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자료'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 275

Lexis paidike [L’infanzia in Origene] - 오리겐의 어린 시절에 관해

어린 시절 오리겐을 살펴보며, 성인이 된 그에게 과거가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고찰하는 논문입니다. 간단하게 요약본을 올립니다.Part 1 요약:서론: 이 논문은 오리겐의 저작과 사상에서 '어린 시절’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오리겐 연구의 현대적 동향과 관련된 배경을 설명합니다.오리겐 시대: 오리겐 연구의 발전과 관련된 주요 학술 활동과 출판물에 대해 논의합니다. 특히, 오리겐의 저작과 그 후속 영향에 대한 연구가 강조됩니다.어린 시절 연구: 어린 시절에 대한 연구가 최근 몇 년 동안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설명합니다. 특히, 고대와 중세 초기의 어린 시절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역할에 대해 다룹니다.영적 어린 시절: 오리겐의 저작에서 '영적 어린 시절’의 개념을 분석합니다. 이는 나이와 상관없이 영적 성숙을 이..

헤겔의 자연 철학에 대해

중요한 논문이며, 아래와 같이 3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할 수 있습니다.Part 1 요약:헤겔의 자연 철학: 헤겔은 가장 추상적인 개념(공간과 시간)에서 가장 복잡한 개념(유기적 생명)까지 기본적인 존재론적 및 자연과학적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합리적 물리학: 헤겔의 철학은 '합리적 물리학’으로 분류되며, 물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물리학의 개념적 기초와 원칙에 중점을 둡니다.발현주의: 헤겔은 물질 이원론과 제거적 환원주의를 피하기 위해 정교한 발현주의를 개발하여 물리적 몸체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합니다.뉴턴 비판: 헤겔은 순수한 수학적 증명이 물리 법칙의 현실을 확립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철학적 원칙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Part 2 요약:분리적 판단: 이는 클래스 내의 모든 대안 범위를 이해..

서양철학사3 - 신학의 흐름을 중심으로(이동영 교수)

서양철학사 64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진리론https://youtu.be/t1rv3kA_XOg?si=9J-BFBgBr6v3p6g2서양철학사 65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론https://youtu.be/5_79Fk-F_GE?si=bvaPdwpL45b72rFb서양철학사 66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정론https://youtu.be/tIubVHUks-A?si=3tAVxHbopQzu-NiP서양철학사 67강 :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철학https://youtu.be/JtksITk2O-Q?si=DRVHd0cDZzxHf1Ux서양철학사 68강 : 아우구스티누스와 신플라톤주의 (1) : 이원론과 신국론https://youtu.be/gWat20ARbNc?si=lQDdnRlzWMqAFb8J서양철학..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9~10과)

[성경헬라어교본-9(1/5)] 미완료과거 시제 개요 및 능동태형https://youtu.be/9mL6ogH7eMg?si=TBrLh4FSZkBJ3xVu 주요 주제- 동사의 미완료 과거 시제와 그 의미- 현재 어미와 미완료 과거 어미의 재활용 원리와 특징- 시제와 관련된 시간의 개념과 직설법이 아닌 시제에서의 재활용 규칙다음 할 일- 동사의 미완료 과거 형태와 의미 파악- ab 동사의 미완료 과거 시제 정확하게 파악- 동사와 관련된 형용사, 명사 학습요약00:01 ~ 02:24미완료 과거의 의미- 5 동사의 미완료 과거라는 시제에 능동태 중간태 및 수동태 직설법을 우리가 이 시간에 공부하게 된다는 것임- 미완료 과거라는 것은 현재나 미래와 다르게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한 동사의 시제를 배움- 미완료 과거는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6-8과)

[성경헬라어교본-6(1/5)] 헬라어 대명사의 정의와 용법https://youtu.be/1KoJkYNFDLI?si=MokUJyglPMJGmEsR*주요 주제- 대명사의 사용과 의미- 대명사의 성 구별과 정확한 의미 전달- 대명사의 용법과 정확한 의미 파악*다음 할 일- 대명사의 성, 수, 일치 이해 필요*요약00:01 ~ 01:15대명사와 전치사- 인칭 대명사와 재기 대명사 그리고 전치사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겠음- 합성 동사는 동사의 체계 내에서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내용은 아님- 대명사와 전치사 부분은 오늘 처음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집중해서 공부해보면 좋을 것 같음02:31 ~ 03:41대명사의 역할- 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를 한 번 더 가르쳐주고 반복되는 것을 피해주기 위해서 사용..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4-5과)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4과(1/4)] 제2곡용명사(-ος/ον형 명사) - YouTube*주요 주제- 헬라어 명사의 종류와 특성- 명사의 어미 변화와 관사의 역할- 명사의 성에 따른 어미 변화와 문맥 고려의 필요성*다음 할 일- OS oo oo OS OS 암기- 관사와 명사의 관계 파악- 중성 명사의 변화형 특징 파악*요약00:01 ~ 01:21명사의 종류- 핼라어 문법 제4과에서는 제2과에서 배웠던 명사 부분을 이어서 두 번째 고경명사라고 불리는 제2 고명사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음- 핼라어 명사는 크게 5가지의 종류가 있음- 명사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특성은 1 공영 명사나 고객 명사나 동일하다고 생각하고 접근을 하면 공부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거라고 생각함02:30 ~ 03:36명사의 ..

