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자료'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
하나님과 이웃과 개혁신학을 사랑합니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의 안에 거하시느니라(요일 4:16)

후원·협찬을 부탁드려요! 자세히보기

신학 자료 262

신앙생활의 상향 평준화 방법1 - 교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이 논문은 개괄적으로 교리교육을 통해 부흥을 찾아야 함을 지적합니다.(2017년 논문인데,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이후, 이동영 교수님의 '신학 레시피'라는 서적이 나왔고, 현재 '본 연구소'와 '산하 교회'에서 이를 실제적으로 '예배와 강의에 적용'하고자 노력 중입니다. 관련 자료를 홈페이지에서 검색하시길 적극 추천합니다. * 지난 논문이지만, 여전히 지속되는 문제적 현황을 알리기에 적절하여 올립니다. 추후, 관련된 좋은 논문을 시리즈로 업로드하려 합니다. PDF, HTML 버전입니다.^^ 갱신과 부흥 22호 Reform & Revival 2018 178 한국교회 내 교리교육의 부재와 딜레마에 대한 내러티브(Narrative) 탐구1 이현철 (고신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종교개혁 신..

'모세의 성막'과 '예수 그리스도'의 관계 - 영상 및 논문

먼저, '모세의 성막 구조(성막 내부의 물건들을 포함 )'에 관한 영상입니다. * 개론적인 내용을 다루기에 유익한 내용이 많습니다. 관련하여, 성막 또는 성막에서 하는 속죄행위를 그리스도 또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표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적으로 풀어서 이를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리스도 또는 그리스도의 사역이 성막 또는 성막에서 하는 속죄행위를 인용하고 당시 유대인들에게 사용했다.'라는 식으로 말입니다.^^ * 순서대로 보세요! '성막의 실재'와 그것의 '그리스도'와의 연결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영상의 자막을 한글로 바꾸세요! Tabernacle of Moses - 모세의 성막 https://www.youtube.com/watch?v=1mFGsLEpKKk Ta..

[기독교 사회 한정]왜 악한(나쁜) 리더가 있을까? - 정교회 관점 중 하나

대게 기독교 사회가 '선한(좋은) 리더'를 갖는 것은 맞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대비적인 용어인 '악한(나쁜) 리더'가 종종 있는 법입니다. 정의하기에 다르겠지만, '악한(나쁜)'과 '리더'라는 용어로 정교회에서 그것들의 관계를 변증합니다. 개혁교회는 '악한(나쁜) 리더'를 원래 신앙이 없는 자로 규정하여 그것들의 관계를 단순하게 정리하는데, 정교회는 어떻게 그것들을 정리하는지 단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hr contenteditable="false" data-ke-type="horizont..

사도 바울과 세네카의 작품 비교 - 새로운 관점으로 성경 읽기

"바울과 세네카의 대화(Paul and Seneca in Dialogue)"라는 책이 나온 이후, 바울과 세네카의 글 속 철학적 및 신학적 주제를 비교하는 작업이 최근 한창입니다. 잘 알려졌듯, 1세기 비기독교 작가 중에서 바울의 사상과 가장 유사한 것은 세네카이며, 그 동안 학자들은 종종 바울과 세네카의 글을 비교하여 둘 사이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아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동안 1961년 Sevenster의 논문 이후 50년 이상 이러한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었는데, 최근 그러한 작업의 방향을 설정하는 좋은 논문이 출판되었네요! -> 세네카와 바울은 동시대를 살았기에 그리고 둘 사이에 '기독교'에 관한 어떤 대화가 있었음을 추론할 증거가 있기에, 둘을 비교하는 작품이 최근에 강조됩니다. -> PDF와 HT..

욥기의 핵심 - '하나님의 창조와 주권 인정하기'

욥기는 성경 중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의 역사를 다룬 성경으로 평가되며, 문체도 수사학적이기에 매우 어렵습니다. 관련하여, 욥기의 중심흐름을 제대로 알기에 도움이 되는 논문을 소개합니다.^^ * 욥기 중 많은 내용을 다룰 수 있지만, 큰 뼈대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 인정'입니다! 여기서 벗어나는 내용을 다루지 않아야 합니다. 각종 등장인물과 사건으로 인해 '여러 철학적 문제가 제기되더도' 그것들은 모두 피조물로서 창조자의 주권에 도전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지 못합니다. 곧, 욥기는 하나님과 욥의 무한한 차이를 인정하는 것을 1차적인 강조점으로 삼으며, 그 와중에 길흉화복을 욥에게 해당 깨우침을 주는 수단으로 삼습니다. 관련하여, ABSTRACT(영문)과 그것의 번역부터 올립니다. A Study on the ..

