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와개혁신학목회연구소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전체 글 1156

교회 컴퓨터 업그레이드! - 쉽고 빠르게 호환 부품 점검&교체하기

교회에서 컴퓨터는 매우 중요합니다. 목사님들이 반농담으로 계시를 받을 수도 있고, 계시를 전달할 수도 있는 도구로 컴퓨터를 강조하지요!^^; 특히, 작은 교회는 늘 재정적으로 힘들기에, 상황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적절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실무자들에게 쉽고 빠르게 '교회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곳'을 소개합니다. * 아래의 사이트에서 반드시 구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업그레이드를 위한 호환 부품을 점검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홈페이지에서 컴퓨터를 스캔하거나 관련 정보를 확인하여, 적절히 업그레이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아래에 링크된 블로그는 '그 위에 링크된 사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합니다. -> 웬만하면, 메인보드를 확인후, 그것에 맞게 SSD와 RAM을..

'유대교(한스 큉)1' - 그리스도인으로서 유대교 이해하기

본 작품은 '로마가톨릭교회'가 기독교적 관점으로 유대교를 바라본 작품 중 하나입니다.  * 이신건 교수님이 요약하시네요! 강의가 올라오는데로, 본 홈페이지에서도 꾸준히 링크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매우 기본적인 팩트체크와 비평을 하는데,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유대교에 관해 상식에  도움이 됩니다.^^ * 그리스도인으로서 유대교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에 아주 유용합니다! 특히, 이-팔 전쟁이 발발한 시점(2023년 10월 -업데이트중)에서 이 강의는 더욱 필요합니다. 이에, 제목과 영상을 정리해 링크합니다.^^유대교(한스 큉) 1 - 제1부 여전히 현존하는 과거 1장 기원,  1. 아브라함 - 3대 세계종교의 조상 - 1)  간략한 세계사 고찰, 2) 우리가 알고 있는 아브라함은 누구인가?, 3)  신..

Did John Chrysostom read Philo? A Philonian Analogy in Homilies on Genesis - The Australian Institute for Orthodox Christian Studies

'안디옥 학파의 거장인 요한 크리소스톰'이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시조 중 하나인 필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신학적 토대'의 '안디옥 학파 신학으로의 이식'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는 초대교회의 신학 전체를 양분하는 두 학파가 어떤 방법으로 서로 교류했고, 어떤 장점을 서로에게 받아들이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점과 과정'을 드러냅니다. 관련하여, 본 영상은 '요한 크리소스톰이라는 인물'과 '구약성경 중 창세기'를 중심에 놓고, 논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갑바도기아 교부(특히, 닛사의 그레고리우스)'가 있을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위 내용은 개혁신학에서 매우 강조 및 주장하는 바로서, 전체 기독교에서 교부학적으로 중요합니다. 초..

20220619 주일예배, 그리스도가 갈릴리에서 구원사역을 시작합니다!, 마태복음 4장 12-17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10:35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신구약 성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사법인 '교차대구법'에 관한 설명은 58:13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마태복음 4장 12-25절은 3개의 단락으로 구성됩니다. 이 단락들은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구원사역의 특징’을 요약합니다. 이 단락들은 향후 마태복음에서 다루어질 ‘구원사역의 특징’을 짧게 예고합니다. 내용적으로 보면, 두 번째 단락(18-22절)은 4명의 어부로 대표되는 제자들만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동의하여, 제자로 세워집니다. 내용적으로 보면, 세 번째 단락(23-25절)은 그리스도가 갈릴리에서 자신의 그리스도됨을 선언하되, 이를 증명 및 전파하기 위해 치유사역을 이용합니다. 그중, 흥미롭게도 두 번째 단락(18-22절)은 능동적으로 ..