기초 헬라어 강의 - 김주한 교수(2-3과)

[김주한 헬라어 문법 제2과(1/3)] 명사의 체계 및 형태와 용법 - YouTube*주요 주제- 헬라어의 명사 종류와 그 특징- 한국어와 헬라어 의 명사 성 구분 차이와 그 의미- 핼러어의 단수와 복수 표현 방식의 차이와 번역 시 주의점*다음 할 일- 헬라어 명사의 곡용 패턴 이해- 헬라어 명사의 성 구분 이해- 헬라어 의 단수와 복수 표현 방식 학습- 헬라어 의 명사와 동사의 기능 구분*요약00:00 ~ 03:05명사와 동사의 개념- 헬라어 의 가장 큰 주축 기둥 같은 것으로 얘기하자면 명사와 관련돼 있는 것들과 동사와 관련돼 있는 것들로 구분될 수 있음- 명사는 주어나 목적어 등의 어떤 기능을 나타내고 동사는 주어가 어떤 행동을 하는 것들, 어떤 명령을 하는 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어떤 활동 모양을 ..

Anderson, Peter J. (2015). Seneca: selected dialogues and consolations. Indianapolis;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 해제 및 자료 원본

이 논문은 피터 J. 앤더슨(Peter J. Anderson)이 선별한 세네카의 대화와 위로의 내용을 소개하며, 세네카의 삶에 대한 소개, 세네카의 철학적 글쓰기에 대한 문학적 질, 세네카와 스토아주의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세네카의 작품을 번역한 부분 등을 다룹니다. 앤더슨은 세네카의 작품들을 영어로 번역하면서 중요한 주제들을 설명하고, 세네카의 철학적 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데요! 라틴어 문학과 스토아 주의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과 교사들에게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성경과 라틴어 문헌들에 훌륭한 통찰력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이하, 논문의 HTML 버전입니다.^^  Aldo Dinucci - Universidade..

우울증에 관한 주요 논문1 - 로마 가톨릭교회

우울증은 매우 중요한 현대인들의 질병입니다. 관련하여, 우을증은 개혁교회에서도 계속 논의되는데, 속도가 더딥니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을 갖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것의 세부적인 해설은 다를 수 있지만, 큰 틀에서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에게 내재된 점은 우을증을 '성격, 관계' 등의 주요 키워드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아래의 논문을 잘 참고하여, 많은 분들이 도움을 얻길 바랍니다.^^ 이하, 요약입니다. 이 문서는 가톨릭 교육 기관에서 일하는 교사와 강사들이 청소년 우울증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의학적/정신과적 접근법과 신학적/영적 이해를 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청소년 우울증의 현상, 진단 및 원인: 청소년 우울..

트라우마 이후 안전감을 증진하는 삼위일체의 독특한 방법들 - Scott Harrower

이 영상은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이 삼위일체 신학을 통해 어떻게 안전감을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교회가 트라우마로부터 회복을 돕고, 모든 이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히 , 저자는 교회가 어떻게 삼위일체 하나님과 함께 트라우마-안전한 공동체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원칙과 실천 방안을 제시합니다. 너무나 중요한데, 향후 수십년의 신학적 방향을 대표할만한 영상입니다. 조직신학과 교부학을 어떻게 목회적으로 실천할지 그리고 그것들이 매우 중요하고 목회 일선에 필수적임을 드러냅니다. https://youtu.be/JK8uf5AUgwI?si=yK8gYNx_O5cP7AbC  * 21:48부터 보시길 추천합니다.(이하, 유튜브 채널에 업데이트 된..

루터의 코랄과 칼빈의 시편가 분석 및 비교 - 분석 포함

종교개혁시기의 루터와 칼빈의 음악적 경향을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습니다.  제가 찾기로는 이 논문이 한국어로 거의 유일합니다. 아마, 이 논문을 바탕으로 개신교회 음악의 탄생과 발전에 대해 더 추가적인 많은 논점이 다루어질 수 있을 겁니다. * 이하,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음악사적 배경: 1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음악은 세속화, 인간화, 표현화, 감각화의 경향을 보였습니다.루터와 칼빈의 음악 사상: 루터는 음악을 하나님의 선물로 여겼으며, 칼빈은 교회 찬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찬송의 발전: 루터는 코랄(Chorale)을 통해 회중이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도록 했고, 칼빈은 운율 시편가(Psalter)를 통해 성서의 노래를 부르도록 했습니다.종교 개혁의 영향: 두 종교 개혁가의 음악적 노력은 기독교인들..

