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와개혁신학목회연구소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전체 글 1190

하나님은 한 분인가요 세 분인가요? - 낸시랭(삼위일체론)

저에게 가장 큰 영향을 주셨고, 저의 멘토이신 이동영 교수님입니다. 삼위일체론은 개혁신학을 포함한 기독교 전체 신학의 시발점입니다. 삼위일체론은 모든 신학의 시작점으로서 초대교회의 송영신학의 아름다운 유산입니다. 삼위일체론이 부정신학을 전제로 함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이자, 지금도 모든 신학자가 기억해야 할 포인트입니다. 삼위일체론은 결코 난해한 말을 지어내어, 토론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이는 하나님에 관해 말하기 위해, '간단하게 몇몇 필수적으로 반드시 지켜야할 명제'를 정리한 것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_A4qKUHt7Fg주요 주제- 삼위일체 교리의 이해와 중요성- 초대교회의 구원 경험과 삼위일체 교리의 관계- 신앙생활에서 삼위일체 교리의 역할과 유익다음 할 일-..

하나님은 왜 선악과를 만드셨나요? - 신학펀치

참 많이 제기되었고, 꾸준히 들어오는 중요한 질문입니다.  무엇보다도 선악과 스토리는 히브리어문학에 대한 문예적인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이에 대한 개혁신학의 발전도 요구됩니다. 다른 기독교파에서도 이를 잘 설명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이는 오로지 '창세기에서 의도한 수사학적 플롯'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물론, 실제로 일어난 일이지만 말입니다.) 분명한 것은 선악과 스토리는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선언을 담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선악과를 통해 인간의 특성을 밝히십니다.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사랑하셔서, 선악과를 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알 수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K25xiYnXAA주요 주제- 선악과를 만드신 이유와 그 의미- 권위와 하나님과의 관계..

원죄(The Original Sin)는 진짜 있나요?

원죄교리는 초대교회 어거스틴 이래로 정립되었습니다.  관련하여, 개혁신학은 원죄를 실제적으로 인정하며, 믿음으로 수납합니다. 또한, 개혁신학은 이를 현상학적인 관찰을 통한 결과물로 이해합니다. 원죄교리를 초대교회 송영신학의 아름다운 결과물로 이해하는 것이 현대인들에게 원죄교리를 오해하지 않는 '유일한 길'입니다.*관련하여, 모든 논의의 중심에 있는 어거스틴의 'De peccatorum meritis et remissione et de baptismo pavulorum'(죄벌과 용서 그리고 유아세례)를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TqOHRVGq60s -> 이하, 요약입니다.주요 주제- 원죄 교리의 역사와 현재의 조명- 죄의 본질과 일상성, 그리고 죄의 유..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 찰스 쉘던

유명한 고전입니다. 회중교회 소속이지만, 찰스 쉘던의 성찰은 중요합니다. 회중교회도 개신교의 한 교파로 신앙의 실천을 매우 강조합니다. 분명히, 그리스도인은 각자의 삶에서 신앙의 현실로의 적용을 고민해야 합니다. 이는 개혁교회에서 카이퍼 이래로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바입니다!^^ 본고를 통해, 독자는 어떤 범주의 현실 영역과 자신의 신앙이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스스로 연구하고 그것의 연결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것이 이 책이 저술된 본질적인 이유입니다. 아마, 책에서 다루지 않는 많은 이야기가 있을 겁니다. 오래된 책이기 때문입니다. 현시대는 과거에 비해 급속히 바뀌고 있습니다. 개혁신학은 그러한 범주를 찾아내고, 그것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학문의 지경을 넓혀야 합니다. ..

닛사 그레고리우스 - 모세의 생애

대 바실리우스의 아우인 닛사 그레고리우스입니다. 갑바도기아 교부에 관한 중요성은 더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초대교회의 신학적 초석이 된 그의 작품을 분석하면, 삼위일체론 뿐만 아니라 초대기독교 신학 전체의 관계와 흐름을 새로이 또한 온전히 정립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신학에서 먼저 시작한만큼, 개혁신학에서 더욱 철저히 연구하길 원합니다. 이에 대한 연구는 개혁신학만의 초대교회에 대한 신학적 틀과 흐름에 대한 관점을 공고히 다지게 할 것입니다. https://www.amazon.com/Gregorii-Nysseni-Moysis-Opera-Ancient/dp/9004007474 Gregorii Nysseni De Vita Moysis (Gregorii Nysseni Opera, Vol 7, Pars 1) (A..