러시아 정교회가 '유아세례'를 보는 관점 - 교부들을 중심으로

좋은 논문입니다. 동방교회에서 서방교회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유아 세례'에 대해 신학적으로 또한 목회적으로 이해하고자 접근합니다. 한국교회들은 정교회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하다 못해, WCC에서도 정교회는 반드시 만납니다. 당연히, 개혁교회는 철저하게 스스로의 전통을 점검하고 공교회 안팎의 여러 논의에 대처하도록 외연을 확장해야 합니다. 개혁교회의 정체성을 끝까지 유지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정교회에서도 어린이와 유아에게 신앙을 전수하기 위해 많은 고심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예전(Liturgy)적 차원에서 어떻게 노력할 것인지 교부들의 전통을 바탕으로 답하려 합니다. 정교회 내에서 '유아세례'를 이해하려는 거의 첫 시도인 것 같습니다. * The Doctrine of Origin..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2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가장 아래)중요하고 좋은 논문을 추가합니다. 칼빈의 설교 원문을 통해, 그의 생애에서 얼마나 '미사참여 허용주의자'들과 치열하게 싸웠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개혁교회(또는 개신교회) 그리스도인들의 문제적 내면을 잘 짚어내고, 현실적으로 어떤 악영향이 있는지 신학적으로 풀어냅니다. -> 아래에 2개의 링크 자료(니고데모파)를 추가합니다. 하나씩 살펴보세요! 2023.11.27 - [신학 자료/추천 신학 논문] -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1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에 대해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본 논의에서 우선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는 칼빈의 종교개혁 1차문헌에 관련자료가 있느냐 입니다. * 종교개혁은 단순히 '믿음'이라는 키워드로 요약할 수 없습니다...

개신교인의 성당 미사 참여?!1 - 칼빈과 니고데모 논쟁을 중심으로

본 논의에서 우선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는 칼빈의 종교개혁 1차문헌에 관련자료가 있느냐(PDF, HTML 논문 첨부)입니다. * 종교개혁은 단순히 '믿음'이라는 키워드로 요약할 수 없습니다. 이외에도 '자유', '예배' 등의 주요 키워드가 있습니다. 그것들을 통전적으로 다룬 좋은 자료입니다! * '종교개혁 당시 니고데모파(종교개혁에 동의하되, 가톨릭교회의 미사에 계속 참여하는 부류 - 일종의 회색 지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지금은 그때와 상황적으로 많이 다르지만, 개신교인의 정체성을 잘 세워 나가야 합니다. 그러니, 개인적으로 미사를 드리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관련하여, 칼빈이 '자유'에 관해 이야기 한 것들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그의 '자유' 개념은 본 글에..

그리스도인이 '제사'와 '추도 예배'를 드리면 안되는 이유 - 논문 포함

제사와 그로 말미암아 파생된 추도 예배는 신학적으로 큰 문제를 낳습니다. 특히, 이들은 동양에서 매우 영향을 끼치는데, 아래의 논문은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처방법을 원론적으로 제언합니다. 핵심적으로 제사와 추도 예배는 '동양 선교'를 위해, 폐지 및 변경되어야 합니다. -> '추도 예배'에 관해, 이전에 업로드한 자료를 참고하시고, '제사'에 관해 가장 아래의 논문(PDF, HTML)을 읽어보세요! 추도식을 잘 설정&사용하면, 웬만한 문제를 다 해결하고, 오히려 선교의 발판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22.12.09 - [연구소/오픈 자료실(연구소 & 교회)] - '추도 예배'와 '추도식으로의 전환 필요'에 대해 - 순서지 첨부 추도 예배란? - 추도식으로의 전환 필요에 대해 결론부터 말하면, 추도예배가 ..

'말씀의 수납'으로 증명되는 '신앙의 유무'에 관하여 - 자크 엘륄의 파롤(parole) 개념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유대인들, 특히 바리새파와 사두개파, 율법학자들이 예수를 비난하고 적대적으로 대하는 이유를 다룹니다. 이 논문은 그들이 예수를 하나님으로 인정하지 않고, 예수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예수님을 그리스도로 거부하는 태도를 핵심으로 설명하되며, 관련하여, 예수의 그들을 향한 평가를 '세속적인 지혜에 기반한 판단'으로 요약합니다. 특히, 이 논문은 예수 그리스도와 유대인들 간의 진정한 의사소통 부재를 강조하며, 예수의 말씀이 왜곡되고 비틀려 전해질 때 문제가 발생함을 지적합니다. 나아가, 현대교회 내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교회가 세속적인 성공과 권력을 추구할 때 예수 그리스도의 말과 행동이 걸림돌로 작용한다고 강조합니다. 곧, 이 논문은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하는 행위..

트라시마코스와 소크라테스의 ‘정의’ 논쟁[플라톤의 '국가']을 시작으로 한나 아렌트의 비판까지 - 강의와 비평, 논문 포함

본 자료는 '국가는 왜 존재해야 하며, 그 안에 사는 시민들은 어떻게 국가 안에서 행복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답 또는 훈을 줍니다. 김헌 교수님이 플라톤의 '국가'라는 저작을 중심으로 아주 간명하게 결론을 내리는데요. '자유민주주의'를 사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법과 정치와 시민'에 대한 개념을 점검하게 해주기도 합니다. 물론, 소위 '정의'라는 난해한 개념이 그 모든 것들을 관통하며 말입니다. * 물론, 신학적인 개념이 전혀 내포되지 않지만, 본 강의는 한국 교회 그리스도인들이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되새기기에 충분합니다. ->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은 어떤 특정 개념을 '정의'로 절대화 하기에 앞서, 사회에서 전제적으로 추구하는 가치 있는 것들..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되는 국가관[정치관] - 제언, 영상, 논문 포함

