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1 Page)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전체보기 1205

하나님은 나의 동업자 & 자녀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백종호 대표 간증(히즈쇼)

'히즈쇼 백종호 대표님'은 성실하고 묵묵하게 하나님의 일을 감당하는 분입니다. 미디어가 중요한 시대에 귀한 일을 하며, 다음 세대에게 다가갑니다. 그런 분이 자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아주 쉽게 간증을 담아 잘 정리해 주셨네요! 편안하고 또한 진솔한 모습이 늘 귀감이 됩니다.^^ -> 영상제작사업에 뛰어든 이유(복음 증거)와 그간의 도우심을 증언합니다! 이것들은 그리스도인으로서 무슨 일을 하든 반드시 전제되어야 합니다. * 영원을 준비하는 삶 | 하나님은 나의 동업자 | https://www.youtube.com/watch?v=vsEN80-wkLQ * 하나님이 불어주시는 바람을 즐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UJ2BUsxGJYk

자녀 양육(감정&행동 조절)에 관해 - 웨신대 박은정 교수

많은 그리스도인이 자녀들의 양육을 어려워합니다. 특히, 어린 아이들을 인격적으로 대하기란 참 힘듭니다. 관련하여,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만한 중요 교육 요소들을 일일이 짚어주는 영상을 모았습니다. -> 링크된 유튜브로 들어가 보시길 바랍니다! 자녀들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 기도합니다!^^ * 적대적반항장애(ODD)와 품행장애(CD)를 예방하는 방법 * 우리아이 분노발작 다스리기 * 놀이치료전문가가 알려주는 ADHD 대처법 * 퇴행하는 아이에게 부모가 해야할 일은? * “경계성 인격장애, 알아야 극복해요!”

부모와 자녀의 애착 형성 - 웨신대 박은정 교수 담화

박은정 교수님은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애착형성'의 전문가입니다. 개교회에서 강의도 많이 하십니다. 이 담화는 총 3부로 되어 있네요! 대게 그리스도인 부모님들과 자녀들 사이에 애착이 매우 필요합니다. 물론, 모든 부모가 그러하지만 신앙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그러하지요! 자녀에게 신앙적으로 대화하려면, 아주 어렸을 때부터(혹은 나이가 많이 들었더라도) 애착을 많이 쌓아야 합니다. 부모를 신뢰하는 자녀가 되도록 기도합니다!^^ -> 티스토리에서 시청 불가능하며, 링크된 유튜브로 들어가 보시길 바랍니다!^^ * 내 아이를 위한 가장 큰 선물, 애착 1부 * 내 아이를 위한 가장 큰 선물, 애착 2부 * 내 아이를 위한 가장 큰 선물, 애착 3부 -> 순서대로 보세요!

주일예배, 221211 그리스도의 갈릴리 사역과 자증8 – 금식일에 음식을 나누며, 마태복음 9장 14-17절

예배를 드리실 분은 10:27부터 보시길 바랍니다.^^ 도입 or 요약 본문을 이해함에 있어, 1차적으로 문맥이 중요합니다. 마태복음의 문맥에서 세례 요한은 금식을 행했고, 자신의 제자들에게 금식을 명령했습니다(마 11:18). 그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실 길을 예비하기 위해, 곧, 유대인들을 회개시키기 위해, 곧, 유대인들이 그리스도를 맞이할 수 있도록, ‘금식(=자성 또는 반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주객이 전도됩니다. 세례 요한의 제자들은 그리스도보다 금식 그 자체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관련하여, 예수님은 그리스도가 도래한 상황이니, “임의로 제정한 금식을 고집”하지 않도록 가르칩니다. 예수님에 따르면, 그들은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맞이하여, ‘스스로를 만족하게 하는’ 또는 ‘임의로 제정한’ 금식..

교회 팩스 - 핸드폰으로 보내고 받기(무료)

교회에서 팩스를 간혹 사용합니다. 특히 공공기관을 대하다보면, 어쩔 수 없는데요.. 이로 말미암아, 비용이 심심치 않게 발생합니다. 간혹 사용하는 팩스 구비를 위한 초기 비용 및 유지비용이 적지 않습니다. 물론, 아무래도 재정적으로 튼튼한 또는 팩스를 자주 사용하는 교회는 괜찮겠지만, 그렇지 않은 교회도 많습니다. 종이 한장, 잉크 한번, 전화비 한번 아껴가며, 사역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곳이 많습니다. 이에, 무료로 핸드폰에서 팩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어플 외에도 여러 제안되는 어플들이 있으나, 이것이 현재로서 가장 좋습니다. https://shinyongms.tistory.com/143 무료로 팩스기기 없이 팩스 보내는 방법 - SK브로드밴드 모바일팩스 무료로 팩스기기 없이 팩스..