바빙크 - 개혁교의학, 벌코프 - 조직신학, 하인리히 헤페 - 개혁파 정통교의학

*위 책들을 통해, 개혁신학의 주요 교리를 쉽게 이해하고, 그것이 생성된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중 '개혁교의학'에 관하여, 본 연구소 홈페이지에 업로드된 주소를 첨부합니다. '바빙크&개혁신학(조직신학, 교의신학)'라는 제목에서 바빙크의 개혁교의학에 관한 이동영 교수님의 상세한 강의를 들을 수 있습니다. https://cr-ministry-institute.tistory.com/27?category=867967 바빙크&개혁신학(조직신학, 교의신학) - 개혁교의학을 중심으로 개혁신학은 많은 훌륭한 신학자를 배출하였습니다. 그중에서 한국에서 넓게 소개되고 있는 '바빙크의 조직신학'을 주제로 개혁교의학의 내용으로 이동영 교수님이 좋은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cr-ministry-institute.tist..

칼빈 - '기독교강요'(프랑스어 초판)

칼빈의 '기독교강요'는 매우 유명합니다. 관련하여, 개혁신학에서 많은 연구가 있었습니다. 조금 진행이 되었으나, 더 정교하고 엄밀하게 칼빈이 '기독교강요(초판, 2판, 최종판)'에서 교부신학과 교부문헌을 어떻게 해석했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그 중에서도 현재 칼빈신학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연결고리인 2판에 대해 링크를 첨부합니다. 저도 아직 읽지 못했는데, 꼭 읽고 연구해보려 합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76206246 https://www.amazon.com/Institutes-Christian-Religion-English-Version/dp/0802807747

어거스틴의 '요한서간 강해'

어거스틴이 요한1서에 대해, 강해설교한 자료입니다. 원전을 읽는 것이 교부신학의 핵심요소입니다. 요한1서에 대한 어거스틴의 설교적, 목회적 적용에 관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거스틴의 신학과 설교, 수사법에 대해 더욱 깊이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원서와 관련한 정보를 담은 링크를 첨부합니다.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032785

역사지리로 보는 성경 - 이문범

이문범 목사님의 책입니다. 신약 편, 구약 편 모두 추천합니다. 성경본문에 전제되어 있는 주요 지리적, 역사적 사항을 story별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을 포함한 근동 및 유럽의 지리와 역사를 중심으로 성경의 message를 이해하기에 좋습니다. *관련하여, 본 연구소 홈페이지에 이문범 목사님의 강의와 관련된 영상을 업로드 하였습니다. 주소를 다음과 같이 첨부합니다.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cr-ministry-institute.tistory.com/48?category=867967 성경본문과 역사, 지리의 관계 이문범 교수님께서 강의하셨습니다. 성경에 나타난 여러 문예적 표현을 이해하기 위해, 성경에서 전제하는 역사적, 지리적 배경을 알아야 합니다. 대표적인 강의..

10대와 함께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박형대

성경을 역사적 문화적 문학적으로 읽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쉽게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이에, 신현우 교수님과 함께 신약성경 사본학의 세계적 석학이신 '박형대 교수님'이 책을 저술하셨습니다. 꼭 10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산문과 대화형식으로 진행되는 내용이니, 지루하지 않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생까지가 개혁신학적으로 성경을 읽고, 말씀을 적용하는 연습을 하기에 가장 알맞을 것 같습니다. 책을 많이 읽어, 독해력이 높은 경우 초등학교 3학년에게도 추천합니다. * 저는 많은 경험을 통해 다음의 확신을 드립니다. 2020년 현재 초등학교 4학년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사춘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성경의 내용해석방법과 그것을 전제로 내린 결론에 대해, 또한..

