  
산이 두 배로 불어난 것과 같이, 단순히 ‘숫자’의 물리적 증가로는  
해결될 수 없는 주제이며, ‘사람’의 문제는 ‘사람’을 통해서 하나님의 은  
혜로만 그 아픔을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내용으로도 해석할 수 있  
다.25)  
(엘로힘/하나님)이다.27) 그렌(H. Ringgern)은 욥기의 내용  
~yhil{a/  
가운데 욥과 친구들의 대화에서 사용된 ‘신명’들은 그들이 이스라엘인  
들이 아니었기에 이스라엘의 배타적인 신명으로서 ‘야훼’를 의미할 수  
었다고 평가하였다.28) 수토(U. Cassuto)는 구약 본문의 주제가  
선민으로서 이스라엘과 관련이 되어 있을 때에는 ‘야훼’라는 신명이 사  
용되지만, 선민이 아닌 사람들반적인 전통과 관련될 때에는 ‘로  
26)  
.
.
, 윗글, . 잰슨 ( .  
.
)은 욥기의 서론에 해당하는 - 장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분  
1 2  
J G Janzen  
25 J G Janzen  
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은 있지만, 문학적인 형식의 관  
점에서 보았을 때에 욥기의 서론과 결론이라는 전체 구조 안에서 욥기  
1장 1-5절과 42장 7-17절은 욥기의 저자가 전승된 이야기를 전달하  
나의 틀로서 마련한 문학적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왜냐하면 1장  
하였다.  
: - 욥에 대한 소개  
1 1 5  
: - 하늘의 첫 장면 (시작하는 질문)  
1 6 12  
:
-
땅의 첫 장면 (고난에 대한 욥의 응답)  
1 13 22  
: - 하늘의 둘째 장면 (천상의 질문)  
2 1 7a  
:
-
땅의 둘째 장면 (욥의 응답과 고난)  
2 7b 10  
:
-
결론적 이야기 (친구들의 소개와 욥의 고통)  
2 11 13  
클라이스는 욥기 서론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평행을 이루는 개의 장면들(  
)로 단락 구분하였으며,  
scenes  
6
- 을 ‘여는 장면’(  
)으로 보았다.  
,
, -  
1 5 opening scene  
Clines Job 1-20 6 7  
24)  
.
.
,
(
:
,
),  
.
C J Ball The Book of Job Oxford Clarendon Press 1922 97  
. 지상 : - 욥의 경건  
1 1 5  
. 천상 : - 야훼와 사탄의 첫째 대화  
1 6 12  
1
2
3
4
5
(히브리어 알페벳 숫자값 6)+ (숫자값 1)=7  
아들  
ו
א
(숫자값 1)+ (숫자값 2)=3  
. 지상 : 욥에게 보고된 재난들  
-
א
ב
1 13 22  
. 천상 : - 야훼와 사탄의 두 번째 대화  
2 1 7a  
둘의 합: 10 =  
완전함 (=의미)  
י
. 지상 :  
-
욥의 개인적 재난들  
2 7b 10  
- 각각의 숫자 값을 가지고 있는 이상의 히브리어 알파벳들은 ‘욥’의 히브리어 이름을 구성하는 철자들이다.  
25) , 윗글, . 스나이드는 욥의 재산이 회복될 때 아들 일곱을 언급한 욥기  
. :  
-
욥의 친구들의 도착  
6 2 11 13  
.
.
-
장 절의 hn"['b.  
42 13  
N H Snaith 15 16  
27)   
.
.
,
.
,
(
:
John R Kohlenberger III James A Swanson The Hebrew English Concordance Grandrapid  
vi(쉬브아나)는 고대 형태의 표현일 수 있다고 보고, 탈무드 전승에서는 일곱의 두 배를 의미한다는 설명을 제  
시하였다. 딸의 경우는 절의 재난 보고에서 ‘젊은 남자들’을 뜻하는 ~yrI['n>(느아림)이 사용되었기  
,
),  
,
.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98 109 3378  
1
-
18 19  
때문에 죽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소개하였다.  
28) 윗글,  
.