아브라함 언약(Abrahamic Covenant)? - 강해설교로의 활용 예 포함

하나님과 아브라함 사이에 맺은 언약(=말로 맺는 서약)이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자신을 신으로 섬기겠다고 결정하면, 또는 자신을 참되고 유일한 신으로 믿으면, ‘복’을 주겠다고 약속하셨다. 그 복은 바로, 인간의 잘남 또는 못남과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열방에게 복을 주는 존재’로 세우겠음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하나님을 섬기는 자에게, 하나님을 섬기지 않는 사람들을 리드할 수 있는 사회적 문화적 철학적 우월함이 주어짐을 전제한다. 아브라함 언약은 하나님을 섬기겠다고 결정한 하나님을 신으로 믿는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적용된다. 이는 현대 그리스도인을 포함한다. 단, 아브라함 언약은 추후 구약시대를 지나고, 신약시대를 맞이하며, 구체적으로 세밀해진다. 즉, 아브라함 언약은 ‘갱신’된다. * 위 사항을 알..

예배 중 교독문 낭독에 관해 - 근거와 이유

교독문은 64, 119, 133, 136, 89, 91, 87, 66번을 순서대로 낭독합니다. 약간 길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교독문 64번은 우주만물의 주인인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교독문 119번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을 선언합니다. 교독문 133번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선언합니다. 교독문 136번은 성령의 강림과 성령으로 말미암는 ‘구원의 견인’을 선언합니다. 교독문 89, 91번은 세례와 성찬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신비로운 연합을 선언합니다. 교독문 87번은 내세 또는 하나님의 나라 또는 새하늘과 새땅 또는 ‘소위 천국’을 선언합니다. 교독문 66번은 우주만물들에게 주인인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명령합니다. 위와 같이, 교독문을 순서대로 선별하고 낭독하는 이유는 ..

'추도 예배'와 '추도식으로의 전환 필요'에 대해 - 순서지 첨부

결론부터 말하면, 추도예배(Memorial service - 제사와 성인기념예배의 합성)가 아니라, 완전히 구별된 개념으로 추도식(Memorial commemoration)을 드리는 것이 좋다. 원래, 예배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하나님에 대한 신앙적 고백이 유일한 ‘예배의 목적’이다. 추도예배라는 단어는 그리스도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다. 이것은 사실, 어불성설이다. 무엇보다도 죽은 조상들은 지금 잠들어 있는 상태다. 죽은 조상들은 천국에서 생활하지 않는다. 간혹, 죽은 가족에 대해, 그가 천국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말을 하는데, 이는 틀렸다. 이미 죽은 자들과 곧 죽을 우리들은 예수님의 재림때에 잠(=죽음)에서 깨어, 최후의 심판대에 서게 된다. 즉, 죽은 조상들에게 경..

스미닛(Sheminith)?

개역개정성경의 경우, 히브리어 ‘스미닛’이라는 단어를 ‘열덟번째 줄’로 번역합니다. 사실, ‘스미닛’은 해석하기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다만, 이를 어떤 현악기(=수금, 비파 등)의 가장 아래에 있는 줄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이는 낮은 음을 제공하여, 노래에 차분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장엄하고 진중한 가사에 어울립니다.

셀라(Selah)?

셀라는 시편 3:2, 4, 8에서 총 3번 사용된다. 이는 여러 가지로 추측된다. 학자간의 이견이 많다. 단, 공통적으로 이는 ‘쉼’, 현대음악용어인 ‘크레센도’로 이해된다. 독자는 시편을 읽다가, ‘셀라’를 보며, 잠시 쉬어가며, 셀라가 포함된 ‘앞뒤 구절’의 의미를 묵상해야 한다. 또한, 시편을 노래하는 합창단에게 셀라는 그것이 사용된 ‘앞뒤 구절’을 합창하라는 표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성경과 언약에 대해 - 개혁신학의 중추로서

신구약 성경은 ‘하나님이 말로 인간과 맺은 약속’을 전파하기 위해 집필된 책입니다. 신구약 성경은 ‘그리스도’를 인간으로 보내, 인간의 죄를 대신 받아 죽은 후, 그 사실을 믿는 자들에게 장차 하나님의 나라에서 영원히 살아가도록 한다는~ ‘인간에게 하신 하나님의 약속’을 전파하기 위해 집필된 책입니다. 그 과정에서 신구약 성경은 소위, 인간과 ‘인격적인 관계’를 맺고 싶어한 하나님을 반영합니다. 신구약 성경은 인간이 아무리 노력해봐야 스스로 하나님이 원하시는 의로움을 드러내지 못함을 인간에게 여러번 기회를 주신 하나님으로 증명합니다. 대략적으로 하나님은 아담, 아브라함, 모세, 다윗, 예레미야 등과 맺은 대략적으로 총 5회의 언약갱신을 통해 ‘인간을 향한 관계 욕구’를 드러냅니다. 관련하여, 아담이 죄를..

예표란(Foreshadowing)?