교부와개혁신학목회 연구소 로고 - 업데이트

교부와 개혁신학목회 연구소의 로고는 신구약성경(초록색, 파랑색)과 십자가, 그리고 바다(에메랄드색)를 표현하려 했습니다. 본 연구소를 통해, 모든 개혁교회 그리스도인이 바다와 같이 열린 마음으로 함께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아가고, 하나님께 받은 사랑을 이웃과 다음세대에 전달하기를 원합니다. 20240215 교부와개혁신학목회연구소에서 새로운 로고를 만들었습니다.^^ 연구소의 C, R을 사랑으로 표현하였고, 점점 크게 자라날 나무의 씨앗으로 표현했습니다.

교회사전집 2 - 필립 샤프

이 책에서 필립샤프는 '역사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초대교회의 성장 과정과 교리 확립에 관해 기술하였습니다. 초대교회가 처했던 문화적, 사회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초대교회와 초대교부들에 관해 역사적인 사실 중심으로 기술된 책이 필요하신 분들께 2, 3권을 함께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원서와 관련한 정보를 담은 링크를 첨부합니다.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956266

교부들과 함께 성경 읽기

대표적인 종교개혁자 칼빈의 경우, 종교개혁의 정당성에 관한 논쟁과 논증을 위하여 역사적으로 주요한 교부와 그들의 문헌을 자신의 대화와 글에 인용하였습니다. 교부와 그들의 문헌이 없이는 종교개혁도 있을 수 없었습니다. 이는 개신교와 개혁신학에 교부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교부와 개신교 교리에 관하여 신학적, 역사적, 문예적으로 접근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책이라 추천합니다. * 원서와 관련한 정보를 담은 링크를 첨부합니다. www.amazon.com/Reading-Scripture-Church-Fathers-Christopher/dp/0830815007

교부학 발전의 필요성, 필연성에 대해

본 연구소의 글과 영상을 보시면, 결과적으로 교부학 연구가 성도들의 일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방향타로 작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교부학은 각 기독교 교단의 신학체계를 이루는 근간 학문으로서, 현상학적으로 개인적이고 실제적인 영역(기도법과 성경묵상법과 감정관리와 윤리생활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칩니다. 앞으로 모든 신학적 연구와 성도들의 신앙생활은 교부학적 근거를 포함해야, 그것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것입니다. 이외에 본 연구소의 필요성에 대해 알수 있는 링크가 있습니다. 교부학의 중요성을 단면적으로나마 간략하게 정리한 논문과 글을 소개합니다.^^ reformedjr.com/board05_04/3061 논문 - 한국신학의 자립: 한국교회를 위한 교부학의 기여 이 논문은 故 도진해 선생 추모학술제에서 발표된..

연구소장 인사&소개

반갑습니다! 교부와 개혁신학목회 연구소에 잘 오셨습니다. 장창한 목사는 부산대학교 미생물학사(B.A), 총신대학교대학원 목회학석사(M.Div), 서울성경신학대학원 신학석사(Th.M - 에바그리우스, 기도와 생각, 초대동방교부 전공 - 이동영 교수)를 졸업하였으며, 유클리드대학교 비교기독교신학 철학박사(Ph.D - 어거스틴, 요한 1서, 사랑, 구원론적 교회론 전공 - 우크라이나 정교회 주교[현 USA-California]이자 세계적인 신학자 Laurent Cleenewerck[현 Euclid University Ukrainian Catholic University, 전 Humboldt State University Professor] 지도) 과정을 수학했습니다.  또한, 각 지역을 대표하는 전통과 역량이..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실천학』과 개혁신학적 의의

목차 Ⅰ. 들어가는 말 8 1. 연구동기 및 문제제기 8 2. 연구목적 및 한계 10 Ⅱ. 에바그리우스의 신학과 사상 12 1. 시대와 생애 12 1) 갑바도기아 교부와 에바그리우스의 신학 13 2) 수도생활로의 인도 15 3) 그의 작품에 관하여 16 2. 신학과 세계관의 형성 17 1) 오리게네스와 플라톤의 영향 18 2) 수도생활의 내용과 목적 22 3. 소결론 25 Ⅲ. 에바그리우스의 경험과 삶 28 1. 사막 이전의 경험과 삶 28 2. 사막 이후의 경험과 삶 30 3. 신비주의적 삶과 정통신학의 관계 32 Ⅳ. 실천학(Praktike) 37 1. 도입부(서문과 1-5장) 41 2. 악마적인 사고의 8가지 유형(6-14장) 43 3. 8가지 정욕적인 사고(15-39장) 46 4. 교훈들(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