272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12  
113  
힘’이라는 신명을 사용하였던 구약의 언어적 전통의 특징을 설명하기  
다.29)  
1:2-3  
1:14-18  
42:12-13  
(소)  
rq'B'h;  
아들  
~ynIB'  
2절  
-
14절  
+
!aoc  
12절  
(암나귀)  
(양)  
tAnB'  
!aoc  
2
tAntoa]h'  
-
-
14절  
16절  
+
+
~yLim;G>  
rq'B'  
12  
12  
1-2장의 서론에서 ‘엘로힘’(11회)과 ‘야훼’(아도나이, 18회)라는 신  
명이 함께 사용되고 있으며30), 42장에서는 ‘야훼’라는 신명이 전체적으  
타나고 있지만, 분명한 사실은 1장의 재산 목록이 등장하는 1-5  
절에 사용되었던 ‘엘로힘’이라는 신명이 42장의 상응하는 비교 본문으  
로서 12-13절의 재산 목록 연결 본문에서는 ‘야훼’로 명확하게 바뀌어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3절  
!aCoB;  
(낙타)  
낙타  
~yLim;G>  
rq'B'  
3
3
3
~yLim;G>h;  
-
-
-
17절  
18절  
18절  
+
+
+
tAnAta]  
~ynIB'  
12  
13절  
13  
(아들)  
^yn<"B'  
(딸)  
암나귀 tAnAta]  
^yt,Anb.W  
tAnB'  
그러므로 1장 1-5절에서 사용된 히브리어 낱말들을 구체적으로 비  
교해 보면 욥기의 서론으로서 1-2장의 나머지 본문과도 1-5절은 연관  
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결론에 해당하는 42장 본문과 더욱 밀접한 연  
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따라서 1-5절은 욥기  
전체를 결론 부분과 연결시키는 전체의 서론으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  
에, 1-2장에서 전개되는 천상회의와 사탄의 시험 이야기에 배경을 제  
공한다는 점에서 서론 부분의 서언으로서 역할을 하는 본문이라는 결  
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 본문은 욥기의 전승을 전달하는 수사적이며  
문학적 장치로서 42장 12-13절과 연결되어 '수미상응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문으로 평가할 수 있다.  
4. 1-2장의 구조 속에서 1장 1-5절의 위치와 기능  
욥기 1장 1-5절은 이러한 욥기의 서론 단락 안에서 다시 부분적인  
‘서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2-3절의 자녀와 가축과 종들과 관련된  
욥의 소유 목록은 14-18절의 재난에 관한 본문에서 그 순서가 흐트러  
고, 가축들의 목록은 정관사가 붙은 형태로 기록되었으며, 아들들  
들은 ‘너의’라는 2인칭대명사 속격 접미어가 결합된 형태로 기록  
되었다. 욥에게 닥친 첫 번째 재난의 내용이 전개되는 13-22절 단락과  
1-5절의 첫 단락은 이처럼 욥의 ‘소유’ 목록의 내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밀접한 상호관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소유  
목록의 문자적인 일치와 순서상의 대칭관계는 42장 12-13절에서 매  
명하타나고 있다.  
5. 욥기 1장 1-5절과 42장 12-13절의 신학적 의미 해석  
그렇다면 욥기의 서론과 결론 부분에서 서로 상응하는 구조를 이루  
는 욥의 ‘소유’ 목록과 그 관련 본문들이 담고 있는 신학적인 의미  
엇인가? 최종본문으로서 현재의 욥기 서론은 ‘신명’을  
(엘로  
~yhil{a/  
힘/하나님)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42장에서는 여기에 상응하는 관련  
본문에서는 ‘엘로힘’ 대신에 이스라엘 고유의 신명으로서 (아도나  
29) 카수토,『반문서설』(배제민역편), (서울: 기독교문사,  
),  
1991 45  
. 원제는  
.
,
U Cassuto Documentary  
(
:
,
). 하지만 욥기 - 장에서 ‘야훼’라는 신명과 ‘엘로힘’이라  
Hypothesis Jerusalem Magnes Press 1961 1 2  
hwhy  
이/주님)로 기록된 ‘야훼’가 주어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42장 12절 전  
는 신명이 혼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기계적으로 전체 구약 본문에 적용하기는 어려운 원리일 수 있다.  
30) 윗글,  
.
33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14  
115  
1장과 42장의 ‘소유’ 목록과 관련된 ‘신명’은 일반명사로서 ‘신들’로도  
번역될 수 있었던 ‘엘로힘’에서 이스라엘 고유의 신명인 ‘야훼’로 변화  
되는 과정을 통해 ‘하나님’이 바로 ‘야훼’라는 사실을 드러내 준다.  