칼빈의 교회 음악 사상 - 분석 포함

계속해서 좀 오래되었지만 중요한 논문을 다룹니다. 이 논문은 초대 교회의 영적 찬양에 대한 칼빈의 주장과 시편 찬송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관련하여, 칼빈은 시편 찬송이 바르게 연주되기 위한 세 가지 근본적인 전제 조건을 제시합니다. 이어, 이 논문은 서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친 칼빈주의의 시편가에 대해 설명합니다.  * 이하, 주요 내용인데 되도록 쉽게 요약합니다.칼빈의 예술관: 칼빈은 예술을 하나님의 축복으로 여기며, 음악을 하나님의 선물로 정의했습니다.교회 음악사상: 칼빈은 교회 음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성경 중심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을 중요시했습니다.찬양문화의 변화: 종교개혁 시대의 찬양문화에 대한 개혁자들의 접근 방식을 살펴보며, 칼빈의 찬양 신학 좌표 ..

칼빈의 『제네바 시편가』에 대한 선율 연구 - 분석 포함

너무나 소중한 논문이 서울대학교에서 쓰여졌습니다. 처음에 이것을 발견하고, 저자의 음악적 역량과 견해에 감탄했습니다. 읽어보시길 강력히 추천합니다. *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논문은 16세기 쟝 칼뱅의 종교개혁에 기여한 찬양곡집인 “제네바 시편” 중 루이 부르주아의 선율을 분석합니다. 이 선율은 선법과 근대 조성의 경계에서 나타나며, 다양한 리듬 패턴과 텍스트와의 관계를 고려한 특징을 보입니다. 또한, 선율의 반복을 통해 조화와 일체감을 강조하는 부르주아의 음악적 특성이 논문에서 논의됩니다. 이하, 너무 중요한 내용이기에 핵심적으로 몇 부분으로 나누어 내용을 안내합니다.교권 전파: 제네바 시편이 교권 전체 지역으로 빠르게 퍼졌으며, 20여 개국 언어로 번역되어 보급되었습니다.영향력: 이 시편가..

칼빈의 제네바 시편가 및 현대적 활용(주성희 교수) - 분석 포함

이 문서는 칼빈의 제네바 시편가와 그 현대적 활용에 대해 다룹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칼빈의 교회음악 사상: 칼빈은 교회음악이 경건성 향상과 예배 진행에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성경을 기반으로 한 찬송가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제네바 시편가의 탄생: 1539년부터 1562년까지 제네바에서 프랑스어로 시편을 운문화하고 작곡하여 "제네바 시편가"가 탄생했습니다.시편가의 보급과 영향: 제네바 시편가는 여러 나라로 퍼져나가며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찬송가집으로 발간되었습니다.한국어판 칼빈의 시편찬송가: 2009년 칼빈 탄생 50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어판 "칼빈의 시편찬송가"가 출판되었습니다. 이는 한국 교회음악사에 중요한 사건으로, 현대적으로 악보화하여 널리 보급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핵심적으로 이..

예배음악으로서의 시편 찬송의 활용에 관한 연구 - 분석 포함

이 논문은 시편찬송의 역사적 배경과 시편찬송의 중요성, 그리고 시편찬송이 예배음악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설명하되, 칼빈의 '제네바 시편가'가 예배음악에 끼친 영향을 연구 및 강조합니다.  추가적으로 이 논문은 또한 예전을 통해 시편찬송이 어떻게 예배에서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기도 합니다. *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연구 목적: 예배음악으로서 시편찬송의 중요성과 기능을 탐구하며, 하나님 중심의 예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 모색.시편찬송의 역사적 이해: 구약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편찬송의 발전과 변화를 추적.칼빈의 예배음악 사상: 칼빈의 생애와 예배음악에 대한 그의 사상, '제네바 시편가’의 영향력 분석.시편찬송의 예배음악 활용: 교회사를 통해 본 시편찬송의 예배에서의 활용 사..

리츨의 신학 체계 - 현대신학적 관점에서

이 논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l)의 신학 체계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신학 용어의 도입: "체계적 신학(Systematic Theology)"이라는 용어가 19세기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리츨의 중요성: 리츨은 19세기 독일 개신교 신학에서 중심 인물로, 그의 신학 체계는 후대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단, 리츨 이후의 신학자들은 그의 체계를 기반으로 발전시키려 하지 않았고, 대신 슐라이어마허에 가까운 모델로 돌아갔습니다. 신학 체계의 필요성: 리츨은 신학이 체계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기독교 교리의 내적 일관성과 통합을 강조합니다. 단, 리츨의 체계는 복잡성 때문에 단순성, 아름다움, 그리고 일치성을 갖추기 어려웠습니다...

리츨과 튀빙겐 학파에 대해 - 논문 분석

이 논문의 첫 부분은 19세기 신학의 역사와 알브레히트 리츨(Albrecht Ritschl)과 튀빙겐 학파(Tübingen School)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츨의 신학: 리츨은 자연과 정신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윤리적 신학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기독교 교리의 해석에 있어서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했습니다. 헬레니즘 비판: 리츨과 하르나크(Adolf Harnack)는 초기 기독교가 헬레니즘 철학에 의해 과도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역사적 신학: 튀빙겐 학파는 역사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 교리의 발전을 이해하려 했으며, 이는 신학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스트라우스의 영향: 다비드 프리드리히 스트라우스(David Friedrich Strau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