성경에 등장하는 헤롯왕과 유대지역에 관하여 - 각각의 헤롯 구분 및 영향력, 빌라도 총독과의 관계 포함

성경에는 다양한 헤롯이 등장합니다. 관련하여, 잘 정리된 글을 링크합니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까다로워지기에, 영어식 이름으로 구분하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적인 내용'을 전제로 성경 본문을 원어로 읽고, 언어학적 수사학적 구조를 분석하는 겁니다. 해당 성경본문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이해는 당연하며, 나아가, 성경문단별로 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 그 첫걸음으로 성경에서 다루어지는 '헤롯 가문'을 간단히 이해하고, 그들이 신약시대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대략적으로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https://cafe.naver.com/4031721/5473?art=ZXh0ZXJuYWwtc2VydmljZS1uYXZlci1zZWFyY2gtY2FmZS1wcg.eyJhbGciOiJIU..

교회 PC 간 연결하기(내외부망 만들기) - 공유기 추천, 윈도우 & 맥 각각, 윈도우 & 맥 혼합 연결에 관해(오류 해결법 포함)

교회에서 컴퓨터끼리 내부망(4-5명 기준)을 만들어서 인터넷과 파일을 편리하게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관련하여, '500메가 정도의 속도'는 거의 필수적입니다(1기가 속도를 추천합니다). 또한, '공유기 RAM의 크기'도 256메가 보다는 최소한 커야 합니다(518메가의 RAM을 추천합니다). 그래야, 폭발적인 사용량을 필요로 할 시에도 원활하게 예배(4K 방송기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추천하는 기준을 충족시 8K 60Hz 방송도 가능). * 물론, usb3.0포트가 공유기에 있는 경우, '프린터 출력'이나 '저장장치사용'에 더욱 편리할 것입니다. -> 이런 하드웨어 충족을 바탕으로 공유폴더를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정하여, 속도감 있는 사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20220612 주일예배, 유혹과 속임을 물리친 예수 그리스도, 마태복음 4장 1-11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11:50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 (마태복음 4장 관련)성자 하나님과 사탄(=마귀)에 관한 단어 설명은 1:05:34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본문에서 마귀 곧, 사탄은 성자 하나님을 3번 유혹하고, 속입니다. 이러한 유혹과 속임은 성자 하나님의 구속사역성취를 방해하는 성자 하나님의 그리스도됨을 무효화하려는 사탄의 수작입니다. 사탄은 그리스도답지 못한 행동을 하도록 인간으로 낮아진 성자 하나님을 유혹하고 속입니다. 첫째, 사탄은 성자 하나님에게 금식으로 말미암는 배고픔을 피하도록 영적인 양식을 먹지 못하도록 합니다. 둘째, 사탄은 성자 하나님에게 신적인 능력을 과시하고, 하나님의 능력을 점검(=test)하도록 곧, 성전에서 뛰어내리도록 합니다. 셋째, 사탄은 성자 하나님..

Evagrius the Monk and the Care of Souls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에바그리우스가 당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절히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달하기 위해,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 철학적 사고를 이용하여, 많은 신학책을 저술했다는 것은 범기독교회적으로 인정되는 사실입니다. 아래의 영상에서 보이듯이 말입니다. 관련하여, 에바그리우스가 단순히 일반적 학문체계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신학서적을 기술했다는 분석은 절대로 올바른 접근이 아닙니다. 에바그리우스에 대해 정당하고 올바른 평가가 내려지길 바랍니다. 특히, 정교회에서 에바그리우스가 자신의 신학체계에 기존의 '클레멘트'와 '오리겐'으로부터 말미암은 동방교회만의 '독특한 tradition'의 영향을 받았다는 강의는 처음 듣습니다. 강의하는 교수님이 아주 매력적이고 중요한 사실을 짚어주시네요,, 앞으로 한국개혁교회도 이부분을 주의깊..