욥기 1-2장의 전체 서론에서는 천상회의를 주관하고 욥의 고난을 허  
락하시는 하나님의 신명이 ‘엘로힘’과 ‘야훼’로 함께 등장하지만, 42장  
론에서는 ‘야훼’라는 신명만을 사용함으로써, 욥의 모든 것을 회복  
시키는 분으로서 나님은 ‘야훼’라고 밝혀준다.32) 시에 욥기는 38장 1  
절-42장 6절의 본문들에 담겨 있는 창조주 야훼에 대한 이해를 이어지  
는 42장 7절 이하의 본문에 결합시킴으로서 욥기 전체의 문학적인 구조  
야훼는 누구인가?’를 선포하도록 하고 있다.33) , 이스라엘의 하나  
야훼’는 사람의 고난 가운데 찾아와 그를 만나고, 구원하시며, 모든  
복하시며, 창조하시창조주’이심해주다.  
역사적인 시간의 제한된 범위를 초월하는 보편적 주제로서 ‘신관’의  
문제는 1장 1-5절과 42장 12-13절의 욥의 ‘소유’ 목록과 연관된 매우  
인상적이며, 짧은 비교 본문들 가운데서 ‘신명’의 변화를 통해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학적인 틀은 욥의 이야기와 관련된 고대 서아  
시아 지역의 문학에 나타난 공통된 주제로서 ‘고난’의 전승(traditum)  
을 결국 이스라엘의 ‘야훼’를 선포하는 본문과 결합시킴으로써 ‘이스  
라엘화’ 하는 전승과정(traditio)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34)  
반절에서는 1장 5절에 사용된  
(바라크/복주다) 동사의 주어를 ‘야  
%r;B'  
훼’로 기술함으로써 사람에게 복을 주는 분이 바로 ‘야훼’임을 드러내  
주었다.  
At=viarEme bAYai tyrIx]a;-ta, %r:Be hw"hyw:)  
(그리고 야훼께서 욥의 나중의 처음보다 주셨다…(사역))  
문은 주어를 ‘야훼’로 기록함으로써 결국 욥의 복은 ‘야훼’께서  
주시는 것이며, 처음과 나중이라는 대조적인 개념이 모두 야훼께 속한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것은 결국 욥의 인생 전체와 모든 것이 ‘야훼’  
권 안에 들어 있다는 가르침(메세지)을 전달한다. 이어진 12-13  
절은 처음보다 두 배가 된 많은 가축과 처음과 동일한 10명의 자녀들이  
현실적으로 욥이 받은 복의 구체적인 내용임을 말해주고 있다. 이 본문  
현은 욥의 회복을 이야기하기 시작하는 10절과도 연결될 수 있다.  
Wh[e_rE d[;B. All.P;(t.hi(B. bAYai tybiv.-ta, bv'… hw"hyw:)  
`hn<)v.mil. bAYail. rv<a]-lK'-ta, hw"hy> @s,YOw:  
(그리고 욥이 기도할 때에 그의 곤궁함과 그의 친구들까지도 야훼께서 회복  
해주셨다. 그리고 야훼께서욥에게 속한 모든 것을 두 배로 더해주셨다.(사  
역))  
,
(
-
Elliger Deutero Jesaja 40.1-45.7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XI1 Neukirchen  
:
,
),  
-
;
-
,
,
.
.
Vluyn Neukirchener Verlag 1978 401 402 Hans Joachim Kraus Psalmen Teilbd.2 tr by H  
동사 (슈브/돌이켰다)와 (야사프/더했다) 의 주어 역시 ‘야훼’  
bWv @s;y"  
.
,
(
:
,
), 참조.  
C Oswald Psalms 60-150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1989 368  
32) 강사문은 구약의 ‘엘’이 제 성전 시기에 ‘야훼’(아도나이)로 대체되었고, 형용사적인 ‘엘’은 ‘엘로힘’으로 대체  
이다. 욥과 그의 친구들을 회복하시는 분도 욥에게 모든 것을 더하시  
1
되었다고 주장한 크로스 ( )의 주장을 소개하면서, 처음에 타문화권의 문화적 유산을 그대로 활용하고,  
Cross  
도 이스라엘의 ‘야훼’이시다. 여기서 ‘모든 것’을 뜻하는 히브리어  
그후에 야훼신앙으로 대체시키는 과정이 구약의 역사 속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강사문, “조상  
의 하나님과 모세의 하나님,” 『구약의 하나님』 (서울: 한국성서학연구소, ),  
-
.