예표란 “미리 알려주는 표시 또는 표적”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구약성경에 있는 특별한 사건은 장차 신약성경에서 일어날 그리스도와 관련된 사건을 암시한다. 구약성경 당시 존재했던 특별한 사건이 당대에 의미를 가질뿐 아니라, 나아가, 장차 그리스도가 행하는 사건을 암시하는 경우, 구약성경의 그것은 신약성경의 예표에 해당한다. 예표는 주로 장차 이루어질 일을 예언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그것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았음을 증명한다. * 본문(마태복음 2장)의 경우, 가장 대표적으로 모세로 말미암은 출애굽을 예수님으로 말미암을 출애굽에 연결한 예표를 예로 들 수 있다.

깃딧(Gittith)이란?

‘깃딧’의 정확한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어떤 반주용 악기이거나 특정한 리듬을 지칭하는 말로 여겨집니다. 참고로 이는 8편과 더불어 81편과 84편에도 등장합니다. 이에, ‘깃딧’이라는 음악용어가 ‘포도주 틀을 밟는 동안 또는 포도즙을 수확하는 동안’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측하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핵심적으로 기쁨을 전제로 ‘하나님께 올려드리는 감사의 노래’와 관련된 용어입니다.

답관체(Acrostic)란?

문자적으로 ‘머리를 밟아가는 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어떤 시의 행(行)이나 연(聯)의 첫 머리에 알파벳 순서로 된 단어를 규칙적으로 등장시키는 정형시(定型詩)의 한 형식입니다. ​ 이러한 답관체시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알파벳을 규칙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를 읽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자연스러움과 재미를 느끼도록 합니다. 아울러 이러한 시들은 정해진 구조와 형식에 맞추어 진행되기에, 시인의 저술 의도를 절제 및 조화하도록 유도합니다. 사실, 시편에는 이러한 답관체시가 119편을 포함하여 모두 아홉 편 등장합니다(9, 10, 25, 34, 37, 111, 112, 145편). 이들 아홉 편의 답관체 시들 가운데 119편을 제외한 다른 시들은 알파벳 전체를 망라하지 않거나, 일부가 중복되는 불완전한 ..

뭇랍벤(Muthlabben)이란?

시편 9편(=9~10편)의 제목에 나오는 단어 중 하나로 정확한 뜻은 알 수 없다. 다만, 히브리어 ‘모트’는 죽음을 의미하기에, 이와 발음이 연관되어 ‘죽음’에 관한 시 또는 노래에 사용된 곡조나 리듬을 의도한 것 같다. 한편으로, 시편 9편(=9~10편)은 원수들로부터 거의 죽음에 이르게 된 시인(=다윗)을 소재로 한다. 아마, 악인들로 말미암는 고통 속에서도 기적적인 역전과 구원을 기대하는 ‘곡조나 리듬’을 의도했을 것이다. * ‘뭇랍벤’은 시편의 다른 어느 곳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에, 그 의미가 명백하지 않다. 심지어, 고대의 다양한 역본들에서도 ‘뭇랍벤’에 대해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뭇랍벤’은 ‘심판관인 하나님’을 찬양하는 ‘표기’로 추측된다. 사실, ‘뭇랍벤’ 이외에도 성경에서 사용되..

신학 용어 설명 - 성자 하나님, 마귀, 사탄 등(마태복음 4장)

1. 성자 하나님에 관하여 -> 설교나 강의에서 성자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신인 예수님이 인간으로서 낮아짐을 반영한다. 성자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예수님이 성육신한 신임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한다. 2. 마귀와 사탄에 관하여 -> 왜 마태복음 4장에서 사탄을 마귀(디아볼로스)라고 번역했나? 마귀는 사탄의 여러 별명 중 하나인데, 사탄이 갖는 여러 특징 중 ‘속이는 자’임을 강하게 지시한다. 물론, 모든 성경 본문에서 그렇지는 않다. 즉, 4장의 경우, 마귀라는 별칭의 의도적인 사용은 4장의 문맥적 흐름을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되었다. 4장에서 사탄은 예수님을 자꾸 속이려 한다. -> 신학용어는 주해설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그것이 왜 설교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하고, 어떻게 적용되는지 아래의 링크로 확인해..

수사학이란? - 교차대구법(키아즘)을 예로

수사학은 청자에게 사상이나 감정 등을 효과적ㆍ미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문장과 언어의 사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수사학은 기본적으로 문장을 장식하는 수단(ornament, decoration)으로서, 단어 문구 문장 수준의 다양한 수단을 이용해 전달하려는 사상이나 감정 등을 청자에게 구체화한다. 쉽게 말해,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 문장과 언어를 임의로 또한 체계적으로 꾸미는 학문이다. 예)과장법 미화법 반복법 열거법 과장법 미화법 반복법 열거법 상징법 은유법 의성법 의인법 의태법 직유법 풍유법 환유법 관련하여, 수사학은 마케팅, 정치 및 문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이러한 분야들은 화자의 의도를 청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성경도 수사법을 사용한다.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