20220605 주일예배, 의를 이루기 위해, 세례를 받은 예수님, 마태복음 3장 13-17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15:25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예수님의 세례(=침례) 받음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사복음서에 공통적으로 기록됩니다. 이는 하나님이 1명의 인간으로 낮아지사, 모든 인간의 죄를 대신 감당한 하나님의 사랑을 증언 및 예고합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은 인간에게 구원을 베풀고자, 피조물인 인간과 같아집니다. 나아가, 1명의 인간으로서 회개와 죄용서를 위한 세례를 받음으로, 예수님은 인간의 죄를 대속합니다. 그렇게, 예수님이 자신의 그리스도됨을 만천하에 공포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때, 하나님은 ‘특별계시’로 예수님의 정체를 증언합니다. 대표적인 기적인 하늘의 열림, 비둘기처럼 임하는 성령, 하늘로부터 들려오는 소리 등은 예수님의 그리스도됨을 예수님이 그리스도에 관한 구약예..

How I Discerned My Call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성직자로의 부르심은 정교회에서도 솔직하고 직설적으로 확인하려는 것 같습니다. 특히, 본 영상에서도 나타나듯 흥미롭게도 정교회는 하나님을 잘 믿고 섬길 수 있는 것을 성직자의 길을 감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듯합니다. 정교회답게 성직자로의 부르심에도 '자신의 신앙적 수양'을 강조하네요!^^ * 성직자의 길을 가도록 격려하며 강의를 마치는 점은 전세계 기독교에서 공통적인 것 같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eI_M4_ZCOxE

The Gospel of St. John as a Paschal Gospel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사복음서 중 요한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유월절 어린양'으로 보며 서술됩니다. 이는 정교회에서도 마찬가지이군요! 흥미로운 강의입니다. 정교회에서 요한복음에 관한 교부들의 설교와 주석을 연구할 때, 개혁교회와의 차이점도 쉽게 이해될텐데요. 요한복음에 관한 정교회의 관점을 알 수 있는 입문용 강의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 유튜브에 강의 요약도 업로드 되어 있네요! 이번에도 석학의 강의라 그런지 Q&A도 중요하고,흥미롭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8w2XLuUIYQ

Two Syriac Saints for Today: St. Ephrem and St. Isaac the Syrian - Byzantine Catholic Seminary

초대교회 교부들은 현대의 모든 기독교에서 중요합니다. 그들을 단지 오래된 과거의 역사속 기독교인으로 치부하는 것은 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신앙의 근거와 나아갈 신학적 방향을 스스로 제한함과 같습니다.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도 참고해야 할 좋은 강의가 있어, 링크합니다. 특히, 본 강의에서 다루어지는 교부 에프렘과 이삭은 에바그리우스와 함께 동방교부신학의 큰 축을 이룹니다. 에프렘에 관해 극소수 한글논문이 있는 것은 보았으나, 이삭에 관한 한글논문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 유튜브에서 영문자막을 사용하여, 감상하시길 바랍니다. 아주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는데, 두 교부에 관해 요약해서 잘 알려줍니다. 논문으로 쓸만한 소재들도 참 많이 언급되네요! 석학의 강의라 그런지 Q&A도 중요하고,흥미롭습니다.^^ htt..

20220529 주일예배, 유대인들은 회개로 그리스도를 맞이해야 했습니다, 마태복음 3장 1-12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12:38부터 보시기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세례 요한은 그리스도의 공생애 곧, 역사속 등장을 준비하기 위해, 유대인들에게 회개를 요구합니다. 실로, 회개는 모든 시대와 모든 장소의 그리스도인에게 강조되어야 할 바로서, 특히, 예수 그리스도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기 직전에, 강조될 법합니다. 회개는 ‘예수의 그리스도됨’을 믿는 첫 단계로서, 신앙의 유무를 결정하는 신앙적 시발점입니다. 회개 없이는 성령 하나님의 인간으로의 내재(=안에 있음)가 불가능합니다. 그렇게, 이사야서에서 예언된 세례 요한에 의해, 예수 그리스도가 역사에 전면에 등장할 것임이 타락한 유대교를 신봉하던 유대인들이 회개로 그리스도를 맞이해야 함이 강조됩니다. 기도 - 믿음의 시작에 회개가 있음을 기억하고, 회..