1999 13 29  
33) ‘야훼’ 선포를 위한 구약의 경전적인 특징에 관한 논의는 김진명, “고대 서아시아 종교의 배경 속에서 본 룻기  
의 기록 목적에 관한 연구,” 『구약논단』 집 ( 년 월), 을 참조할 수 있다.  
31)  
(콜/모든)은 12절의 ‘처음과 나중’과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욥기  
lK'  
-
48 2013  
6
43 66  
34) 강사문, 윗글,  
. 강사문은 욥기가 고대 근동문학의 이스라엘화가 시도된 작품이며, 왕정시기에 형성되었  
424  
31) 히브리어에서는 양극단에 해당하는 개념들을 통해 전체를 표현할 수 있다 (사 : ; : , ; 시  
: ).  
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하였다.  
44 6 45 6 7 113 3 Karl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16  
117  
즉, 이러한 본문들의 문학적인 틀은 ‘야훼’만이 세상 사람들에게 복을  
주고, 고난에 처한 사람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이심을 선포하는 기능을  
이다.  
6. 결론  
이 연구는 산문으로 이루어진 욥기의 서론과 결론 부분(1:1-2:13,  
43:7-17)이 시문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다른 부분들과 달리 본문 상호  
간에 밀접한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문학적 구조의 틀 속에  
고대 근동의 수난 문학과 공유하고 있는 공통의 ‘전승’(traditum)으로  
서 ‘고난’의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을 전제하고 논의를 시작하  
였다. 욥기의 서론과 결론 가운데서도 더욱 분명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욥의 재산 목록은 각각 1장 2-3절과 42장 12-13절에 대칭적으로 배  
열된 구조를 통해 문학적으로는 ‘수미상응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 한 가지 특별한 점은 1장의 소유 목록과 관련된  
1-5절에 나타난 ‘엘로힘’이라는 신명이 42장의 상응하는 본문에서는  
‘야훼’라는 이스라엘 고유의 ‘신명’으로 달리 표현되었다는 차이였다.  
이렇게 서로 상응하는 최종본문상의 문학적 구조 안에서 ‘신명’의 변경  
은 이 책 체를 통해 전개되었던 욥기의 ‘신관’을 마지막에 이르러 다  
시 확인시켜주는 수사학적인 기능을 한다. 즉, 욥기는 욥의 처음 소유  
목록과 관련 본문에 나타난 ‘엘로힘’을 책의 마지막에 위치한 비교 본  
문에서 ‘야훼’로 밝혀줌으로써 ‘야훼 그분이 바로 하나님이다’라는 가  
르침을 보다 분명하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욥기의 기록 목적들 가운데 하나는 ‘엘’ 혹은 ‘엘로힘’이라  
명을 공유하거나, 저마다 자신들의 종교 체계 안에서 신이나 신들  
기며 살아가던 고대 서아시아 세계 속에서 구약의 이스라엘 사람  
들에게 ‘야훼’가 참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전달하고 알리기 위한 것이었  
다고 말할 수 있다. 북왕국 이스라엘의 선지자 엘리야는 아합왕이 통치  
하던 시대에 바알과 아세라의 선지자들과 갈멜산에서 대결할 때에 다  
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선택구하였다.  
wyr"_x]a; Wkl. l[;B;h;-~aiw> wyr"x]a; Wkl. ~yhil{a/h'( hw"hy>-~ai  
(임-아도나엘로힘 르쿠 아하라임-합바알 르쿠 아하라브)  
“여호와( )가 만일 하나님(  
)이면 그를 따르고 바알( )이  
l[;B;h  
hw"hy> ~yhil{a/h'(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따를지니라”(개역개정역) 라는 열왕기상 18장  
21절의 선택 요구는 엘리야가 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외쳤던 간구의 내  
운데 37절의  
(키-아타 아도나이 하엘로힘/야  
~yhi_l{a/h' hw"hy> hT'a;-yKi(  
신께서 하나님이라)이라장으로 귀결되었다.  
