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는 성경 중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룬 성경으로 평가되며, 문체도 수사학적이기에 매우 어렵습니다.
관련하여, 욥기의 중심흐름을 제대로 알기에 도움이 되는 논문을 소개합니다.^^
* 욥기 중 많은 내용을 다룰 수 있지만, 큰 뼈대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 인정'입니다! 여기서 벗어나는 내용을 다루지 않아야 합니다. 각종 등장인물과 사건으로 인해 '여러 철학적 문제가 제기되더도' 그것들은 모두 피조물로서 창조자의 주권에 도전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지 못합니다. 곧, 욥기는 하나님과 욥의 무한한 차이를 인정하는 것을 1차적인 강조점으로 삼으며, 그 와중에 길흉화복을 욥에게 해당 깨우침을 주는 수단으로 삼습니다.
관련하여, ABSTRACT(영문)과 그것의 번역부터 올립니다.
A Study on the Lists of Property and the Change of God’s Name in the Prologue and
the Epilogue of Job:
Focused on the Texts of 1:1-5 and 42:12-13
Jin Myung Kim, Th.D.
Assistant Professor, Dept. of the Old Testament Theology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literary function and theological meaning of Job 1:1-5 and 42:12-13. Especially the list of property of Job in Job 1:2-3 (prologue) is literally echoed in 42:12-13 (epilogue). These two texts make an 'inclusio' which is a rhetorical and literary structure, and there are some changes in them. The change of the appellation of God (Elohim → YHWH) is the most important. What is the purpose of Job’s writer in regard to this change?
Most former interpreters of Job 1:1-5 have not taken much interest in the list of Job’s property (1:2-3; 42:12-13). The present study, however, explores the rhetor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1:1-5 (2-3) and its theological meaning as an ‘inclusio’ of the proclamation of YHWH. The assumption is that the Hebrew tale of Job is connected with the common tradition (traditum) of the suffering-literature of Ancient Near Eastern texts and that it includes the process of Israelization of the tradition (traditio).
By using a rhetorical critical metho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texts in the book of Job (introduction, chaps. 1-2 (1:14-18); conclusion, 42:7-17 (12-13)),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lists of Job’s property. In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 dual function of Job 1:1-5 was identified not only as a small intro to the introduction (chaps. 1-2) but also as an intro to the whole book (chaps. 1-42). The conclusion was also reached that the writer of the book of Job tried to propose a religious message through this literary structure and rhetorical devices: ‘Elohim’ as a common god of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raditum) is Israel’s ‘YHWH,’ who is the Lord of life, the first and the last, the Creator of the world, and the real giver of blessings (traditio).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one of the purposes of writing this book is to deliver such a religious message to the Ancient Near Eastern world. This interpretation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timeless lesson of the book of Job and its identity as one of the religious canonical books in the Old Testament.
이 논문은 욥기 1:1-5 및 42:12-13의 문학적 기능과 신학적 의미를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욥기 1:2-3의 욥의 소유물 목록(서론)은 42:12-13(에필로그)에서 말소되어 있는데, 이 두 텍스트는 수사적이며 문학적인 구조인 '인클루시오'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는 하나님의 명칭 변화입니다(Elohim → YHWH). 이 변화와 관련하여 욥의 작가가 가진 목적은 무엇인가요?
이전 욥기 1:1-5 해석자들은 욥의 소유물 목록(1:2-3; 42:12-13)에 흥미를 두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현재 연구는 1:1-5 (2-3)의 수사적 구조와 기능, 그리고 그 신학적 의미를 YHWH의 선포의 '인클루시오'로 탐구합니다. 가정은 욥의 히브리 이야기가 고대 근동 텍스트의 고민 문학 전통 (traditum)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전통의 이스라엘화 과정 (traditio)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수사 비평적 방법을 사용하여 욥기의 텍스트(서론, 장 1-2(1:14-18); 결론, 42:7-17(12-13))를 분석하여 욥의 소유물 목록과 관련된 텍스트를 비교했습니다. 이 연구 과정에서 욥 1:1-5의 이중 기능이 서론(chaps. 1-2)의 소개뿐만 아니라 전체 책(chaps. 1-42)의 소개로도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욥기의 저자가 이 문학적 구조와 수사 장치를 통해 종교적 메시지를 제안하려고 했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Elohim'은 고대 근동 세계의 공통 신이었지만(전통), 이스라엘의 'YHWH'는 생명의 주, 처음이자 끝, 세상의 창조주, 복의 진정한 주인으로 변환되었습니다(전승).
이 연구를 통해 이 책을 쓴 목적 중 하나는 이러한 종교적 메시지를 고대 근동 세계에 전달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해석은 욥기의 시대적 교훈과 그것이 구약 성서의 종교적 정규 도서 중 하나로서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학 자료 > 추천 신학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앙생활의 상향 평준화 방법1 - 교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0) | 2024.01.16 |
---|---|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2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4) | 2023.11.27 |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1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1)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