'그리스도인으로서 가져야 할 올바른 국가관'을 다룹니다. 순서대로 보시면, 그것에 대한 개혁주의적 관점을 잘 알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성경을 제대로 읽고 국가와 정치 개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좌파나 우파들의 견해를 접하기 전에, 이 영상과 내용부터 보시길 그리고 성경을 꼭 읽으시길 바랍니다. -> 세속적 이념 또는 가치를 앞세워서 하나님께 접근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런 오류가 너무나 많습니다. * 교회와 국가의 관계 - 박재은 교수 (총신대) https://www.youtube.com/watch?v=HWkZBo8NZdg * 어거스틴과 칼빈의 교회와 국가 사상 ㅣ 안인섭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cpgKecjMW7w -> 개혁주의 학술원에서 제공..

사본학의 현재와 미래(변종길 교수, 1966 논문) - 논문 & 첨언 포함

오래된 논문이지만, 개혁신학적으로 신약성경 원문 비평을 어떻게 접근하는지 기본적인 관점을 잘 드러냅니다. 2023년 11월 현재 대부분의 개혁신학자와 목회자들은 여전히 NA28판을 가장 신뢰성 있는 신약성경 원문으로 인정합니다. 관련하여, 변종길 교수님은 너무 지나치게 NA27판을 신앙하지 말라는 의도로 글을 쓰신 것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에 특히 총신(합동교단)대학교는 사본학(원문복원학)에 아주 강합니다. 모교가 항상 자랑스럽습니다.^^ -> riss에서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한글, PDF, HTML을 하나씩 첨부합니다. 글씨체는 약간 바꿉니다.) -> 성경의 원문을 찾아가는 과정에 대해, 아래의 김주한 교수님 강의(링크)로 들어가세요! 점차 발전하는 사본학과 그것의 여전한 한계를..

The Cosmology of David Bohm: Scientific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개혁교회에 추천하는 '양자역학'과 '신학'에 대한 강의(논문 포함)

우주를 이루는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이론물리학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중, 양자역학이 최근에 가장 주목받고 발전되는 중입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모든 피조물을 구성하는 기저원리를 파악하면, 그 경이로움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위해, David Bohm의 양자역학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매우 의미 있습니다. 여러 방향으로 그것을 분석할 수 있지만, 핵심적인 것은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으면서도 분명히 존재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겁니다. 유대인인 그가 불가지론으로 빠진 유대교적 원인을 기독교인은 반드시 교훈으로 삼아야 합니다. 모든 기독교 종파가 이로부터 다양한 교훈과 신학적 선도방향을 얻거나 예상할 수 있겠지만, 특히, 개혁교회는 신학체계상, 인간의 전인격을..

야스퍼스 철학에 관해 - 죽음과 영혼을 무신론으로 논의하기

현대인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는 야스퍼스입니다. * 야스퍼스도 그의 철학관에서 '사랑, 진실'이라는 개념을 강조합니다. 야스퍼스를 따르는 가치들을 가진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개념과 방법을 찾아가길 원합니다.^^ * 죽음에 대한 불안으로 시작하는 사후세계? 한충수 교수 https://www.youtube.com/watch?v=rqeQRGRCV5s * 추후, 비평을 업데이트 합니다.

영국의 종교개혁과 올리버 크롬웰에 대해 - 영상 중심

영국의 종교개혁은 유럽 대륙의 종교개혁과 약간 결을 달리 합니다. 가장 핵심적으로 영국은 '섬나라'이기 때문입니다. 관련하여, 올리버 크롬웰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개혁교회 그리스도인들에게 아주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영국 특유의 종교개혁상황(영국 성공회 정립을 중심으로)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아래의 영상을 순서대로 참고하세요! 관련하여, 그의 신학 또는 신앙을 분석한 한글 논문(심지어 리포트까지)은 많지 않습니다. 그의 정치적인 활동은 간간히 존재하지만 말입니다. 다만, 단언컨데 크롬웰의 신학 또는 신앙을 분석하지 않고는 당시 영국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종교개혁 500주년 CTS 기획 -11. 절대왕권에 도전한 영국의 청교도 https://www.you..

한국 불교에 대한 소개, 설명 - 김성철 교수 인터뷰(뇌과학에 대한 불교의 대답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지금까지 끼치는 영향력은 중요합니다. 특히, 경상도는 아직도 원효대사로 말미암은 불교적 세계관이 강합니다. 물론,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불교는 여전히 큰 영향력을 끼칩니다. * 그리스도인들은 이를 참고하여, 불교인들과도 늘 대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대화하려는 자세)이 불교인들이 1차적으로 그리스도인들에게 확인하려는 바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관련된 불교 세계관에서 기본적으로 강조하는 가치(무위, 대승, 화쟁 등)들과 그것의 정립과정을 잘 살펴보세요! * 영상은 불교에 대한 소개와 설명을 주로 다룹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VqD6njndjk https://www.youtube.com/watch?v=0nA3-tcGVJA