엘리야는 바알과 아세라 선지자들과의 대결 현장에서 ‘야훼가 하나  
님이다’라고 선포했다면, 욥기의 저자는 욥기의 서론과 결론부에 나타  
학적인 장치로서 ‘수미상응구조’(inclusio)의 수사학적인 틀을 통  
하여 ‘하나님이 야훼이다’라는 종교적인 메시지를 독자와 청중에게 전  
달하고 있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문학적 구조와 장치를 통하여 욥기는 사람의 인생  
전체로서 ‘처음과 나중’을 주관하고, 사람에게 ‘복을’ 주는 신도 바로 이  
스라엘의 ‘야훼’임을 다양한 종교와 신들에 대한 인식이 공존하던 고대  
서아시아 세계 속에서 살아가던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선포하였다고 볼  
다. 이러한 내용들은 그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야훼’를 선전  
하고 알리는 종교적 목적을 갖는 경전의 한 책으로서 욥기의 기록 목적  
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18  
119  
Press,1981)  
7. 참고문헌  
Clines, D. J. A., Job 1-20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17  
(Dallas:Word Books,1989)  
강사문, 『구약나님』(서울:국성서학연구소,1999)  
______,『구약해』(서울:국성서학연구소,2002)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욥기』(제3세계 신학연구소 번역실 옮김), (서  
울: 나눔사, 1991), 32-33. 원제 G. Gutierrez,On Job (New  
York:OrbisBooks,1987).  
Elliger, K., Deutero Jesaja 40.1-45.7 Biblischer Kommentar Altes  
Testament XI1 (Neukirchen-Vluyn:Neukirchener Verlag,  
1978)  
Fishbane, M.,Biblical Interpretation in Ancient Israel (New York:  
Oxford UniversitPress,1985)  
김영진외 15인공저,『구약성서개론』(서울:한기독교서회,2004).  
김진명, “고대 서아시아 종교의 배경 속에서 기의 기록 목적에 관  
구,구약논단』48(20136월),43-66.  
Gordis, R.,The Book of Job, New York:The Jewish Theological  
Seminary ofAmerica,1978)  
목회와 신학편집음,『욥기』(서울:란노아카데미,2008)  
박철우, “소명기사 (이사야6장)점에서 재고된 욥기 38-42장의  
중심내용,구약논단』52(20146월),94-126.  
스나이드, 『욥기의 형성사』(김성애 옮김),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1989), 15-16. 원제 N. H. Snaith, The Book of Job (Lon-  
don:S.C.M.Press,1968).  
Hartley, J. E.,The Book of Job (Grand Rapids: W.B. Eerdmans  
PublishingCompany,1988,1991)  
Horst,H.,Hiob, Kapitel 1-19, 1.Teilband,Biblischer Kommentar  
(Neukirchener-Vluyn:NeukirchenerVerlag,1983)  
Janzen,J.G.,Job, Interpretation (Atlanta:JohnKnox Press,1985)  
Hans-Joachim Kraus,Psalmen Teilbd.2, tr. by H. C. Oswald,  
Psalms 60-150 (Minneapolis:AugsburgFortress,1989)  
Gesenius, W.,Gesenius Hebrew Grammar, Kautzsch, E., Cow-  
ley,A.E.,(ed.)(Oxford:ClarendonPress,1990)  
우상혁, “이야기로서 욥기 읽기,” 『구약논단』39(20116월), 83-  
107  
이군호,『욥기』(서울:망사,1977)  
______,『욥기』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16 (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98)  
McCarthy,M.,The TiQQune Sopherim (G ttingen:Vanderhoeck  
ö
und Ruprecht,1982)  
카수토,『반문서설』(배제민역편), (서울: 기독교문사, 1991), 45. 원제  
U. Cassuto,Documentary Hypothesis (Jerusalem: Magnes  
Press,1961)  
Newsom, C. A.,The Book of Job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2003)  
Pope,M. H., Job,The Anchor Bible 15 (New York: Doubleday,  
1997)  
Ball,C.J.,TheBookof Job(Oxford:Clarendon Press,1922)  
Brown,F.,Driver,S.R.,Briggs,C.A.,Hebrew and English Lexion  
of the OldTestament (London;Oxford:Oxford University  
Ringgren, H., “  
”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Old Testa-  
ment (TDOT), vol.1 (Grand Rapid: W. B. Eerdmans Pub-  
~yhil{a,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20  
121  
lishing Company,1972)  
A Study on the Lists of Property and  
Schmidt, W. H., “  
” Ernst Jenni, Claus Westermann (ed.),  
~yhil{a,  
the Change of God’s Name in the Prologue and  
Theologisches Hand wrterbuch zum Alten Testament  
,
the Epilogue of Job:  
Mark E. Biddle, Theological Lexicon of the Old Testa-  
ment,vol.1(Peabody:Hendrickson,1997)  
Seow, C. L.,Job 1-21 (Michigan/Cambridge: Grand Rapids,  
2013)  
Focused on the Texts of 1:1-5 and 42:12-13  
Jin MyungKim,Th.D.  