개신교의 본질 - 칼 하임

개혁교회 조직신학자 칼 하임의 '개신교의 본질'입니다. 개혁신학자의 관점에서 가톨릭교회로 전향하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전하는 글입니다. 관련하여, 아래에 저의 기고문을 링크합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38837826 개신교의 본질 칼 하임의 경건복음주의 신학과 신앙이 집약된 역작이다.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 서유럽에서는 1차 세계대전의 참화를 겪고 자연과학적 세계관의 세례를 받은 많은 이들이 삶의 무의미와 공 www.aladin.co.kr https://cr-ministry-institute.tistory.com/422 칼 하임의 『개신교의 본질』에 관하여 - 기고문 중요한 내용이라, 기고문을 업로드..

칼 하임의 『개신교의 본질』에 관하여 - 기고문

중요한 내용이라, 기고문을 업로드 합니다.^^ 칼 하임의 『개신교의 본질』에 관하여 열린개혁교회 담임목사 장창한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중반 서유럽게 득세하던 자연과학적 무신론 사조에 맞서 빗장을 닫아걸고 기독교신앙을 지키기보다 당시의 자연과학적 성취에 대해 열린 대화를 시작했던 칼하임은 계몽주의적 자연과학의 세기에도 납득되는 신학을 정초하려고 분투했다. 칼 하임은 1892년 독일 남부의 튀빙엔 대학교에 입학해 1896년 졸업했다. 그는 대학 재학 중에 19세기 말 독일 개신교 주류였던 알브레히트 리츨의 신칸트주의 신학과는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 경건주의 성경공부 모임과 에두아르트 퓌클러가 지도하던 선교단체인 독일기독대학생연맹에 참여했다. 1893년에는 슈바벤의 설교자 수양회에서 엘리아스 쉬..

스콧 한(Scott Hahn) - 가톨릭교회 사제(신부)로 전향한 장로교회 목사에 대해 (비평과 제언 포함)

이분은 상당히 유명한 분입니다. 신학공부도 적게한 분이 아닙니다. 다만, 이분은 교회론에 관한 개혁신학 전공자가 아닙니다. 이분으로 인해, 미국에서도 유럽에서 개신교회가 겪었던 어려움이 본격적으로 표면화됩니다. 바로,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의 가톨릭교회로의 전향입니다. 관련하여, 많은 말을 할 수 있지만 핵심은 단 하나입니다.^^ 개혁신학은 구원론을 이를테면, Sola scriptura, Sola fidea 등을 강조하는 것으로만 아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타깝게도 이는 개혁신학의 일부로 그것의 전부를 얕잡아 평가하는 실책이며, 이러한 실책은 해외 유수의 조직신학을 전공한 개혁파 신학자들도 마찬가지로 저지릅니다. 그래서인지, 스콧 한도 가톨릭교회 사제로 전향한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 저는 예전에 개혁신학자..

초기 한국개신교회의 보건의료사역, 교육사역 모음 - 옥성득 한국기독교사에서(비평 포함)

예나 지금이나 모든 그리스도인은 '희생'과 '봉사'를 모든 행동에 전제해야 합니다. 특히, 그것은 초기 한국개신교회때에, '보건의료사역'과 '교육사역'으로 강하게 드러났습니다. 다시 말해, 당시 초기 한구개신교회의 '희생'과 '봉사'는 당시 조선이 처한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방식인 '보건의료사역'과 '교육사역'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이 둘은 소위 돈이 전혀 안되는 일이고, 매우 속상한 일이 많이 벌어지는 사역입니다. 지금도 많은 개신교회에서 열심히 사역합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신앙의 유무와 무관하게 교회 안팎의 사람들에게 '희생'과 '봉사'가 있기를 원합니다. 현대의 대부분의 개신교회 지도자들이 말하듯 프로그램도 중요하고, 현대적인 상황과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