AssistantProfessor,Dept.of the Old TestamentTheology  
Presbyterian UniversityandTheological Seminary  
Weil, G. E., (ed.), Massorah Gedolah (Rome:Pontificium Institu-  
tumBiblicum,1971)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meaning of Job 1:1-5 and 42:12-13. Especially the list of property of  
Job in Job 1:2-3 (prologue) is literally echoed in 42:12-13 (epilogue).  
These two texts make an 'inclusio' which is a rhetorical and literary  
structure, an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m. The change of the  
appellation of God (Elohim → YHWH) is the most important. What is  
thepurpose of Job’swriter in regard tothis change?  
Westermann. C. /tr. H. C. White, Basic Forms of Prophetic  
Speech (London:Luther WorthPress,1967)  
_______________, The Structure of the Book of Job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1)  
검색어  
Most former interpreters of Job 1:1-5 have not taken much interest  
in the list of Job’s property (1:2-3; 42:12-13). The present study,  
however, explores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1:1-5 (2-  
3) and its theological meaning as an ‘inclusio’ of the proclamation of  
YHWH. The assumption is that the Hebrew tale of Job is connected  
with the common tradition (traditum) of the suffering-literature  
of Ancient Near Eastern texts and that it includes the process of  
Israelization of the tradition (traditio).  
야훼  
엘로힘  
록  
수미상응구조  
By using a rhetorical critical metho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exts in the book of Job (introduction, chaps. 1-2 (1:14-  
18); conclusion, 42:7-17 (12-13)),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lists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욥기의 서언과 결어에 나타난 ‘소유’(재산) 목록과 ‘신명’(神名)의 변화 문제에 대한 연구  
ㅣ김진명  
122  
123  
of Job’s property.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 dual function of  
Job 1:1-5 was identified not only as a small intro to the introduction  
(chaps. 1-2) but also as an intro to the whole book (chaps. 1-42).  
The conclusion was also reached that the writer of the book of Job  
tried to propose a religious message through this literary structure  
and rhetorical devices: ‘Elohim’ as a common god of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raditum) is Israel’s ‘YHWH,’ who is the Lord of life,  
the first and the last, the Creator of the world, and the real giver of  
blessings (traditio).  
에스라-느헤미야서토리  
학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one of the purposes of  
writing this book is to deliver such a religious message to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his interpretation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timeless lesson of the book of Job and its identity as one of the  
religiouscanonicalbooks in theOld Testament.  
박철우 (나사렛대)  
1. 서론  
Keywords  
에스라-느헤미야서의 문학적 구조는 그 책이 담지하고 있는 핵심신  
학을 반영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고 다양한 이해가 제시되  
어왔다. 특히 에스케나지(Tamara C. Eskenazi)는 에스라-느헤미야  
서가 두 개의 핵심목록인 에스라 2장과 느헤미야 7장이 이 책에서 수  
미상응(inclusio)을 이루며 이 두 목록 사이에서, 에스라 1장 1-4절  
언적 내용이 3단계로 실현되고, 이어지는 느헤미야 8-13장이 이  
모든 내용의 완성이며 결론부 역할을 한다고 분석하였다.1) 그러나 밴  
YHWH  
Elohim  
Job  
the llistof property  
inclusio  
투고일:2016116일  
심사일:2016131일  
정일: 2016년 2월 9일  
*
이 논문은  
학년도 나사렛 대학교의 연구비 지원과제임.  
2016  
1)  
.
, "  
-
",  
Tamara C Eskenazi The Structure of Ezra Nehemiah and the Integrity of the Book JBL  
(
),  
-
;
,
, (  
:
,
).  
107 1988 641 656 idem In an Age of Prose Atlanta Scholars Press 1988  
제22권 1호(통권 59집) 2016년 3월 31일  
에스라-느헤미야서의 스토리 전개 패턴과 신학  
ㅣ박철우  
124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